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민족역사정책연구소 원문보기 글쓴이: 변강쇠
영어단어에 한국어 어원 넣어보기
shovel, sap, spade, spud
그냥 엉뚱한 개인적인 생각으로 영어단어에 우리말을 어원으로 넣어본 것으로 정확한 단어 뜻은 사전을 참조하여야 하며, 아래 내용은 단지 발음이 서로 조금 비슷한 점을 생각해본 것입니다.
1. 아래의 영어단어는 우리말 발음 [삽]이 들어가 있는 느낌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1) shovel 삽, 삽질하다, 삽으로 파다 뜻인데 우리말 발음 [삽을]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고대영어 scofl, sceofol(삽 뜻), 게르만조어(祖語) skublo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으며 어원을 같이하는 것으로 스웨덴어 skovel, 중세저지(低地)독일어 schufle, 중세네덜란드어 shuffel, 네덜란드어 schoffel, 고대고지(高地)독일어 scuvala, 독일어 Schaufel이 있다고 되어있다.
shovelful 한 삽
shovelnose 삽 모양의 동물
(2) sap ① 수액(樹液), 얼간이, 약화시키다
② (군사) 대호(對壕)(적진에 다가가기 위해 파는 참호), 대호를 파다, 서서히 파고 듬
③ 아주 열심인 공부, 공부만 파는 사람, 공부만 파고들다
여기에서 ②와 ③번의 뜻일 때는 우리말 발음 [삽]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590년대에 적진에 다가가기 위해 참호를 파다 뜻이었으며 중세불어 saper, sappe(삽 뜻), 후기라틴어 sappa(삽 뜻)에서 왔으며, 비슷한 단어로 이태리어는 zappa, 스페인어는 zapa(삽 뜻)이 있고, 아마도 생명에 필수적인 피나 수액을 빼낸다는 의미를 가진 sap의 동사 형태에서 영향을 받아서 확대된 의미로는 1755년 이후로 서서히 파괴시키거나 약화시키다 뜻이 있다고 되어있다.
sapper (영) 공병(工兵)
2. 아래의 영어단어는 우리말 발음 [파(다) 또는 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1) spade 가래, 삽, 삽으로 파다, 스페이드 뜻인데 우리말 발음 [파(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땅 파는 도구 뜻으로 고대영어 spadu(삽 뜻), 게르만조어(祖語) spadan에서 온 것으로 나와 있으며 이와 어원을 같이하는 것으로는 중세네덜란드어 spade(칼 뜻), 중세저지(低地)독일어 spade, 독일어 Spaten(삽 뜻)이 있다. 또한 인도유럽조어(祖語) spe-dh-, 인도유럽조어(祖語) 어근 spe-(나무로 된 길고 납작한 조각 뜻)이 있으며 이와 어원을 같이하는 것으로는 그리스어 spathe(나무로 된 날, 나무로 된 노 뜻), 고대영어 spon(나무의 조각, 쪼개진 것 뜻),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spann(지붕널, 조각 뜻)이 있다고 되어있다.
spadework 기초 작업
(2) spud 감자, 끌 모양의 껍질 제거 도구, 잡초 뿌리 제거나 잘라내는 좁은 날이 있는 도구 뜻인데 우리말 발음 [파(다) 또는 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5C중반에 작고 볼품없는 칼 뜻이었으며 어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도 덴마크어 spyd,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spjot(창(槍) 뜻), 독일어 Spieß(창 뜻)에서 온 것 같으며, 1660년대부터 삽 뜻이 있었으며 1680년대부터는 작고 땅딸막한 사람이나 물건 뜻이었고 감자라는 뜻은 1845년에 뉴질랜드영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라고 되어있다.
bark spud 박피공구, 껍질 벗기는 기구
spudder 끌모양의 도구, (우물 팔 때의)착암기, 유정(油井)의 개갱(開坑) 작업원
(3) spuddle (고어) 조금 파다, 파헤치다 뜻으로 잘 쓰이지 않는 단어인데 우리말 발음 [파(다) 또는 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waul,caterwaul,yowl,howl,ululation,weep
그냥 엉뚱한 개인적인 생각으로 영어단어에 우리말을 어원으로 넣어본 것으로 정확한 단어 뜻은 사전을 참조하여야 하며, 아래 내용은 단지 발음이 서로 조금 비슷한 점을 생각해본 것입니다.
