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한민국최강 한국CPR봉사단
 
 
 
카페 게시글
CPR 심폐소생술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사용법.
CHIEF 심명섭 추천 0 조회 5,821 09.10.21 16:43 댓글 226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6.13 22:23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며, 괜찮냐고 물으면서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2. 사람을 정확히 지목한 후( 모자 쓴사람, 줄무늬 옷을 입은 사람 등 )그 사람에게 119신고를 요청하고 다른 사람에게 AED 기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3. 인공 호흡을 위해 환자의 목을 뒤로 젖혀 기도확보를 한 후, 입 주위에 얼굴을 가까이 대어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배가 확인한다.
    4.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한다.(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5.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의 가운데 부분을 압박한다.(깊이는 4~5cm정도) 1분당 100회 속도로 흉부압박을 30회 실시한다.
    6.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 30회 흉부압박, 2회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한다.

  • 16.06.13 22:24

    AED 도착후
    1. 녹색 전원 버튼을 누른다. 패드를 부착 하십시오 라는 음성에 따라 패드를 부착한다.
    2. 패드 부착 후, 패드 커넥터를 연결한다. 패드 부착위치는 우측 쇄골 아래와 좌측 옆구리 아래이다. (물기나 땀이 있을 경우에는 닦아내고 실시한다.)
    3. 전기 충격이 필요한 경우 AED가 판단하며 음성이 나올 경우 깜빡이는 주황색 버튼을 누른다.(전기충격실시)
    4.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

  • 16.06.20 02:13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며, 괜찮냐고 물으면서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2. 사람을 정확히 지목한 후( 모자 쓴사람, 줄무늬 옷을 입은 사람 등 )그 사람에게 119신고를 요청하고 다른 사람에게 AED 기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3. 인공 호흡을 위해 환자의 목을 뒤로 젖혀 기도확보를 한 후, 입 주위에 얼굴을 가까이 대어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배가 확인한다.
    4.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한다.(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5.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의 가운데 부분을 압박한다.(깊이는 4~5cm정도) 1분당 100회 속도로 흉부압박을 30회 실시한다.
    6.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 30회 흉부압박, 2회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한다

  • 16.06.20 02:13

    (AED 도착후)
    1. 녹색 전원 버튼을 누른다. 패드를 부착 하십시오 라는 음성에 따라 패드를 부착한다.
    2. 패드 부착 후, 패드 커넥터를 연결한다. 패드 부착위치는 우측 쇄골 아래와 좌측 옆구리 아래이다. (물기나 땀이 있을 경우에는 닦아내고 실시한다.)
    3. 전기 충격이 필요한 경우 AED가 판단하며 음성이 나올 경우 깜빡이는 주황색 버튼을 누른다.(전기충격실시)
    4.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

  • 16.06.20 09:09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며, 괜찮냐고 물으면서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2. 사람을 정확히 지목한 후( 핸드폰 쥔사람,원피스입은사람 등 ) 그 사람에게 119신고를 요청한 후 다른 사람에게 AED 기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3. 인공 호흡을 위해 환자의 목을 뒤로 젖혀 기도확보를 하고 입 주위에 얼굴을 가까이 대어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배가 확인한다.
    4.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한다.(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5.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의 가운데 부분을 압박한다.(깊이는 4~5cm정도) 1분당 100회 속도로 흉부압박을 30회 실시한다.
    6.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 30회 흉부압박, 2회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한다.

  • 16.06.20 09:10

    (AED 도착후 사용법)
    1.on/off 버튼을 누른다.
    2. 우측 쇄골 아래와 좌측 옆구리 아래에 패드를 부착하고 패드 커넥터를 연결한다.(환자 몸에 물기나 땀이 있을 경우 제거 잘 닦아줘야함)
    3.전기충격이 필요하다고 AED가 응답하면 깜빡이는 주황색 버튼을 누른다.(전기충격실시한다)
    4.구급차가 도착하기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실시 한다.

