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행복의 정의
----고통의 시대,
출구는 있는가
많은 사람이
큰돈을 벌어 성공하면
행복할 거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옛말에
''천석꾼은 천가지 걱정,
만석꾼은 만가지 걱정이 있다" 고
했습니다.
재물과 행복지수가
항상 비례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재물을 좇다가 불행에 빠지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재물은 갖는 것보다
나누는 것에
더 많은 가치를 둬야 합니다.
갖는 것에 집착하면 오히려
삶에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재물은 분뇨와 같아
뿌리면 비료가 되지만,
가지고 있으면 오물이 됩니다.
제가 여러분에게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오늘 하루 느끼는
행복과 불행이 어쩌면
전생의 하루와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인과론에 따라 설명하면
전생에 선행을
행한 하루가 있을 경우.
그 좋은 에너지가
현생의 하루에 연결되어
작용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 반대로
악행을 지은 하루가
현생의 하루와 연결되어 있다면
----그 하루는
불행하고 고단할 수 있습니다.
전생 리딩을 통해서
일상이 알려주는
영적 메시지의 의미를 알면,
그 안에 담긴 아주 놀라운
삶의 교훈을 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즐겁고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녹록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힘든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이 휠씬 많습니다.
또한 갈수록
약물중독, 강박증,
충동적 히스테리,
우울증 등 각종 정신질환과
질병이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의
스트레스가
극심하다는 방증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 세상에는
우리가 원하지 않는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걸까요?
우리의 삶을 이렇게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그 이유 중 하나는
이 시대가 대립과 갈등의
세상이기 때문입니다.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으로
각자의 이기심이
격렬하게 부딪치는 시대입니다.
그 속에선 아무리 노력해도
우리가 바라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없습니다.
우선 집단의
카르마가 서로 충돌합니다.
집단의 카르마란
국가와 국가간의
이해관계를 말합니다.
그리고 그 와중에
개인의 카르마도
부딪치게 됩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숨이 턱턱 막히고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집니다.
도대체 우리는 자신의 진정성을
어떻게 다시 찾을 수 있을까요?
그에 대해서 리딩은
모든 삶의 문제는
자신 스스로 만들었고,
그러기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이상
그 답을 스스로 찾기란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만약 누군가에게
이런 말을 했다고 합시다.
--- "지금 당신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는 언젠가
당신 스스로 만든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을 탓하거나
누구를 원망하지 마세요.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미움과 원망이 아닙니다.
그 현실을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이겨내기 위한 인내, 용기,
믿음의 선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말을
들으면 사람들은 펄쩍 뜁니다.
---"왜? 내가? 언제?
하면서 불같이 화를 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일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내가 살아생전
큰 죄를 짓지 않았는데.
항상 최선을 다해 열심히
노력하면서 착하게 살았는데,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 납니까?"
하면서 억울해합니다.
카페 게시글
맑은 자유게시판
고통의 시대, 출구는 있는가 ----박진여
고구마감자
추천 0
조회 97
25.02.06 08:37
댓글 4
다음검색
첫댓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매일 매일 소중한 글 읽으면서 나를 바라보며 정진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