1. 아래의 영어단어들의 발음 속에 공통적으로 우리말 발음 [울(다)]가 들어간 느낌이 있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1) waul 응애응애(울다), 울부짖다 뜻인데 영어단어 속에 우리말 발음 [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6C에 나오는 것으로 어떤 것을 흉내 내는 것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2) caterwaul (고양이 소리 같은) 새된 소리 내다 뜻인데 영어단어 속에 우리말 발음 [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4C후반 caterwrawen, 아마도 저지(低地)독일어 katerwaulen(고양이 같이 울다 뜻)이거나 cater로부터 온 영어단어로 만들어졌으며, 중세네덜란드어 cater(수고양이 뜻)+ 중세영어 waul(울부짖다 뜻), 그리고 고대영어 wrag, wrah(화난 뜻), 또는 어원이 명확하지 않은 점도 있지만, 어떻든 어떤 것을 흉내 내는 것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3) yowl 울부짖다 뜻인데 영어단어 속에 우리말 발음 [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200년경에는 yuhelen, 아마도 어떤 것을 흉내 내는 것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yowler 울부짖듯이 말하는 사람, 멀리에서 짖는 짐승
(4) howl 울다, 울부짖다 뜻인데 영어단어 속에 우리말 발음 [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3C초반 houlen, 아마도 궁극적으로는 어떤 것을 흉내 내는 것에 온 것 같으며 다른 게르만어군에서도 발견되는 유사한 단어 형태가 있다고 되어있다.
howling 울부짖는, 휘몰아치는
(5) ululation 짖는 소리, 포효 뜻인데 영어단어 속에 우리말 발음 [울라(울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 ululationem(울부짖음, 통곡 뜻), 라틴어 ululare(울부짖다, 소리치다, 비명 지르다, 크게 애통해하다 뜻)의 과거분사 어간에서 나온 명사형, 어떤 것을 흉내내는 단어 어근의 되풀이, 그리고 그리스어 ololyzein(큰 소리로 울다 뜻), 산스크리트어 ululih(울부짖음 뜻), 고대영어 ule(올빼미 뜻)과 어원이 같은 것으로 되어있다.
ululate 울다, 울부짖다
ululant 짖는, 울부짖는, 부엉부엉 우는
2. 아래 내용은 윗부분에 쓴 내용과는 다른 것으로 우리말 한자음과 영어단어 발음을 생각해본 것인데, 영어단어 weep은 울다, 눈물 흘리다 뜻으로 우리말 한자음 [읍(泣)(울다)]느낌이 나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어원을 찾아보면 고대영어 wepan(눈물을 흘리다, 울다, 애통해하다, 애도하다, 불평하다 뜻), 게르만조어(祖語) wopjan,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op, 고대고지(高地)독일어 wuof(외치다, 외치는, 우는 뜻), 인도유럽조어(祖語) wab-(소리치며 울다 뜻), 라틴어 vapulare(매를 맞다, 채찍을 맞다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으며, 그리고 1400년경부터 돌이나 장벽위에 물 흐름으로 인해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모양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되어있다.
weepy 슬픈, 금방 눈물 날듯한
weeps 눈물
beweep 슬퍼하다, 한탄하다, 애통해하다
아래는 그냥 찾아본 것으로
한국 한자음은 泣(읍)
중국 한자음은 泣(치, qì)
일본 한자음은 泣(큐우, きゅう)로 영어단어 weep과 중국이나 일본의 발음과는 비슷한 점이 없어 보인다.
yawn, yap, yip, yawp, lip, yum-yum
그냥 엉뚱한 개인적인 생각으로 영어단어에 우리말을 어원으로 넣어본 것으로 정확한 단어 뜻은 사전을 참조하여야 하며, 아래 내용은 단지 발음이 서로 조금 비슷한 점을 생각해본 것입니다.
1. 영어단어 yawn은 하품, 하품하다, 아가리를 벌리고 있다 뜻인데 우리말 발음 [(입) 연(열려진, 열다)]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고대영어 ginian, gionian(입을 넓게 벌리다, 아가리를 벌린 뜻), 1300년경에 yenen, yonen, 게르만조어(祖語) gin-,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gina(떡 벌어져 있는 뜻), 네덜란드어 geeuwen, 고대고지(高地)독일어 ginen, 독일어 gähnen(하품하다, 떡 벌어져 있는 뜻), 인도유럽조어(祖語) ghai-(떡 벌어져 있는, 아가리를 벌린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yawnful 하품나게 하는, 지루하게 하는
yawny 하품나는(나게 하는)
yawner 하품하는 사람, 따분한 것
2. 아래의 영어단어 yap, yip, yawp, yaup은 우리말 발음 [입]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있어 보이며, 개가 짖는다는 표현으로는 yap과 yip이 동의어로 되어있다.
