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23장(第二十三章) 그 다음은 [대현(大賢)] 한쪽을 지극히 함이니, 한쪽을 지극히 하면 능히 성실할 수 있다
其次는 致曲이니 曲能有誠이니 誠則形하고 形則著하고 著則明하고 明則動하고 動則變하고 變則化니 唯天下至誠이야 爲能化니라
그 다음은 한쪽을 지극히 함이니, 한쪽을 지극히 하면 능히 성실할 수 있다. 성실하면 나타나고, 나타나면 더욱 드러나고, 더욱 드러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감동시키고, 감동시키면 변(變)하고, 변(變)하면 화(化)할 수 있으니, 오직 천하(天下)에 지극히 성실한 분이어야 능히 화(化)할 수 있다.
其次는 通大賢以下凡誠有未至者而言也라 致는 推致也요 曲은 一偏也라 形者는 積中而發外요 著則又加顯矣요 明則又有光輝發越之誠也라 動者는 誠能動物이요 變者는 物從而變이요 化則有不知其所以然者라 蓋人之性이 無不同이나 而氣則有異라 故로 惟聖人이 能擧其性之全體而盡之요 其次則必自其善端發見之偏而悉推致之하여 以各造其極也라 曲無不致면 則德無不實하여 而形著動變之功이 自不能已니 積而至於能化하면 則其至誠之妙가 亦不異於聖人矣리라
그 다음이란 대현(大賢) 이하로 무릇 성실함에 지극하지 못함이 있는 모든 자를 통틀어 말한 것이다. 치(致)는 미루어 지극히 함이요, 곡(曲)은 한쪽이다. 형(形)은 속에 쌓여 밖에 나타남이요, 저(著)는 또 더 드러남이요, 명(明)은 또 광휘의 발월(發越)[발산(發散)]함의 성(盛)함이 있는 것이다. 동(動)은 성실함이 능히 남을 감동시킴이요, 변(變)은 남이 따라 변하는 것이요, 화(化)는 그 소이연(所以然)을 모름이 있는 것이다. 사람의 성(性)은 같지 않음이 없으나 기(氣)는 다름이 있다. 그러므로 오직 성인(聖人)만이 그 성(性)의 전체(全體)를 들어 다하는 것이요, 그 다음은 반드시 선(善)한 단서가 발현(發見)되는 한쪽으로부터 모두 미루어 지극히 하여 각각 그 지극함에 나아가는 것이다. 한쪽으로 지극히 하지 않음이 없으면 덕(德)이 성실하지 않음이 없어 형(形)·저(著)·동(動)·변(變)의 공효(功效)가 저절로 그치지 않을 것이니, 이것이 쌓여 능히 화(化)함에 이르면, 지성(至誠)의 묘(妙)함이 또한 성인(聖人)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右는 第二十三章이라 言人道也라
우(右)는 제23장(第二十三章)이다. 인도(人道)를 말씀하였다.
-----------------------
(중용 23장)
其次致曲。曲能有誠。
誠則形。形則著。
著則明。明則動。動則變。變則化。
唯天下至誠爲能化。
기차치곡 곡능유성
성즉형 형즉저
저즉명 명즉동 동즉변 변즉화
유천하지성위능화
<직역>
그 다음(其次)은 구석(曲)에 이름(致)이다 구석(曲)에도 능(能)히 성실함(誠)이 있다(有)
성실하(誠)면(則) 형태가 있고(形) 형태가 있(形)으면(則) 드러난다(著)
드러나면(著則) 밝다(明) 밝으면(明則) 움직인다(動) 움직이면(動則) 변한다(變) 변하면(變則) 화(化)한다
오직(唯) 천하(天下)의 지극한 정성(至誠)이 능(能)히 화(化)하게 한다(爲)
<번역>
그 다음은 구석구석에 도달하는 것이다. 구석구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은 능히 정성을 다함이 있다는 것이다.
정성이 있으면 구체적 형태가 있게되고, 구체적 형태가 있게되면 밖으로 드러나게 된다.
