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의 정의와 유래
혼례한복
한복은 한국인들이 오랜 기간 착용해 온 한국의 전통 복식입니다. 한민족의 민족복인 한복은 한국인의 얼굴이며, 한국인들의 사상과 미의식이 그대로 배어있어요.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벽화에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저고리에 해당하는 긴 상의와 바지나 치마를 입고 있습니다. 또한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의복의 형태가 다르게 표현되는데요. 남성은 저고리와 바지, 여성은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그 위에 예의나 격식을 갖추기 위해 두루마기형 포를 더 입었답니다. 백제와 신라의 복식도 고구려와 그 기본 형태는 유사하지만 의복의 넓이나 색채, 머리에 쓰는 물건들의 장식에서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하면서 의복에는 한국 고유의 양식과 중국에서 들여온 외래 양식의 복식이 함께 있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한국 고유 의복의 목선이 직령(깃이 곧은 데에서 나온 명칭)이라면, 외래 복식은 단령(깃을 둥글게 만든 포)인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당시 외래 복식은 국제복의 성격이 강하여 사무복이나 의례복으로 착용되었습니다.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한복은 여러 양식으로 변화하다가, 현재 한복의 모습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 정착되었는데요. 실학사상(조선 후기 사회적∙경제적 변동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나온 개혁사상)을 통해 한국의 본질을 깨닫고 반성하였는데 그러한 의미에서 의복 분야에서도 외래에서 소개된 복식을 한국화 하는 현상이 일어났답니다. 조선시대의 복식은 일정한 양식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의복에 사용된 문양이나, 소재, 장신구 등 미묘한 부분에서 차이를 두어 신분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답니다. 오늘날 한복은 대체로 명절이나 결혼식 등 중요 행사가 있을 때 많이 입어요.
다양한 칼라의 한복
한복은 옷감을 평면적으로 재단하지만 입체적으로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떠한 체형의 사람에게도 풍성하게 잘 맞고 한옥의 좌식 생활에 적합하며, 한복을 입은 사람에게 점잖고 엄숙한 분위기와 우아함이 나타나게 합니다. 옷을 입은 모양에 따라 맵시(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가 드러나며, 그에 따라 생기는 주름은 한복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미적 요소가 됩니다.
한복은 입은 사람의 움직임, 또는 외부의 영향에 따라 흔들리는 유연함이 특징입니다. 이처럼 유연함을 선호한 한복은 명주, 비단 등 부드럽고 섬세한 재료들이 많이 쓰이고 족두리, 화관, 노리개, 부채 등 장신구에도 섬세한 술 장식과 떨새(족두리나 큰 비녀에 다는 장식의 하나) 등을 달아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고 떨리는 효과를 나타내어 한복의 멋스러움을 한껏 강조합니다.
한복은 백의, 즉 흰 옷이라는 인상이 강한 의복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백의 민족' 이라고 불릴 만큼 백색을 좋아했는데, 백색은 가공되지 않은 소재 자체의 색이며 자연스러움, 천연스러움을 나타냅니다. 이런 이유로 백색 이외에 백색을 연상시키는 연한 옥색, 옅은 회색 등 명도가 높은 색깔의 한복도 애용하였습니다. 색동옷과 같이 명절이나 결혼 등 통과의례에 착용하는 화려한 색채와 문양의 의복에는 화사하고 밝은 이미지를 선호한 한국인의 미적 정서가 담겨 있습니다.
남녀 한복의 구성과 기능
여성 한복은 저고리와 치마, 남성 한복은 저고리와 바지로 구성되어 있어요. 그 위에 두루마기(외출할 때 주로 입은 우리나라 고유의 윗옷)를 입어서 예의를 갖추지요. 저고리는 몸통을 덮는 부분이 길게 있고 거기에 소매를 붙이고, 앞 중심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겉섶과 안섶을 겹쳐지게 부착합니다. 목 부분을 감싸서 정리하기 위해 깃을 달고 그 위에 백색의 동정을 붙여서 단정하게 여며 입는데, 저고리의 양 옆에 옷고름을 달아 앞 부분을 여며 입는 기능을 해요.
남성복은 저고리와 바지 위에 두루마기와 같은 윗옷을 입고 머리에는 다양한 관과 갓을 착용한 의관정제(옷을 바르게 입고 모자를 바르게 쓰는 것)로 품격을 갖추었어요. 윗옷의 종류도 용도에 따라 다양했는데, 구체적으로 도포(통상예복으로 입던 남자의 윗옷), 창의(벼슬아치가 평상시에 입던 윗옷), 학창의(소매가 넓고 뒤 솔기가 갈라진 흰 옷의 가를 검은 천으로 넓게 댄 윗옷), 심의(신분이 높은 선비들이 입던 윗옷), 두루마기가 있어요. 남성복은 인격미를 강조하도록 풍성한 형태를 보이면서도 가슴 부위에는 세조대(가느다란 띠)와 광다회(넓고 크게 짠 끈목) 같은 띠를 착용하여 상체부분을 정리하여 단정해 보이도록 하였어요.
여성복도 저고리와 치마를 기본으로 그 위에 배자(추울 때에 저고리 위에 덧입는 주머니나 소매가 없는 옷)와 두루마기를 착용하여 예의를 갖추었어요. 통과의례 시에는 활옷(전통 혼례 때 새색시가 입는 예복)과 원삼(부녀 예복), 당의(여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한복) 등 의례복에 화관이나 족두리, 떨잠(머리꾸미개의 하나), 비녀, 노리개 등 여러 가지 장신구로 치장하였어요. 여성복의 상의는 단정하고 하의는 풍성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풍성한 치마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의가 발달하였어요
자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