(1) yap 요란하게 짖어대다, 시끄럽게 지껄이다, (미 속어) 입 뜻인데 우리말 발음 [입]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600년경에 짖어대는 개 뜻의 명사적 의미가 있었고 1660년경에 개가 짖어대다 뜻이 있었으며, 아마도 어떤 것을 흉내내는 것에서 온 것 같다고 되어있다. 원래는 개가 소리내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1886년 기록에는 쓸데없는 잡담하다 뜻이 있었다. 또한 미국 속어로 입 뜻이 있는데 예를 들어 Keep your yap shut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고 되어있다.
yappy 사납게 짖어대는, 잡담하는
yapper 수다떠는 사람
(2) yip (강아지 등이)깽깽 울다 뜻인데 우리말 발음 [입]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있어 보인다. 어원을 찾아보면 15C 중엽에 중세영어 yippen, 아마도 19C초반에 방언인 yip(새처럼 짹짹 울다 뜻), 그리고 어떤 것을 흉내낸 것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3) yawp, yaup 날카로운 소리(로 말하다) 뜻인데 우리말 발음 [입]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있어 보인다. 어원을 찾아보면 1300년경에 yolpen이었고 아마도 yelpen의 소리울림의 변형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영어단어 yelp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되어있다.
yawper, yauper 고함을 지르는 사람
3. lip 입술, 입술이 ~한, 가장자리, 테두리 뜻인데 우리말 발음 [입]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고대영어는 lippa, 게르만조어(祖語) lepjon, 중세네덜란드어 lippe, 네덜란드어 lip, 고대고지(高地)독일어 lefs, 독일어 Lefze, 인도유럽조어(祖語) leb-(핥다, 입술 뜻), 라틴어 labium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1600년경에는 키스하다 뜻이 있었고 1789년부터는 입술로만 발음하다 뜻이 있다고 되어있다.
우리말 사전에서 입의 풀이를 찾아보면 입술에서 후두(喉頭)까지의 부분이며 같은 말로 입술이 있다고 되어있다. 위의 영어단어 lip, lips는 입술 뜻인데 영어단어 속에 우리말 발음 [입 또는 입술]이 들어가 있는 느낌이 있어 보인다.
4. yum-yum 맛있는 것, 냠냠 뜻인데 우리말 발음 [냠냠]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878년부터 기분 좋은 것을 나타내는 감탄사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yum 냠냠
yummy 아주 맛있는 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유아어인 감탄사 yum-yum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pump, pomp, perk, brag
1. 영어단어 pump는 우리말 발음 [품(다), 또는 뿜(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펌프는 물을 품어내는 장치 또는 물을 뿜어낸다는 생각을 해본 것이다. 어원을 찾아보면 액체나 기체를 뿜어내는 장치 뜻이며 어원은 명확하지 않으며 아마도 중세네덜란드어 pompe(수도관 뜻)이나 중세저지(低地)독일어 pumpe(펌프 뜻)(현대 독일어는 Pumpe), 북해(North Sea) 선원의 말 또는 어떤 것을 흉내 내는 말에서 온 것 같다고 되어있다.
pump 펌프, 양수기, 흡수기, 퍼올리다, 퍼내다, (거세게) 솟구치다(쏟아지다)
2. 아래의 영어단어에는 철자가 pom-이 들어간 단어들로 우리말 발음 [뽐(내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우리말 사전에서 뽐을 찾아보면 긍정적인 의미로 빼어난 것을 이르는 말이라고 되어있으며 부정적인 의미로는 뽐내는 것으로 조금은 잘 난체 하거나 못마땅한 느낌의 자랑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pomp 장관, 장려함 뜻인데 우리말 발음 [뽐]이 들어있는 느낌이 나며 어원을 찾아보면 고대불어 pompe(장엄, 웅장 뜻), 라틴어 pompa(행렬, 장엄 뜻), 그리스어 pompe(장엄한 행렬, 진열 뜻), 글자그대로 뜻은 보내는 것 뜻이며 그리스어 pempein(보내다 뜻), 교회라틴어에서는 세속적인 진열, 허영된 보여줌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되어있다.
pompous 젠체하는, 거만한
pomposity 화려, 점잔 뺌, 거드름 피움, 거만한 언행, 잘난체 하는 사람
3. perk 부수입, (귀, 꼬리) 쫑긋 서다, 기운을 차리다, 활발해지다, 진보하다, 목에 힘을 주다, 젠체하다, 으스대다 뜻인데 영어단어의 의미 중에서 우리말 발음 [뻐기(다)] 느낌이 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되는데 뻐기다를 우리말 사전에서 찾아보면 얄미울 정도로 매우 우쭐대며 자랑하다 라고 되어있다.
