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에 있는 광주대교구 구 교구청이 원형복원, 보수정비 공사를 마치고 8월 28일 ‘가톨릭 목포성지 역사박물관’으로 문을 열었다.
또한 역사박물관 곁에 오는 9월 30일 한국 레지오마리애 기념관이 완성되면, 광주대교구와 목포시가 함께 준비해 온 가톨릭 목포성지 조성은 성 미카엘 대성당만 남게 된다. 목포시청 도시재생과 담당자에 따르면 성 미카엘 대성당은 2018년 12월 공사를 마칠 예정이다.
전남 목포 노송길(산정동)에 있는 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은 2012년 등록문화재 제513호로 지정됐으며, 1937년 준공된 광주대교구의 첫 교구청 건물이다. 건물 규모는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1235제곱미터다.
이곳은 1950년 한국전쟁 중 북한군에게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당시 교구장 패트릭 브레넌 몬시뇰, 토머스 쿠삭, 존 오브라이언 신부가 살던 곳이기도 하다. 이들 3명은 한국천주교가 시복시성을 추진 중인 현대 순교자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에 속해 있다.
광주대교구는 “이 역사박물관은 교구의 역사와 한국 레지오마리애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훌륭하게 시설되어 모든 신자들, 특히 레지오 단원들에게 크나큰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홈페이지에 밝혔다.
레지오마리애는 한국천주교에서 제일 큰 신심단체로서 당시 골롬반회 사제들이 맡고 있던 목포 지역에서 처음 도입됐다.
역사박물관에는 광주대교구와 한국 레지오마리애 역사 기록을 전시하며, 최초 레지오 주회 장소와 초기 사제관을 재현해 만들었다.
반세기 전 교구 주교좌 성당이었던 목포 산정동 성당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레지오마리애 모임이 시작된 곳이다.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catholicnews.co.kr%2Fnews%2Fphoto%2F201708%2F18321_39372_1211.jpg) | | ▲ 8월 28일 가톨릭목포성지 역사박물관 축복식 중 김희중 대주교(광주대교구장)가 성수를 뿌리고 있다. (사진 출처 = 천주교 광주대교구 홈페이지)
|
한편, 목포시의 2017년 주요업무계획에 따르면 2016-18년 가톨릭 목포성지 조성에 280억 원이 들어간다.
시청 도시재생과 담당자는 역사박물관 공사에 약 13억 원이 들었다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에 말했다. 가장 비중이 큰 한국 레지오마리애 기념관에 180억 원(천주교 129억 원, 국, 도, 시비 51억 원)이 쓰이며, 100억 원 가까이 투입되는 성 미카엘 대성당은 연면적 4630제곱미터 규모이며, 모든 공사비를 천주교가 낸다.
‘성 미카엘 대성당’은 산정동 본당 주보 대천사의 이름을 따 옛 성당, 사제관 자리에 지어지는 성당으로, 호남 지역 천주교와 한국 레지오마리애 발상지를 기념하는 뜻을 담았다.
가톨릭 목포성지 조성 과정에 2014년 ‘황제 노역’으로 물의를 빚은 허재호 전 대주건설 회장이 광주대교구에 150억 원을 기부했다가 논란이 일자 돌려받은 사건이 있었다. 그의 기부 철회, 교구의 성지 개발계획 수정으로 성 미카엘 대성당 공사가 지연되기도 했다.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catholicnews.co.kr%2Fnews%2Fphoto%2F201708%2F18321_39373_1215.JPG) | | ▲ 8월 28일 원형복원, 보수정비공사를 마치고 문을 연 가톨릭목포성지 역사박물관.(목포 천주교 구 교구청) (사진 출처 = 천주교 광주대교구 홈페이지)
|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