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전기직 Bible~~~
 
 
 
카페 게시글
묻고 풀고 답 이야기 직류 송전시의 단락전류
m_exodus 추천 0 조회 2,460 08.08.15 22:38 댓글 1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08.08.15 22:44

    첫댓글 교류계통 사고시 직류계통에서 교류계통으로의 유입되는 단락전류가 작다~ 이뜻이네요

  • 작성자 08.08.15 22:46

    그런데 계통을 분할하는 이유는? 연계하는 이유는??? 어렵네...

  • 08.08.16 00:07

    계통을 분할하는 이유는 전력의 조류관리 측면에서 계통을 다 연계해노면 사고시 단락전류를 차단하기가 힘듦. 즉 고장의 파급이 크게 됨. 그래서 중간 중간 계통을 구분하는 타이 차단기가 들어가게 됨.

  • 작성자 08.08.16 00:15

    분할이나 연계의 기준이 있나요?? 몇 MVA 이상은 연계하면 안된다.. 뭐 이런거..

  • 08.08.16 10:53

    차단하려고 하는 것은 고장시의 전류가 기준이 되니까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그래서 나오는거지. 차단용량 넘어가면 차단을 못하니까 이 기준에 맞춰서 끊어놈.

  • 08.08.15 23:06

    좋은자료네용~ 궁금증이 화악~! 가시네용

  • 08.08.15 23:17

    분할하는 이유는 인접계통으로 사고 파급을 방지하기위해서인데, 직류송전을 하게되면 무효전력을 전달하지 않으므로 인접계통으로 유입전류가 증대하지 않기때문에 계통분할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연계하는 이유는 설비용량 절감, 경제급전, 안정된 주파수유지 등이 있습니다.

  • 08.08.15 23:17

    단락전류는 지상전류이고 지락전류는 진상전류이기때문에 무효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것과 관계가있는 것이 맞나요?

  • 작성자 08.08.16 00:15

    진상이니 지상이니는 무효분에서 생각해야지..

  • 08.08.16 00:04

    제생각엔 무효전력은 리액턴스에서 소비하는 전력인데 직류 송전방식은 교류처럼 교번하는 성분이 없으므로(주파수가 0) 리액턴스 성분 에 의한 무효전력이 발생하지 않고 그래서 전달될 전력도 없는것과 관계 되어 있을꺼 같아요..

  • 08.08.15 23:58

    이야~ 진짜 좋은 자료네요?^^; ㅎㅎ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