어원을 찾아보면 14C후반에 다듬다, 맵시좋게 만들다 뜻이었으며 아마도 고대의 북부지역 불어 perquer(높은 곳에 자리하다, 앉아있다 뜻)(현대 불어는 percher), 새가 깃털을 치장한다는 개념이 있었고 1520년경에는 힘차게 발돋움한다 뜻이었고 1650년경에는 perk up의 뜻으로 생기있게 회복하다 뜻이었다고 되어있다.
perk it 뽐내다, 젠체하다, 주제넘게 나서다
perkily 주제넘게, 의기양양하게
4. brag 자랑하다, 떠벌리다 뜻인데 우리말 발음 [보라고]하며 자랑하는 느낌이 나며 어원을 찾아보면 14C후반에 장엄, 오만, 자부심 뜻이었고 단어의 형성 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1530년경부터 자랑하는 것 뜻이었고 1734년부터는 포커 같은 카드게임 명칭도 있다고 되어있다.
또한 14C중반에 braggen(큰 소리를 내다 뜻) 그리고 자랑하면서 말하다 뜻이었고 아마도 트럼펫의 bray(거슬리는 소리)와 연관이 있거나 중세영어 형용사 brag(과시하는, 자랑스러운, 활발한, 용감한 뜻)과 연관이 있는지도 모른다고 되어있으며 어원사전 내용이 더 있으나 생략한다.
bragger 허풍선이
braggart 허풍쟁이, 떠버리
braggadocio 허풍
outbrag 허풍으로 이기다
curve, curd, curdle, curl, curling
1. 아래의 영어단어 curve는 영국식 발음으로 생각해본 것인데 단어 속에 있는 r발음을 생략해보면 발음은 [커브]로 우리말 발음 [구부(리다) 또는 굽(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나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어원을 찾아보면 15C초 구부러졌다는 뜻을 갖고 있었고 라틴어 curvus(구부러진, 굽은 뜻), 또는 curvare(굽히다, 숙이다 뜻), 인도유럽조어祖語) 어근 (s)ker-(돌리다, 굽히다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curve 곡선(을 이루다), 커브, 만곡
curvilinear 곡선으로 이루어진
curvaceous 곡선미가 있는
curvature 굽음, 만곡
curvy 굴곡이 많은
2. 아래의 영어단어도 영국식 발음으로 생각해본 것인데 단어 속에 있는 r발음을 생략해보면 우리말 발음 [굳(다)] 또는 [굳을(굳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나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1) curd 응유(凝乳)(우유가 산, 효소 등으로 인해 응고된 것) 뜻인데 발음은 [커드]로 우리말 발음 [굳(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나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어원을 찾아보면 14C후반에 crud → curd로 철자가 바뀌었으며 원래는 어떤 응고된 물질 뜻이며 아마도 고대영어 crudan(누르다, 만들게 하다 뜻), 인도유럽조어祖語) 어근 greut-(누르다, 응고하다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curdy 굳어진, 응결한
bean curd 두부
(2) curdle 분리되다, 얼어붙게 만들다 뜻인데 발음은 [커들]로 우리말 발음 [굳을(굳다)]느낌이 나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어원을 찾아보면 1500년대에는 crudle이었고 1630년대의 뜻은 걸쭉해지다, 굳게 되다 뜻이었으며 영어단어 curd(커드나 응고물을 만들다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curdle이 blood와 같이 쓰일 때는 비유적인 의미로 공포스러움을 나타낼 때가 있다.
curdler 응고시키는 것
curdle one's blood 간담을 서늘하게 하다
3. 아래의 영어단어 curl은 우리말 발음 [굴리(다)]느낌이 나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어원을 찾아보면 13C에 단어 crulle에서 r과 u 철자가 바뀌었고, 아마도 기록되지 않은 고대영어 단어나 중세네덜란드어 krul(곱슬곱슬한, 동그랗게 말린 뜻), 게르만조어(祖語) krusl-, 중세고지(高地)독일어 krol, 노르웨이어 krull 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1) curl 곱슬곱슬하다, 감기다
curly 곱슬곱슬한, 동그랗게 말린
curlicue 소용돌이 모양
(2) curling 컬링(얼음판 위에서 돌로 겨루는 게임) 뜻으로 어원을 찾아보면 영어단어 curl의 현재분사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으며 옥스포드영어사전(어원사전 내용)에 따르면 돌에 가한 움직임을 나타낸 명칭이라고 되어있으며 또 다른 사전에는 미끄러지는 돌에 전해지는 움직임에서 온 것으로 나와있다. 우리말 느낌은 (돌을 얼음판에서)[굴린(다) 또는 굴림] 느낌이 있어 보인다.
buddy, bud, butty, abut, buttress, putty
1. 영어단어 buddy는 친구 의미가 있으며 우리말 발음 [벗이](친구가) 느낌이 난다. 벗(친구)에 대한 우리말 옛말을 찾아보면 [벋]이라고 나와있으며 친구 의미일 때의 영어단어 bud는 buddy의 준말이라고 되어있다. buddy를 우리말 옛말 식으로 적어보면 [벋이] 느낌이 나기도 한다.
