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속의 여자가 웃는다. 내가 웃는다.뽀글거리는 머리를 매만지며 호호거리며 웃는다. 몰골이야 말이 아니지만 누가 봐도 행복하고 만족한 웃음이다. 내가 내 손으로 파마를 했으니 날아갈듯 하다.
언젠가 부터인가 내 손으로 파마를 하고 싶었다. 미장원에 가서 파마를 하고 오면 늘 마음에 들지 않았다. 분명 미장원에선 보기가 괜찮은 것 같았는데 머리를 감기만하면 이상하게 변해 마음에 들지 않았다. 파마를 머리 전체에 하지 않고 부분만 하고 싶은데 그렇게 해 주지도 않을뿐더러 내가 설명을 열심히 해도 나오는건 ‘역시나’ 가 돼 버리는 게 다반사였다.
그러나 내 손으로 파마를 한 가장 큰 이유는 성질 탓이다. 뭐든 한 번 마음속으로 파고들면 한 번은 하고 마는 직성 탓에 이 년 여를 벼르던 파마를 내 손으로 하고 말았다. 어떻게 생각해 보면 겁이 없는 탓이다. 내가 파마를 내 손으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 진 날. 친구가 날려 보낸 카톡 문자 한 줄 ‘ 참 겁도 없다. 머리카락 다 망가지면 어떡하려고...’ 대단하긴 하다. 였다. 하긴 겁이 없으니, 아무 것도 모르니 용감하게 실천 했을 것이다.
‘ 엄마, 머리가 그게 뭐야?’ ‘엄마, 라면머리 같아요’ ‘여보! 머리에서 폭탄 터졌어?’ 내가 처음 파마하고 집에 들어오던 날 우리 집 식구들 반응이 이랬다. 그리고는 모두들 그 머리 좀 풀라고, 꼭 딴 집에 들어오는 것 같아 되돌아서고 싶다고.... 내 마음도 그랬다. 분명 미장원에선 괜찮았는데 날이 갈수록 머리는 산발이 되었다. 내가 봐도 참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내 머리모양의 역사를 보면, 귀밑에서 찰랑거리던 단발머리에서, 포니테일 머리로, 다시 긴 생머리로 갔다. 그러다 아이를 낳고는 그냥 커트머리로 살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난 평생 파마를 하지 않을 것 같았다. 그 때 생각엔 뽀글이 파마란 어딘지 모르게 좀 천박스럽고 경박해 보인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파마란 나하고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는데, 그런 내가 파마를 처음 한 것은 사십 중반이 넘어 갈 즈음이었다.
아무리 부정하고 싶어도 나도 아줌마다. 그러니 파마머리는 뗄래야 뗄 수가 없다. 아줌마 하면 뽀글거리는 파마가 떠오르고. 파마머리하면 아줌마가 떠오른다. 바로 한국 아줌마들의 상징이다. 아줌마들이 파마머리를 하는 건 두상(頭上)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머리가 둥굴 납작하다. 거기다 나이가 들면 머리가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 처
첫댓글 기술이 대단하십니다. 파마를 직접 하시다니요.
머리 모양도 예쁘게 잘 나왔네요.
남자도 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이야기가 되었네요. 평범한 소재를 가지고도 쓰고 싶은 이야길 자유자재로 풀어 내시니...
축하합니다. 요즘 퍼머값이 만만치않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