백두산 천연기념물 제 461호
들쭉 열매
들쭉 지하 숙성 과정

김일성 들쭉 항산화·콜라겐 증가 기능 탁월
한국응용약물학회 심포지움, 정세영 교수 발표
김일성의 건강관리를 위한 식품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진 북한산 '들쭉'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이 탁월한 항산화 및 콜라겐 합성 증가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8일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에서 개최된 한국응용약물학회(회장 은재순) 춘계 학술 심포지움 연자로 나선 경희대 약대 정세영 교수에 의해 소개됐다.
정세영 교수는 "들쭉 추출물의 경우는 이미 사람 피부세포에서의 산소라디칼 제거는 탁월한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어, 콜라겐 합성증가 및 분해 억제 효능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0.01mg/ml에서 콜라겐 합성을 20% 이상 증가 시켰으며 동시에 MMP-1 효소활성을 35% 억제해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람 피부세포인 keratinocyte(각질세포질), dermal fibroblast(피부육아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주름 생성을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인 IL-1β , IL-6의 생성, 분비억제 및 콜라겐 생성증가를 보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피부주름의 모델 동물인 hairless mouse(털 없는 생쥐) 피부에 자외선을 12주간 조사해 깊은 주름을 유도한 후 9주간 들쭉 추출물을 경구로 투여한 결과 깊은 주름은 물론 잔주름까지 모두 제거됐을 뿐 아니라,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의 자연 노화에 따라 생성된 잔주름까지 제거하는 결과를 얻었다.
앞서 실시한 항산화 및 미백효과 비교시험 결과에서도 산소라디칼 종류인 슈퍼옥사이드 아니온,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실 라디칼, 일중산소 모두를 농도 의존적으로 제거하며 0.1mg/ml에서 비타민C 100μM , 비타민E 100μM과 비슷한 정도의 라디칼 제거 효능을 보였다.
특히 사람의 피부세포인 keratinocyte(각질세포질)에 가했을 때도 50%에 가까운 항산화능을 보여 피부미백, 주름개선 작용에 탁월한 가능성을 나타냈다.
또한 멜라닌색소 생성과 관련되는 효소 tyrosinase에 대한 억제작용과 B16melanoma(흑색종(腫)) 세포의 총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기존의 미백제인 kojic acid.- acid는 산(酸) 이란 뜻) 100μM과 비슷한 정도의 억제 효능을 1mg/ml에서 보여 피부미백제로서의 충분한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정 교수는 "이같은 연구결과는 들쭉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뿐만 아니라 기능성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으로 향후 인체시험을 통해 기능을 재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피부의 주름은 피부를 이루는 세포들의 콜라겐 합성이 저하되고 분해효소인 MMP-1의 활성이 증가되면서 콜라겐 결핍상태 즉 피부의 골이 생기는 현상으로, 햇빛에 의한 광노화와 피부세포의 신진대사 능력저하가 주원인이며 햇빛에 의한 산소라디칼 제거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증가가 동시에 나타나지 않는 한 개선을 기대 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들쭉은 Vaccinium uliginosum L. 라는 학명의 산머루와 비슷한 열매이며 개마고원과 백두산 일대에서 자생하는 천연기념물식물이다.
약업신문 김정준 기자 (kimjj@yakup.com) 입력 2005.04.12 10:29 AM,
삼지연 들쭉
? 학명 : Vaccinium uliginosum L. ? 품명 : 들쭉열매 <Blueberry>
? 품질 : 들쭉 자연숙성액 100%, 특상품. 북조선 천연기념물(제461호, 지정년도 1983. 3월.
? 소재지 : 양강도 삼지연군 신후성노동지구.무릉노동지구) 최우수 과실.
? 성분 : 자당.전화당.유기산.안토시안.루르솔산등
당분:5.26~6.81% 단백질:0.25% 조지방:0.19% 펙틴:0.47~0.26%
회분:0.39% 섬유질: 1.16~1.42% 비타민:A,B,E,C 등
? 음용법 : (1일3회 10mg씩) 여러 가지 식품에 첨가하여도 성분이 지속됨.