(1) buddy 친구, 단짝, (잘 모르는 남자에게 말 걸 경우) 아저씨 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미국영어로 아마도 brother의 변형이거나 영국 구어 butty(친구, 동료 뜻), booty fellow(약탈 물을 공유하는 공범 뜻)에서의 영어단어 booty의 변형에서 온 것 같다고 되어있다. 하지만 butty는 동료라는 뜻이 있으며 또한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지역 방언화 되었고, 광부들 사이에서 쓰여 졌다고 되어있다.
bud 친구, 싹, 꽃봉오리, 싹을 틔우다
buddy-buddy (미 구어) 아주 친한, 친절한, 친구
(2) butty (비격식) 샌드위치, (채탄 광부 사이에서) 친구, 동료 뜻이며,이때의 친구, 동료라는 뜻으로 쓰일 때의 영어단어 butty의 어원은 불명확하다고 되어있다.
2. 아래 영어단어는 철자에 -but-, put-이 들어간 단어들로 우리말 발음 [붙(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우리말 붙다의 옛말은 븥다이며 우리말 붙이다의 옛말은 브티다라고 나와 있는데 아래의 단어와 연관이 있는 느낌이 든다.
(1) abut 인접해 있는 뜻인데 우리말 발음 [붙(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나는 것으로 붙어있다(인접해 있다)는 느낌이 있다. 어원을 찾아보면 13C중엽에, ~에서 끝나다, ~에 접하다 뜻이었으며 고대불어 aboter(끝과 끝을 잇다, 다루다 뜻), a(=to)+bout(끝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abuttal 인접
abuttals 경계
abutment 인접, 접합부, 교각치
abutting plate 인접판
(2) buttress 지지대, 부벽(扶壁), 지지하다 뜻인데 우리말 발음 [붙으리 또는 붙으래(붙다)] 또는 [버티리, 버티래(버티다)]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4C초, 고대불어 botrez(플라잉 버트레스 뜻), 그리고 프랑크족 언어에서의 유래로 bouter(~에 맞서 밀치다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는 (건축) 대형건물 외벽을 떠받치는 반 아치형 벽돌이나 석조로 된 구조물 뜻.)
buttresslike 버팀벽 같은
buttress dam 부벽댐
(3) putty 퍼티 (접합제로 유리창틀을 붙이거나 철관을 잇는데 씀) 뜻인데 우리말 발음 [붙이(붙이는 것)]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난다. 어원을 찾아보면 1630년대 미장공의 시멘트 종류 뜻이었으며 불어 potee(윤내는 데 쓰는 가루 뜻), 원래는 용기에 가득찬, 용기의 내용물 뜻으로, 고대불어 pot(용기, 그릇 뜻)에서 온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1700년 경부터 창유리를 붙이는 데 쓰는 부드러운 혼합물 뜻으로 쓰였다고 되어있다.
puttylike 퍼티가루 같은
putty powder 퍼티가루
gum putty 고무 퍼티
glazier's putty 창문유리용 퍼티(접합제)
plasterer's putty 도장용 퍼티
detergent, abstergent, indelible, indel, delete, dele
1. 아래 영어단어에는 철자가 -terge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우리말 발음 [털게, 털지(털다) 또는 떨게, 떨지(떨다) 또는 뗄게(떼다)]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또한 공통적인 어원으로 라틴어 tergere(문지르다, 닦다 뜻)인데 여기에는 우리말 발음 [털게, 털제(털다) 또는 떨게, 떨제(떨다) 또는 뗄게(떼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있다.
(1)detergent 세제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 detergere(씻다, 씻어내다 뜻)의 현재분사 detergentem(주격 detergens), 그리고 de-(=off,away)+tergere(문지르다, 닦다 뜻)에서 온 것이라고 되어있다.
deterge (상처 등을) 깨끗이 하다, 정화하다
detergency 세정력, 정화력
(2) abstergent 깨끗이 하는, 세척제, 설사제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 abstergere(닦아 없애다 뜻)의 현재분사, abstergens의 어간, 라틴어 abstergent-, 그리고 abs-(=abs-)+tergere(문지르다, 닦다 뜻)에서 온 것이라고 되어있다.
absterge 닦아내다, 변이 통하게 하다
abstersion 세정
2. 아래 영어단어에는 철자가 deli-, dele-가 들어간 단어들로 우리말 사투리 발음 [띨, 띨레(띠다)(표준말은 떼다)]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또한 공통적인 어원으로 라틴어 delere(파괴하다, 완전히 가리다 뜻)가 있는데 여기에는 우리말 발음 [뗄레(떼다, 떼어버리다)]가 들어가 있는 느낌이 있다.
