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용 제28장(第二十八章) 인도 차궤 문자 행동 세 가지가 모두 같음은 천하가 하나로 통일되었음
子曰 愚而好自用하며 賤而好自專이요 生乎今之世하여 反古之道면 如此者는 災及其身者也니라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어리석으면서 자기 의견을 쓰기 좋아하며, 천(賤)하면서 자기 마음대로 하기를 좋아하고, 지금 세상에 태어나서 옛 도(道)를 회복하려고 하면, 이와 같은 자는 재앙이 그 몸에 미친다.”
以上은 孔子之言이니 子思引之라 反은 復(복)也라
이상은 공자(孔子)의 말씀이니, 자사(子思)가 인용하신 것이다. 반(反)은 회복함이다.
非天子면 不議禮하며 不制度하며 不考文이니라
천자(天子)가 아니면 예(禮)를 의논하지 못하며, 도(度)를 만들지 못하며, 문(文)을 상고하지 못한다.
此以下는 子思之言이라 禮는 親疎貴賤相接之體也라 度는 品制요 文은 書名이라
이 이하는 자사(子思)의 말씀이다. 예(禮)는 친소(親疎)와 귀천(貴賤)이 서로 대하는 체(體)이다.
도(度)는 품제(品制)[제한이나 규정]요, 문(文)은 글자의 명칭이다.
今天下 車同軌하며 書同文하며 行同倫이니라
지금 천하(天下)가 수레는 수레바퀴의 치수가 같으며, 글은 문자(文字)가 같으며, 행동은 차례가 같다.
今은 子思自謂當時也라 軌는 轍迹之度요 倫은 次序之體라 三者皆同은 言天下一統也라
금(今)은 자사(子思)가 스스로 당시(當時)를 말씀한 것이다. 궤(軌)는 수레바퀴의 도수(度數)[치수]요, 윤(倫)은 차서(次序)의 체(體)이다. 세 가지가 모두 같음은 천하가 하나로 통일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雖有其位나 苟無其德이면 不敢作禮樂焉이며 雖有其德이나 苟無其位면 亦不敢作禮樂焉이니라
비록 그[천자(天子)] 지위를 갖고 있으나 만일 그[성인(聖人)] 덕(德)이 없으면 감히 예악(禮樂)을 짓지 못하며, 비록 그 덕(德)이 있으나 만일 그 지위가 없으면 또한 감히 예악(禮樂)을 짓지 못한다.
鄭氏曰 言作禮樂者는 必聖人在天子之位라
정씨(鄭氏)[정현(鄭玄)]가 말하였다. “예악(禮樂)을 짓는 자는 반드시 성인(聖人)이 천자(天子)의 지위에 있어야 함을 말씀한 것이다.”
子曰 吾說夏禮나 杞不足徵也요 吾學殷禮하니 有宋存焉이어니와 吾學周禮하니 今用之라 吾從周하리라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하(夏)나라 예(禮)를 말할 수 있으나 기(杞)나라가 충분히 증거해 주지 못하며, 내가 은(殷)나라 예(禮)를 배웠는데 <그 후손인> 송(宋)나라가 있거니와 내가 주(周)나라 예(禮)를 배웠는데 지금 이것을 쓰고 있으니, 나는 주(周)나라 예(禮)를 따르겠다.”
此는 又引孔子之言이라 杞는 夏之後라 徵은 證也라 宋은 殷之後라 三代之禮를 孔子皆嘗學之而能言其意로되 但夏禮는 旣不可考證이요 殷禮는 雖存이나 又非當世之法이요 惟周禮는 乃時王之制요 今日所用이니 孔子旣不得位면 則從周而已시니라
이는 또다시 공자(孔子)의 말씀을 인용한 것이다. 기(杞)는 하(夏)나라의 후손 나라이다. 징(徵)은 증명함이다. 송(宋)은 은(殷)나라의 후손 나라이다. 삼대(三代)의 예(禮)를 공자(孔子)께서 모두 일찍이 배우시어 그 뜻을 말씀할 수 있었으나 다만 하(夏)나라 예(禮)는 이미 고증(考證)할 수 없고, 은(殷)나라 예(禮)는 비록 남아 있으나 또 당세(當世)의 법(法)이 아니고, 오직 주(周)나라 예(禮)는 바로 시왕(時王)[당시의 왕]의 제도여서 오늘날 쓰고 있는 것이니, 공자(孔子)가 이미 지위를 얻지 못하셨으면 주(周)나라 예(禮)를 따르실 뿐이다.
