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 32 주간 목요일-묵상과 기도
바오로 사도는 협력자 필레몬과 그의 집에서 모이는 교회에 인사하고 있습니다. 필레몬은 가정 교회의 집주인이었습니다. 필레몬의 종 오네시모가 주인 필레몬을 피하여, 도망하여, 수인인 바오로에게 와서 시중을 들었고, 이제는 필레몬의 종 오네시모를 돌려 보낸다.하였습니다. 바오로는 내 심장과 같은 그를 돌려 보내면서, 필레몬이 바오로 자신을 동지로 여기듯이, 그를 맞아들여 달라.고 하였습니다.
예수님께서 하느님 나라와 도래에 대해서 말씀하십니다. " '여기에 있다. 저기에 있다' 말한다. 하더라도 눈에 보이는 모습으로 오지 않는다. 하느님 나라는 너희 가운데 있다.'" 하느님 나라는 하늘 이쪽과 저쪽에서 번개치는 빛을 비추듯 단 번에 순식간에 온다. 그렇지만 우선은, 당신이 먼저 많은 고난을 겪고 이 세대에 배척을 받아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우선 당신 수난의 여정에서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주님의 제자들인 우리는 무엇보다 먼저, 주님의 수난과 죽음과 부활의 의미를 깨닫습니다.
말씀 성찰
-. 지난 시간을 되돌아 봅니다. 어제 등. 지난 시간 걸어온 길, 자리, 만남, 대화 등 나의 모습과 말, 행위를 바라봅니다.
-. 사랑과 자비, 진리와 선을 중심으로 나의 허약함과 허물, 그릇됨과 악습 등을 바라 봅니다. 회개와 함께 자선의 길을 찾습니다.
-. 내 안에 살아계신 주님, 자비하신 그분의 현존을 바라봅니다. 그분의 말씀을 듣습니다. 나의 바람을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또 그분의 말씀을 듣습니다.
-. 들음을 바탕으로 감사의 마음으로 나의 다짐과 실천의 내용을 기도로 바칩니다.
말씀 묵상
사랑하는 그대여, 나는 그대의 사랑으로 큰 기쁨과 격려를 받았습니다. 그대 덕분에 성도들이 마음에 생기를 얻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나는 그리스도 안에서 큰 확신을 가지고 그대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명령할 수도 있지만, 사랑 때문에 오히려 부탁을 하려고 합니다.
나 바오로는 늙은이인 데다가 이제는 그리스도 예수님 때문에 수인까지 된 몸입니다. 이러한 내가 옥중에서 얻은 내 아들 오네시모스의 일로 그대에게 부탁하는 것입니다. 그가 전에는 그대에게 쓸모없는 사람이었지만, 이제는 그대에게도 나에게도 쓸모 있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나는 내 심장과 같은 그를 그대에게 돌려보냅니다.
그를 내 곁에 두어, 복음 때문에 내가 감옥에 갇혀 있는 동안 그대 대신에 나를 시중들게 할 생각도 있었지만, 그대의 승낙 없이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대의 선행이 강요가 아니라 자의로 이루어지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가 잠시 그대에게서 떨어져 있었던 것은 아마도 그를 영원히 돌려받기 위한 것이었는지도 모릅니다.
이제 그대는 그를 더 이상 종이 아니라 종 이상으로, 곧 사랑하는 형제로 돌려받게 되었습니다. 그가 나에게 특별히 사랑받는 형제라면, 그대에게는 인간적으로 보나 주님 안에서 보나 더욱 그렇지 않습니까?
그러므로 그대가 나를 동지로 여긴다면, 나를 맞아들이듯이 그를 맞아들여 주십시오. 그가 그대에게 손실을 입혔거나 빚을 진 것이 있거든 내 앞으로 계산하십시오. 나 바오로가 이 말을 직접 씁니다. 내가 갚겠습니다. 그렇다고 나에게 빚을 진 덕분에 지금의 그대가 있다는 사실을 말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습니다, 형제여! 나는 주님 안에서 그대의 덕을 보려고 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내 마음이 생기를 얻게 해 주십시오. 필레 7-20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바리사이들에게서 하느님의 나라가 언제 오느냐는 질문을 받으시고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하느님의 나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으로 오지 않는다. 또 ‘보라, 여기에 있다.’, 또는 ‘저기에 있다.’ 하고 사람들이 말하지도 않을 것이다. 보라, 하느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데에 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셨다. “너희가 사람의 아들의 날을 하루라도 보려고 갈망할 때가 오겠지만 보지 못할 것이다. 사람들이 너희에게 ‘보라, 저기에 계시다.’, 또는 ‘보라, 여기에 계시다.’ 할 것이다. 그러나 너희는 나서지도 말고 따라가지도 마라.
번개가 치면 하늘 이쪽 끝에서 하늘 저쪽 끝까지 비추는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자기의 날에 그러할 것이다. 그러나 그는 먼저 많은 고난을 겪고 이 세대에게 배척을 받아야 한다.” 루카 17,20-25
말씀 실천
필레몬은 자신의 집을 교회로 내어놓은 봉사자고, 바오로 사도의 협력자였습니다. 그의 종 오네시모가 주인인 필레몬을 벗어나, 수인이 된 바오로를 시중들었습니다. 그러나 바오로는 그를 필레몬에게 돌려 보내려고 하였습니다. 그가 바오로 자신을 동지로 여기기에 자신을 받아들이듯이, 그를 받아들여 달라고 하였습니다. 종 오네시모는 바오로에게 와서 시중을 들면서 세례를 받고, 그가 비록 종의 신분이지만, 이제는 그를 그리스도인으로서 주인인 필레몬에게 돌려 보내고 있습니다. 바오로는 필레몬에게 그의 종 오네시모가 손실을 입혔거나 빚을 진 것이 있으면 바오로 자신이 갚겠다고 하였습니다. 바오로는 필레몬에게 주님 안에서 그의 덕을 보고 싶고,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이 생기를 얻게 되기를 바란다. 하였습니다.
바오로 사도가 오네시모의 도움을 받고 또 그를 주인에게 돌려보내며, 필레몬이 그를 교회의 일원으로 받아주기를 바랬고, 그리고 필레몬이 오네시모로 부터 손실을 입었다면, 바오로는 사회적 부담까지 안겠다는 조건을 내세우고, 복음과 사회 계약의 질서와 보상까지 하겠다고 하였습니다. 바오로 사도의 이런 복음적 균형있는 삶은, 하느님 나라의 복음이 내실있는 선의 소식으로 세상이나 교회 안에 바르게 그 복음이 전해지게 하였습니다.
마침 기도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을 바칩니다.
이재을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