(1) indelible 지워지지 않는, 잊을(지울) 수 없는 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 indelebilis(지워지지 않는, 지울 수 없는, 불멸의 뜻), in-(=not, without)+delebilis(파괴될 수 있는, 말살 가능한 뜻), delere(파괴하다, 완전히 가리다 뜻)에서 온 것이라고 되어있는데 17C후반에 단어의 -e-모음이 -i-로 바뀌었다고 되어있다.
delible 삭제(말소)할 수 있는
indelible ink 만년잉크, 지워지지 않는 잉크
indelibility 지울(잊을) 수 없슴
(2) indel (해양과학) 삽입-결실(揷入-缺失) 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insertion+deletion 뜻으로 각각의 영어단어 앞부분만을 합성한 말이라고 되어있다.
(3) delete 삭제하다 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15C후반에는 파괴하다, 근절하다 뜻이었고, 라틴어 delere(파괴하다, 완전히 가리다, 지우다 뜻)의 과거분사, deletus, 원래는 delinere((처)바르다, 얼룩으로 지우다 뜻)의 완료형 시제인 delevi, 그리고 de-(=from, away)+linere(마구 바르다, 문지르다, 닦다 뜻)에서 온 것이라고 되어있다.
deletion 삭제(부분)
delenda 삭제해야 할 것
(4) dele (교정) 삭제하다 뜻인데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 delere의 단수형 명령어 dele에서 온 것이라고 되어있다.
flame, flare, blush, flush
우선 전편 Black &White가 좀 복잡한 듯하여 이를 다시 요약하고 상기 단어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 Black의 기원은 인도 유럽기어 bhleg(브렉,블엑)이며 그안에 내포된 음가 블은 불의 우리 옛말 이다.
- 인도 유럽기어 bhleg은 bhel브을), bhle(블에)로 변형되는데 이 단어들은 현대영어에서 blaze,broil,boil,bright,bleach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단어의 뜻안에 불(fire) 및 불다(blow,swell)의 뜻을 내포하고 있고 이는 우리말과 완전히 대응된다.
-현대 영어에서는 이 기원들을 가지고 왜 불(fire)과 불다(blow, swell) 등으로 단어가 생성되었는지 설명하기 힘들다.
- 상기와 같은 이유로 우리말이 영어의 기원일 수 있다.
오늘 설명 드릴 단어도 전부 전편에 소개드린 인도 유럽기어 bhleg 와 변형인 bhle(s)를 가진 단어 들입니다. 전부 "불"과 관련된 단어들이며, flush같은 경우는 우리말 흐르다 와 흘러의 뜻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 flame 〔
(b->p->f또는 v) 우리말로 풀이 해 보면 ㅂ->ㅍ->(ㅍ,ㅎ),ㅂ로 바뀌었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돌고 도는 "ㅂ"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쨌든 불과 관련된 단어로서 불꽃, 화염을 뜻하며 이 말이 더 심화되어 정열, 타오르는 듯한 감정을 뜻합니다.
2. flare〔
- flare는 위에서 설명 드린 flame에서 변형된 것이라 판단됩니다. 또한 위에 설명 드린 Grim-Verner 법칙을 우리말 자음으로 보면 f 는 b에서 나왔으니 ㅂ음가로 발음해 보면 블레어입니다. 즉 불내다라는 뜻이죠.
그런데 어원이 없다고 하니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참고로 b로 시작하는 단어 blare(블레어)는 "나팔등이 울려 퍼지다.
큰소리로 외치다 및 외치는 소리, 고함"의 뜻인데 우리말 나팔 불다와 불어 재끼는 소리 등과 같은 의미입니다.
flare 및 blare 다 우리말로 설명이 되지만 영어에서는 한쪽은 어원이 없고 한쪽은 나팔 등이 울려 퍼지다니 어원을 가지고 있어도 설명하기가 힘들어 uncertain origin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참고로 우리말 훌훌이라는 부사는 날다할 때도 쓰지만 불길이 시원스럽게 타오르는 모양도 묘사합니다. 즉 flare의 발음상에서 프흘에 흘 과 훌로 연상하셔도 좋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또 다른 뜻인 spread out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우리말에 머리카락이 풀어 해쳐진 상태를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머리가 단정치 못하고 여기저기 뻗혀 나온 상태입니다. 우리말 풀어가 flare의 또 다른 어원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어쨌든 뜻은 불길이 타오르다, 타오르게 하다, 불빛, 불타오름 와 spread out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3. blush 〔
4. flush 〔
1)얼굴이 붉어지다, 붉히다 ---->blush와 동일
2)물이 갑자기 확 쏟아지다
3)새싹이 트다
4)물로 가득찬, 동일 평면 , 평평하게(부사), 평평하게 하다
5)새가 날아오르다, 날아오르게 하다
정말 뜻 많습니다. 그러나 어원 설명은 흐르다의 라틴어 어원 fluere(흐르다) 와 새의 날개 짓 소리의 의성어에서 출발 했다고 하는 두 가지입니다. 즉 fly의 개념이 있다고 설명하는 거죠 여기서도 얼굴이 붉어지다는 설명이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flush는 blush와 같은 어원일 것입니다. 우리나라 말처럼 불이라는 명확한 개념 단어가 영어에 없기 때문에 어원 설명이 어려운 것이지요.......