右는 第二十八章이라 承上章爲下不倍而言이니 亦人道也라
우(右)는 제28장(第二十八章)이다. 상장(上章)의 ‘아랫사람이 되어서는 배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어서 말씀한 것이니, 이 또한 인도(人道)이다.
--------------------------
(중용 28장)
子曰:「愚而好自用,賤而好自專。生乎今之世,反古之道。如此者烖及其身者也。」
非天子不議禮,不制度,不考文。
今天下,車同軌,書同文,行同倫。
자왈 우이호자용 천이호자전 생호금지세 반고지도 여차자재급기신자야
비천자불의례 부제도 불고문
금천하 거동궤 서동문 행동륜
<직역>
스승 말했다(子曰) 어리석(愚)으면서(而) 스스로(自) 사용함(用)을 좋아하(好)고 천(賤)하면서(而) 스스로(自) 제멋대로 함(專)을 좋아하고(好) 지금의 세상(今之世)에(乎) 태어나(生) 옛날의 도(古之道)로 돌아간다(反) 이와 같은(如此) 사람(者)의 재앙(烖)은 그 몸(其身)에 미치는(及) 것(者)이다(也)
천자(天子)가 아니(非)면 예(禮)를 논의하지 말고(不議) 제도(度)를 만들지 말고(不制) 글자(文)를 상고하지 않는다(不考)
지금(今) 천하(天下)는 수레(車)는 바퀴 간격이 같(同軌)고 문서(書)는 같은 글자(同文)이고 행함(行)에 윤리가 같다(同倫)
<번역>
공자 말했다. 어리석으면서도 자기 판단대로 하는 것을 좋아하고, 천하면서도 제멋대로 일을 전단하는 것을 좋아하고, 지금의 세상에 태어났으면서도 옛날의 도로 돌아가려한다. 이와 같은 사람에게 재앙이 그 몸에 미치게 된다.
천자가 아니면 예를 논의하지 않으며, 제도를 만들지 않고, 문자를 정하지 않는다.
지금은 천하의 수레가 같은 규격이고, 문서는 같은 문자를 쓰고, 행동에 윤리가 같게 되었다.
<해설>
공자는 자신을 '옛것을 좋아하고 그것을 구하는데 민첩한 사람이다'(好古敏以求之者也 -논어 술이편)라고 말했다. 또 '周監於二代,郁郁乎文哉!吾從周'(주나라는 하나라, 상나라를 본받았다. 울창하도다 문화여 나 주나라를 따르리 - 논어 팔일편)라고 했다.
옛날의 도를 매우 좋아했던 공자가 과연 옛날의 도로 돌아가는 것이 재앙이라고 까지 말했을까 살짝 의심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공자는 옛것을 공부해 새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溫故而知新)라며 새로운 것을 중시했고 나는 주나라를 따르겠다(吾從周)고 말하고 있으니 완전 다른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진시황이 도량형을 통일하고 수레바퀴의 간격을 통일하고 문자를 통일했다고 사기에 나온다. 그러나 공자는 주나라의 문화가 그렇게 했다고 말하고 있다. 주자는 이 이야기가 자사가 한 것이라고 자사시대의 일이라고 설명하지만...
천자만이 예를 논의하나? 백성들은 예에 대해 논의 할 수 없단 말인가? 이상한 이야기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여기에서의 논의는 단순한 논의가 아니며, 여기의 예는 단순한 예가 아닌 국가수준의 예법을 말한다. 국가 제사의 예법, 종묘에 누구를 배향할 것인가, 복색은 어떻게 할 것인가 등의 큰 예법과 그 논의을 말하고 있다.
<한자>
專(오로지 전) : 오로지, 전념하다, 마음대로 하다, 독차지하다, 단독으로, 전일하다
烖(재앙 재) : 재앙, 災의 본자
度(법도 도) : 법도, 제도, 정도, 한도
考(상고할 고) : 상고하다, 곰곰 생각하다, 공고하다, 고증하다
軌(바퀴자국 궤) : 바퀴자국, 바퀴간의 거리, 궤도, 도로
<영역>
The Master said, Let a man who is ignorant be fond of using his own judgment; let a man without rank be fond of assuming a directing power to himself; let a man who is living in the present age go back to the ways of antiquity;-on the persons of all who act thus calamities will be sure to come.
To no one but the Son of Heaven does it belong to order ceremonies, to fix the measures, and to determine the written characters.
Now over the kingdom, carriages have all wheels, of the-same size; all writing is with the same characters; and for conduct there are the same rules.