형태가 드러나면 밝게 알게된다. 밝게 알게되면 움직이게 된다. 움직이게 되면 변한다. 변하게 되면 이루어지게 된다.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만이 능히 사물이 이루어지게 한다.
<해설>
곡(曲)은 방방곡곡(坊坊曲曲)이라 말할때의 곡이다. 굽어 들어간 곳, 골짜기를 말한다. 바로 윗 구절에서 정성이 우주를 돌아가게 한다고 말하며 거시적 이야기를 했다. 그래서 그 다음(其次)으로 미시적 접근을 하겠다는 것이다.
주자는 이 곡(曲)을 일편(一偏)이라고 주석하고 있다. '한 쪽으로 치우친 구석'이란 말이다. 골짜기와 의미가 그리 다르지는 않다. 그러나 주자는 첫머리의 기차(其次)를 大賢以下凡誠有未至者(큰 현자 이하의 성심이 지극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이렇게 되자 첫 두 구절의 주자의 해석을 결합해 이상하게 해석한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 어느 인터넷 중용 사이트의 해석이다.
<其次致曲,曲能有誠 그 다음 단계는 미루어 이르지만 한쪽으로 치우친 사람이다. 한쪽으로 치우치지만 능히 진실함에 있을 수 있다>
도저히 앞뒤 문맥(context)과 연결되지 않는 이상한 말이 되고 말았다. 주자든 누구든 곡(曲)을 '한쪽으로 치우친'으로 해석해서는 절대 안된다. 중용의 원전인 예기에 곡례(曲禮)장이 있다. 곡이 한쪽으로 치우친의 뜻이라면 곡례는 '한쪽으로 치우친 잘못된 예의'라는 말이 되고 만다. 곡례(曲禮)는 사전에서 이렇게 규정하고 있다. 자잘한 예의를 말한다.
- 곡례 : 의식이나 행사에서 몸가짐 등에 관한 자세한 예절
한구절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전체의 이해를 얼마나 막고 있는 지를 잘 보여주는 예이다. 고전이 이해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번역자의 잘못이다.
위의 구절 전체는 꽃 피는 예를 대입해보면 쉽다. 수만년 생존을 위해 죽자고 노력한 진화의 노력이 고스란히 들어있는 씨앗에 다시 수분을 주고, 온도를 주고, 빛을 주는 정성이 있어야 씨앗에서 싹이 난다. 그 싹이란 형태가 있게 되면 비로소 흙 위로 드러나게 된다. 밖으로 드러나면 환하게 된다. 밝으면 그 싹이 빛을 따라 위로 움직이며 자라 가지가 나고 꽃 몽오리가 생긴다. 그 꽃 몽오리가 변하면 비로소 꽃 한송이가 완성된다. 이 모든 절차에는 햇볕과 물과 적절한 온도에다 바람과 동물과 해충과 바이러스로 부터 보호라는 천하의 정성이 있어야 비로소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꽃은 그 정성으로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사람의 일도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는 것은 그냥 아무렇게나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다. 아주 작은 일에 정성을 다하면 비로소 일의 형태가 보이게 되고 밖으로 드러나고 분명하게 된다. 환하게 밝으면 사람을 감동시키게 되고 그러면 사람들을 변하게 할 수 있게된다. 그래야 어떤 일이 이루어진다. 자신의 정성뿐 아니라 주변의 도움과 천하의 도움이라는 지극한 정성이 있어야 비로소 어떤 일 하나가 가능하게 된다.
<한자>
曲(굽을 곡) : 굽다, 굽히다, 휘게하다, 자세하다, 곡조, 구석, 마을, 부분, 조각
著(드러날 저) : 드러나다, 나타내다, 밝히다, 분명하다
化(화할 화) : 화하다, 되다, 변하다, 가르치다, 교화, 변화
<영역>
Next to the above is he who cultivates to the utmost the shoots of goodness in him. From those he can attain to the possession of sincerity. This sincerity becomes apparent. From being apparent, it becomes manifest. From being manifest, it becomes brilliant. Brilliant, it affects others. Affecting others, they are changed by it. Changed by it, they are transformed. It is only he who is possessed of the most complete sincerity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can trans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