그렇다면 나머지 뜻은 우리말로 어떻게 설명이 될까요? 전부 다 존재 합니다. 아래에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물이 흐르다의 라틴어 어원 fluere는 현대 영어의 flow입니다. 영어 발음 f는 우리말 ㅍ 및 ㅎ 과 대응됩니다. 즉 정확한 발음은 프흐을로우이 정도 이겠죠 발음상 ㅍ 보다는 ㅎ이 더 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F 발음 할 때 입술을 붙이지 말라고 가르키죠 아니면 약간만 붙이라고 그러면 ㅎ이 더 강해 질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말도 흘러도 입술 붙이면 발음 안 됩니다. 하야튼 우리말 흘러를 생각해보시면 라틴어 fluere에서의 flu와 같습니다. 즉 흐르다의 뜻입니다. 이 흐르다의 뜻을 가지고 평평하게 하다가 나옵니다. 영어 어원 설명대로 강물이 가득차면 수면이 강 뚝과 같아진다는 뜻에서 나온 것입니다. 또한 물을 갑자기 내리다도 이 흐르다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flush toilet(화장실 물 내리다)를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새가 날아 오르다는도 영어 어원상에는 날개 짓 소리의 흉내내는 의성어라고 설명 하는데 이 말은 우리말에 아주 자세하게 있습니다. 풀풀 또는 훌훌 날다를 생각 해 보시기 바랍니다. flush가 새가 갑자기 날아 가다의 뜻인데 fly 및 flush의 발음은 프흘라이, 프흘러쉬 우리말 부사의 어근이 다 들어 가 있는 말입니다. 한번 어린 아이들 한테 fly라는 단어 설명 할때 훌훌 날다라고 한번 말해 보세요. 아마 쉽게 연상 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Black &White
인류 문명의 태동은 불과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불은 그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불렀을 까요? 라고 생각 해 보신 분도 많으실 겁니다. 이 불이라는 단어를 통해 오늘 왜 우리말이 영어의 기원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할 수 있는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우리말 불에 대한 발음은 불에만 국한되지 않고 무엇을 불다 할 때 "불" 과 무엇이 불려지는(부풀어지는) 할 때 "불" 로 쓰입니다. 이 모든 뜻이 영어에 고스란히 남아 있으며 영어의 어원이라고 하는 인도유럽기어에서도 남아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그럼 인도유럽기어에서 우리말도 왔다고 하는게 우리나라 국력에 맞는 이야기겠지만, 우리말은 불에 관해서 단어 하나인 "불"이지만 인도유럽기어는 두음절로 쓰여 집니다. 불을 두음절로 읽으면 부르 또는 이게 변해서 부레 또는 브레 가지각색으로 변할 수 있지만 두음절이 하나로 되는 것이 더 후대의 말인지 한 음절이 두개로 변하는 것이 후대의 말인지는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또는 누가 먼저에 관심이 없으신 분들은 영어어휘 늘리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Black
- 고대 영어 : blac, 게르만 조어 : blak, 인도유럽기어 : bhleg
- 우리말 연관성 : 인도 유럽기어의 발음은 블엑. 브렉입니다. 다시 발음하면 블엑으로도 발음 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 불과 인도
유럽기어의 블엑이 어떤 차이가 있을 까요?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불의 옛말은 "블" 이었습니다. 블에 다가 조사를 부치면 블에가 되는 거죠 문명화된 한국의 배달민족이 쓰던 말 "불"을 비문명화 된 집단에서 알아들었을 때 조사까지 같이 알아들었을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너무 국수주의적 관점일 수 있으나 실제 발음상 그렇게 밖에 유추가 되지 않습니다. 이 인도 유럽기어 bhleg(브렉, 블엑)은 바로 "불태우다"의 뜻입니다. 바로 불이라는 개념을 뜻하죠, 또한 불의 우리 옛말 블과 블엑 정확히 관련이 됩니다.
현대영어에서는 검다의 형용사입니다. 불에 나무를 태웠을 때 남은 것은 검게 탄 숯을 연상해 보세요. 현대 영어 발음상에서도 블랙이니 우리 옛말 블이 남아 있습니다.