? 들쭉의 여러 가지 이용 역할<효능> : 모세혈관강화작용, 비타민 P활성물질이 있음. 열매는 즙을 짜서 식료품을 만들고 열매껍질은 당뇨 저당 약으로 쓰이며 특히 대장암예방, 피로회복, 통풍등에 효능이 있으며 특히 여성들이 산후에 먹으면 배앓이를 하지 않으며 정혈작용, 이뇨작용,정력증강,해열작용,원기재고,류마티스 관절염등에 좋다고 하여 민간요법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음. 그 외도 방사성원소침입예방과 간염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다.
- 이상 북조선강성무역 자료인용.-
? 원산지: 북조선 양강도 백두산천연산임 천연기념물 제461호
? 원료판매 :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주식회사 강성무역
북조선 김주석 생전 두 번씩이나 들쭉천연기념물단지를 방문하며 최고의 관심을 가지고 유효성분 연구를 특별 지시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어서 과학백과 사전에 수록이 되었으며 김주석이 가장 즐겨 애용했던 식품으로 본 제품은 각종 스트레스와 피로에 지친 현대인들의 건강유지에 매우 유용한 천연기념물 참살이 웰빙 제품입니다.
* 학명 : Vaccinium uliginosum L
*성분: 열매에는 자당, 전화당,사과산,안토시안,우르솔산이 있다.
*작용: 열매의 안토시안 색소는 지금까지 색을 내는 데에만 썼고 작용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요즘에 와서 모세혈관강화 작용이 있고,비타민P활성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과학백과사전 출판사편 경희대 한의학과대학 홍원식 교수 추천 참조>
용도 : 열매를 식용 청량음료 재료로 쓰며 한방과 민간에서 방부수검,방광염,이뇨,구토,임질,건위,발진등에 약으로 쓴다.
[참고문헌] : 한국의구황식물(호남작물시험장).
본초학(이상인, 수서원).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포항공대생물학전공연구정보 센터.
한국의민속자원식물DB(전북대학교).
1999년 8월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청소년들에게 코카콜라를 먹이지 말고 백두산 들쭉 단물을 먹게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연합뉴스 2005-06-19 16:12]
<김정일, 鄭통일에 최고 생일선물(?)> <펌>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이 쉰두번째 생일에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으로부터 최고의 선물(?)을 받았다.
왜냐하면 정 장관이 김 위원장과 면담 및 오찬을 한 지난 17일이 정 장관의 주민등록상 생일이기 때문이다. 정 장관의 주민등록 앞번호가 `530617'인 것이다.
정 장관은 김 위원장과 5시간 가까이 동석하면서 북핵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동시에 지난 1년간 정체된 남북관계를 단 번에 복구할 만한 합의를 했다.
이산가족상봉 및 남북장성급군사회담 재개, 수산회담 개최, 이산가족 화상상봉 추진 등 정 장관의 제안을 김 위원장이 흔쾌히 받아들이면서 이뤄진 합의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생일 선물이 된 셈이다.
게다가 이날 대동강 영빈관에서 레드와인까지 곁들여 마련된 오찬은 미역국은 없었지만 더없이 화려한 생일상이었다.
2000년 6.15공동선언 당시 환송오찬에 나왔던 `곰발통찜'이 재등장한 것을 비롯, 칠면조꽃바구니, 상어날개인삼탕, 숭어냉수탕, 들쭉아이스크림 등이 올랐다.
한의학을 공부하고, 한의사가 되어, 보람된 인생을 살고 싶다면 정규대학교로 입학하십시오.
비정규 대학교 한의대로 입학하면 평생 고생합니다.
요즘은 하도 비정규대학이 정규 한의대인양, 홍보를 하고는 통에 한국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후회막급한 경솔한 판단에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엄격한 잣대로 정규 한의대인가 아닌가를 잰다고 불평을 하는 비정규 미국 한의대를 고려하여 다음 5 가지 기준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되면 비정규 한의대라고 부르지는 않겠습니다.
1. 연방정부 혹은 주정부 산하 교육국에서 인가된(Accredited)학교인가?
2. 정부에서 의료보험 지급을 허용하는 닥터면허 한의사 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있는가?
3. 유네스코에 정규대학교로 등재되어 있는가?
4. 세계보건기구(WHO)에 의대 (한의대 포함)로 대학명단에 등재되어 있는가?
지금 당장 미국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내의 무수한 한의대) 이름을 가지고 검색해 보십시오.
만약 보이지 않는다면 비정규 한의대입니다.
모두 이 기준에 검색이 되는 정규대학교 내의 한의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