  • 18.11.11 19:39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고, "괜찮으세요?"라고 물으며 환자의 의식을 확인합니다.
    2. 정확하게 빨간 옷을 입은 사람, 모자를 쓴 사람 등 한 사람을 지목하여 그 사람에게 119신고를 요청한 후 다른 사람에게 AED 기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3. 환자의 목을 뒤로 졎히고 인공호흡을 위해 기도확보를 한 후 입 주위에 얼굴을 가까이 대어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한다.
    4. 환자의 가습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하면서 인공호흡을 2회 실시한다.
    5.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의 중앙부분을 1분당 100회 속도로 훙부압박을 30회 실시한다.
    6.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 30회 흉부압박을 하고, 2회 인공호홉을 계속 반복한다

  • 18.11.11 19:43

    (AED 도착 후 사용방법)
    1. on/off 버튼을 누른다.
    2. 패드를 부착하고 패드 커넥터를 연결한다. (패드는 우측 옆구리와 우측 쇄골에 부착하고 환자의 몸에 물기나 땀이 있을 경우 잘 제거해준다.)
    3. 전기충격이 필요하다고 AED가 신호를 주면 깜빡거리는 주황색 버튼을 누르고 전기충격을 실시한다.
    4.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 18.11.11 21:04

    식품영양학과 201712034 정옥주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며 괜찮냐고 물어보면서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2. 주변 사람들에게 119신고를 요청하고 또 다른 사람들에게 AED 기기를 가져와달라고 부탁한다.
    3. 인공 호흡을 위해 환자의 목을 젖혀 기도확보 후, 환자의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한다.
    4. 인공호흡2회 실시한다
    5. 흉부압박30회 실시(1분당 100회속도)
    6. AED도착후에는 녹색 on/off버튼 누르기-> 패드 부착 후 커넥터 연결-> 전기 충격이 필요한 경우 AED가 판단하며 음성이 나올 경우에 깜빡이는 주황색 버튼을 누름->전기충격실시->구급차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 18.11.12 09:13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며, 괜찮냐고 물으면서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2. 사람을 정확히 지목한 후( 핸드폰 쥔사람,원피스입은사람 등 ) 그 사람에게 119신고를 요청한 후 다른 사람에게 AED 기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3. 인공 호흡을 위해 환자의 목을 뒤로 젖혀 기도확보를 하고 입 주위에 얼굴을 가까이 대어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배가 확인한다.
    4.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한다.(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5.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의 가운데 부분을 압박한다.(깊이는 4~5cm정도) 1분당 100회 속도로 흉부압박을 30회 실시한다.
    6.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 30회 흉부압박, 2회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한다.

  • 18.11.12 09:15

    골프학과/201822010/김민석
    (AED 도착 후 사용방법)
    1. on/off 버튼을 누른다.
    2. 패드를 부착하고 패드 커넥터를 연결한다. (패드는 우측 옆구리와 우측 쇄골에 부착하고 환자의 몸에 물기나 땀이 있을 경우 잘 제거해준다.)
    3. 전기충격이 필요하다고 AED가 신호를 주면 깜빡거리는 주황색 버튼을 누르고 전기충격을 실시한다.
    4.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 18.11.12 12:57

    1. 어깨 부분을 가볍게 치며, 괜찮냐고 물으면서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2. 사람을 정확히 지목한 후( 모자 쓴사람, 줄무늬 옷을 입은 사람 등 )그 사람에게 119신고를 요청하고 다른 사람에게 AED 기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3. 인공 호흡을 위해 환자의 목을 뒤로 젖혀 기도확보를 한 후, 입 주위에 얼굴을 가까이 대어 호흡이 있는지 없는지 배가 확인한다.
    4.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한다.(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5. 양쪽 유두를 연결한 선의 가운데 부분을 압박한다.(깊이는 4~5cm정도) 1분당 100회 속도로 흉부압박을 30회 실시한다.
    6. AED가 도착하기 전까지 30회 흉부압박, 2회 인공호흡을 계속 반복한다.

  • 18.11.12 12:58

    경찰행정학과 201723045 최정민
    - AED 도착 후 사용방법
    1. 녹색 전원 버튼을 누른다. 패드를 부착 하십시오 라는 음성에 따라 패드를 부착한다.
    2. 패드 부착 후, 패드 커넥터를 연결한다. 패드 부착위치는 우측 쇄골 아래와 좌측 옆구리 아래이다. (물기나 땀이 있을 경우에는 닦아내고 실시한다.)
    3. 전기 충격이 필요한 경우 AED가 판단하며 음성이 나올 경우 깜빡이는 주황색 버튼을 누른다.(전기충격실시)
    4.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한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