雖有其位,苟無其德,不敢作禮樂焉。
雖有其德,苟無其位,亦不敢作禮樂焉。
수유기위 구무기덕 불감작례악언
수유기덕 구무기위 역불감작례악언
<직역>
비록(雖) 그 지위가 있(有其位)어도 진실로(苟) 그 덕이 없으면(無其德) 감히(敢) 예약을 짓지(作禮樂) 못(不)한다(焉)
비록(雖) 그 덕이 있어도(有其德) 진실로(苟) 그 지위가 없으면(無其位) 역시(亦) 감히(敢) 예악을 짓지(作禮樂) 못한다(不焉)
<해설>
천자의 지위에 있어도 덕이 없으면 국가 예악의 기준을 짓지 못하며 덕이 아무리 있는 사람이라도 천자가 아니라면 국가 예악의 기준을 정할 수가 없다는 이야기.
<한자>
雖(비록 수) : 비록, ~라도, 만약, 하물며, 곧, 오직, 다만
苟(진실로 구) : 진실로, 다만, 겨우, 만약, 구차하게, 구차하다
<영역>
One may occupy the throne, but if he have not the proper virtue, he may not dare to make ceremonies or music. One may have the virtue, but if he do not occupy the throne, he may not presume to make ceremonies or music.
子曰:「吾說夏禮,杞不足徵也。
吾學殷禮,有宋存焉。吾學周禮,今用之。吾從周。」
자왈 오설하례 기부족징야
오학은례 유송존언 오학주례 금용지 오종주
<직역>
스승 말하셨다(子曰) 나(吾) 하나라 예(夏禮)를 말하(說)지만 기(杞)나라가 증거하기해 충분하지 못하(不足徵)다(也)
나(吾) 은나라 예(殷禮)를 배웠다(學) 송(宋)나라에 보존(存)되어 있(有)다(焉) 나(吾) 주나라 예를 배웠다(學周禮) 지금(今) 그것이 사용된다(用之) 나(吾) 주나라를 따른다(從周)
<번역>
공자 말하셨다. 나는 하나라 예를 말할 수 있지만 하나라의 후손이 제사를 지내고 있는 기나라가 하나라 예법에 대해 충분히 증거를 대지 못하고 있다. 내가 은나라 예법을 배웠다. 그 은나라의 예는 은의 후손이 제사지내는 송나라에 그 예법이 보존되어 있다. 나는 주나라의 예법을 배웠다. 그런데 지금 이 예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나는 주나라 예법을 따르겠다.
<해설>
그렇게 어렵지 않은 장이다. 性과 誠 같은 형이상학적 개념이 안나오니 좀 살겠다. ㅎㅎ
위의 공자말씀은 논어에 이미 나왔던 내용인데 문구가 약간 다를 뿐이다 (子曰 夏禮吾能言之 杞不足徵也 殷禮吾能言之 宋不足徵也 - 논어 팔일). '오설하례'(吾設夏禮)의 '說'을 '기쁠 열'로 읽어 '나는 하나라의 예를 좋아한다. 그러나 기나라에 그 증거가 부족하다'라고 번역할 수 있다. 실제로 그렇게 번역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이 더 매끄럽기도 한다. 그러나 그렇게 해석하면 안되는 이유가 논어 팔일에 나오는 비슷한 구절 때문이다. 논어에서는 說이 들어갈 자리에 言이 들어가 있다.
杞나라는 하남성 杞縣에 있었던 작은 나라로 周나라 武王이 夏나라 禹王의 후예인 東樓公에게 우왕 제사지내라며 세워주었음. 하나라의 예법을 보존하고 있었던 나라였지만 사료가 제대로 남지 않음. 사기에서 사마천도 기나라는 작고 약하여 기사를 쓰기에 부족하다고 적고 있습니다. 宋나라는 하남성 商丘縣에 있었던 춘추12제후국의 하나. 주나라가 殷나라를 멸망시키고는 은나라의 후예들로 하여금 조상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조그만 나라 하나 만들어 준 것임.
춘추(동주 시기)지도, 송(宋)과 기(杞)나라의 위치
<한자>
杞(구기자나무 기) : 구기자나무, 소태나무, 나라이름(하남성 杞縣에 있던 나라, 夏나라 후손이 통치)
徵(부를 징) : 부르다, 거두다, 캐어묻다, 증거, 증거를 세우다, 효험
<영역>
The Master said, "I may describe the ceremonies of the Hsia dynasty, but Chi cannot sufficiently attest my words. I have learned the ceremonies of the Yin dynasty, and in Sung they still continue. I have learned the ceremonies of Chau, which are now used, and I follow Ch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