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무척 춥다.
이렇게 날씨가 추운 원인이 북극의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상층 공기의 기본틀이 무너져 그렇다니
참 아이러니다.
날씨가 무척 추울때 "강추위"라 하는데
강추위는 두가지 어원을 갖는데 결국 비슷한 뜻이라서 어떤 어원을 따지더라도 넓게는 무척 춥다는 뜻이니
같이 써도 무방하지만 알고는 가자는 뜻에서 써본다.
"힘이 세다" 할때 "세다"는 한자의 강(强)자를 써서 강한 추위 즉 바람이불고 눈보라가 거센 혹독한 추위를 이르는 말이 그 하나이고
억지스럽고 어색하다는 순 우리말 앞가지"강"을 붙여 "강추위"라 하는데 그 뜻은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뼈속까지 추운,
그야말로 요즘처럼 기온이 내려가는 추위를 일컬을때 강추위라고도 한다.
바람이불어 체감온도가 내려가는 추위를 '강(强)추위'
바람은 없지만 기온이 곤두박질하여 바람없는 실내에서도 느끼는 추위를 '강추위'라고 구분하면 틀리지는 않으리라.
추위는 대개 찬바람을 동반하여 추우니 어쨋든 강추위는 춥긴 추운거다.
우리말 강추위는 더 강조하는 말로 깡추위라고도 하니 여명이가 쓴말은 순 우리말 "강추위"를 쓴말이 틀림없다.
우리말 "강-"은 이름씨 앞에 붙어서 '그것만으로 이루어졌다'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보리밥중에 쌀을 섞지 않고 보리로만 지은 밥을 '강보리밥' 더 겅조해서 '깡보리밥' 예쁘게 강조해서 "꽁보리밥"이고
강에서 부는 바람도 강(江)바람이고,비는 안오고 몹시 심하게 부는 바람도 '강바람'이고
아주세게 부는 바람도 '강(强)바람'인데
강(强)바람은 강풍(强風)이라 하지 '강바람"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대개 안주없이 술만 마시는 술을 "강술" 강조해서 "깡술"인데 말뜻은 "깡으로 마시는 술"은 아니지만
이 나이에 안주없이 강술을 마시면 깡으로 마시는 술이나 그게 그것이기도 하다.
오늘 같이 추운날 안주없이 큰 잔으로 한잔 들이키고 뱃속까지 싸~한 느낌이
강추위에 얼어 붙은 몸과 마음을 풀어 줄만도 하기는 한데......
첫댓글 휼륭한 순한국말 풀이네. 한수 배워 간다. 하마가 국어학자이구나.
그래도 깡 소주는 마시지 말어~~
강취위에 안양천뛰고 대단하구만^^ 만니서 방가웠다 하마야~~~~~~~~~
대단한 하마



하마는 무서버 ㅎㅎ 추운날에두 안양천뛰고 ~```````````
악이다~~ 깡이다~~~
어릴 적, 문고리 잡으면 얼어 달라붙고... 눈많이 쌓여 토끼몰이도 하였는데...겨울은 겨울다워야 제맛이여.
정월은 추운 맛에 살고, 하지에는 혀를 빼고 헉헉거리는 맛에 산다...ㅎㅎ
강바람 따라 안양천으로 달려가니 하마가 밝은 미소로......좋은 곳에서 좋은 멍들 과 한잔....카
그럼, 강아지는 ? 아지야 잘지내지~~~
깡다구가 빠졌네. 우리 달림이들은 깡다구로 뛰어야 기록이 좋아져!나도 지난날엔 깡다구로 많이 뛰었는데 이젠 깡다구 부릴 입장도 못되고 ~~ㅠㅠ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