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l the End of Time'의 저자 Green은 Yip Harburg의 말을 빌려 "말을 들으면 무언가를 생각하고, 음악을 들으면 생각을 느낀다 "고 했다. 말보다 음악의 효과와 영향력에 더 큰 비중을 두고 말한 것이다.
일전에 페친으로부터 스코트랜드의 명곡 'Auld Lang Syne'의 가사와 곡을 받았다.
[올드 랭 사인]
7월 21일은 '올드 랭 사인'의 가사를 쓴 스코틀랜드 시인 로버트 번스가 사망한 날. 역사학자이며 시인, 화가인 친구가 시인이었다.
1796년 7월 21일 오늘, 스코틀랜드의 서정시인(lyrical poet)인 로버트 번스(Robert Burns, 1759~1796)가 서른 일곱 살의 짧은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스코트랜드인들뿐만 아니라 우리 한국인을 포함한 세계인들에게도 기억에 남을 노래의 가사가 된 시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을 남기고 간 인물이다.
올드 랭 사인은 '붉디 붉은 장미'(A Red, Red Rose)와 '셰라뮤어 전투'(The Battle of Sherramuir)라는 시로 유명한 로버트 번스가 1788년에 지은 시였는데, '그리운 옛날'이라는 이 시를 작곡자 미상으로 오래 전부터 전해져 온 작별을 뜻하는 스코틀랜드의 전통 민요에 붙여 노래로 만들어졌다.
영미권에서는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면서 부르는 축가로 쓰인다. 올드 랭 사인은 스코틀랜드어로 '오랜 옛날부터(영어로는 Old long since)'라는 뜻이다. 이 곡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노래이고 어딘지 애수를 자아내는 서정적인 멜로디 때문에 다양하게 리메이크 되어 많이 애창되고 있다. 1997년에 있은 홍콩 반환식에서도 영국군 의장대가 마지막으로 행진하며 연주했던 곡이기도 하며, 영국이 EU와의 결별을 선언한 브렉시트(Brexit=Britain+exit)가 확정된 후 유럽 의회에서 의원 일동이 다 함께 부른 민요이기도 하다.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
옛 추억은 잊혀지고
사랑의 불꽃은 꺼져야 하나
그대 가슴 속의 그리도 뜨겁던 심장이
이리도 차가워지다니
정녕 그대 그리운 옛날을
되돌아보지 못한단 말인가?
오래된 인연을 어찌 잊어먹고
머릿속에 떠올리지 않으리?
오래된 인연들과 지난지 오래된 날들
어찌 잊으랴?
(후렴)
오랜 옛날부터, 내 사랑아
오랜 옛날부터
다정함 한잔 축배를 드세
오래된 옛날을 위해
2절
너는 네 잔을 한 잔 사고
나는 내 잔 한 잔 꼭 살 테니
다정함 한잔 축배를 드세
오래된 옛날을 위해
3절
우리 둘은 쉴새없이 언덕을 누비고
아름다운 민들레 꺾곤 하였으되
이제 발이 지칠 만큼 돌아다녔노라
오래된 옛날부터.
아래는 이 곡의 스코트랜드판 버전이다.
https://youtu.be/to1xT93IlUI?si=QH98AQWrmnmhSvud
8.15 광복 이후에도 우리는 한동안 올드 랭 사인 곡조의 애국가를 사용했다. 1948년 안익태가 작곡한 한국환상곡이 애국가의 멜로디로 정해지기 전까지는 '올드 랭 사인'이 우리 애국가의 곡으로 사용된 것이다.
https://youtu.be/xf7-uVQcIiU?si=pzt6LFXrWnxwwMRI
1946년 1월 14일 중앙청에서의 태극기 게양식에서 연주된 올드 랭 사인 곡조의 애국가이다.
https://youtu.be/3tduOm896fk?si=4nwcoA0xO0hYFPVl
1절
오랫동안 사귀었던 정든 내 친구여
작별이란 웬 말인가 가야만 하는가.
어디간들 잊으리오 두터운 우리 정
다시 만날 그 날 위해 축배를 올리자.
2절
잘 가시오 잘 있으오 축배를 든 손에
석별의 정 잊지 못해 눈물도 흘리네.
이 자리를 이 마음을 길이 간직하고
다시 만날 그 날 위해 노래를 부르자.
지금으로부터 25,6년전 한국에서 치러진 한영 수교 백주년 행사를 잘 치렀다고 영국외무성 초청으로 40일간 BBC를 견학방문하는 기회가 있었다. 연수 마지막에 가보고 싶었던 Scotland를 일 주일동안 여행했다.
여행하면서 몇가지 놀라운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첫째는 로마가 섬나라 영국을 침공했을 때 지금의 England, Wales 그리고 Ireland는 모두 로마의 침략을 받았으나 Scotland 만 로마의 침범을 막아 민족과 영토를 지켜냈다고 자랑했다.
두번째는 스코틀랜드는 일명 High Land로 불리는데 물론 민족성이 용맴한 점도 있었겠지만 고원(高原)에 위치해 있어서 로마의 침공을 막고 혼혈을 피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겠다는 생각을 했다,
세번째는 음악을 사랑하고 노래부르기를 너무 좋아하는 민족이었다.해가 진 뒤 저녁늦게 호텔에 도착하면 호텔사장 부자가 호텔앞에 나와 긴 백파이프로 올드랭사인을 연주해 주던 기억이 아직도 신선하게 내 기억속에 남아있다.
그 음악은 해가진 후 호텔주변의 산에 메이리져 들려오는 소리는 여행객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놀란 것은 동행한 여행객 한 명이 어느 성(城)을 방문했을때 사진 한 점을 가리키며 6.25때 한국을 돕기위해 지원자를 모집해 한국에 파견되기 전 찍은 사진이라고 설명했다.
당시는 한국에 지자체가 생기기 전이라 나는 그의 설명에 왜 중앙정부가 할 일을 규모가 작은 지자체가 결정하느냐라고 묻자 오히려 그쪽에서 나를 이상하게 여기는 표정이었다. 지자체가 스스로 결정해 한국 파병을 결정한 것이다.
오늘 우리가 이렇게 잘 살게 된 것은 이들의 도움이 얼마나 컸던가를 새삼 되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감사를 모르는 인간과 국가가 돼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다,
다시한번 방문했던 스코틀랜드의 아름다운 산하와 호수가 함께 제작된 Auld Lang Syne의 가사와 곡을 음미하며 오늘도 보람된 하루를 기약해본다.
#포토덤프챌린지
#일상포토덤프
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