- 특이점 : 고대영어에서는 이 blac이 white(흰) 와 bright(밝음)을 뜻했습니다. 그러니까 검다 와 희다가 다 같이 한 단어인 blac으로 쓰인 것이죠. 왜 일까요? 고대 시절에 불로 나무를 태우면 검은 숯과 타다 남은 나무에 남아 있는 흰 재가 섞여 있었겠죠. 또한 불이 있는 곳에는 밝아진다는 측면에서 하얀 밝음의 뜻이 섞여 있었을 것입니다. 서두에 이야기 했던 bhleg(블엑)이 불태우다의 뜻 말고 현대영어인 gleam(미광,어스레한 빛)을 포함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이 gleam(글림, 그을림)은 우리말 끄을림으로도 연관될 수 있고 우리말 태양이 이글거리다 또는 이글거리는 불빛에서 "글"의 어간으로 대응될 수 있습니다. 이 부문은 다음편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쨌든 타면서 빛도 내지만 검은 연기나 재가 남는 것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검다 희다가 동시에 존재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관련 단어
1)Blaze : 고대영어에서는 횃불, 불을 뜻했고 현대영어에서는 불꽃, 화염을 뜻합니다. 이 blaze의 어원도 인도 유럽기어인 bhleg(브렉,블엑)의 변형인 bhles(브레스, 블레스) 와 bhel(버얼, 벨, 브엘)이라고 합니다. 우리말 불(블)이 인도유럽기어로 가서는 음절이 많이 늘어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Burn : 고대 스칸디나비어 brenna(브렌나, 블엔나)- 태우다, 빛을 뜻하는 - 에서 왔고 인도유럽기어 bhre-n-u라고 합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불타다, 불태우다, 빛나다 로 쓰이는데 마찬가지로 불과 관련이 있습니다.
3)Broil : 고대 프랑스어 bruller(브룰러, 블울러)- 굽다-에서 왔다고 하고 그 기원은 라틴어 ustulare에서 찾고 있고 urere의 과거분사형 ustus에서 왔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게르만어를 설명하면서 게르만어 br로 시작되는 단어는 태우다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하고 인도 유럽기어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왜 언급을 하지 않았을 까요? 현재 서구 언어에서는 유추가 안 되기 때문입니다. 라틴어 ustulare가 고대프랑스어 bruller 또는 brosler로 왔다고 하면 웬지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힘이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면 그렇다고 해야겠죠. 그러나 이순간 우리말을 대응해보면 어떨까요? 고대프랑스어 bruller(블울러), brosler(블로스러)에서 우리 옛말 블이 다 들어가 있고 라틴어 urere(우리르, 우려레, 우레르)도 우리말 국물을 우려내다에서 우려와 대응됩니다. 우리말 국물을 우릴 때 불을 쓰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라틴어 urere도 불태우다를 뜻합니다. 현대영어에서는 고대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불에 쬐어 굽다 입니다.
4)Boil : 이 단어는 두 가지 뜻이 있는데 하나는 우리말 종기를 뜻하고 하나는 물이 끓다, 물을 끓이다 입니다. 또한 삶아 지다의 뜻도 있고 비등점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종기"를 뜻하는 기원을 살펴보면 고대영어는 byl(빌,뷸)이고 게르만어는 bulja(불자) 이며, 인도 유럽기어로는 bhel(브엘, 벨, 버을, 브을)이라고 합니다.
바로 현대 영어 swell(부풀다, 부어오르다)의 뜻입니다. 우리말을 설명드리자면 종기는 피부가 부어오르는 것입니다. 피부가 부은, 또는 부을과 연관이 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인도유럽기어 bhel(브엘, 벨, 버을, 브을)이 부풀어오르는 부을 말고 바람이 불다(blow)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에도 바람이 불다와 부을(불)이 단 존재 합니다. 바람이 불다의 blow는 다음 편에 하겠습니다.
현대 영어 발음이 보일인데 부을과도 음가가 유사합니다. 또 다른 뜻인 끓다는 그 기원을 라틴어 bullire에서 찾고 있는데 현대 영어 bubble(거품)의 뜻입니다. 무엇이 끊을 때 거품이 나서 그렇게 단어의 뜻이 정해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도 인도유럽기어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못 찾았던지 아니면 유추가 안되서 인지 모르겠지만 이 단어도 우리말 "불"을 대응하면 쉽습니다. 물을 불로 끊이지 뭐로 끓이겠습니까? 전자레인지도 없던 시절에 말입니다. 또한 bubble은 우리말 부글부글(bugle)과 유사한 말입니다.
기원을 bobbel(보블, 바블)에서 왔다고 하는데 우리말 부글부글의 변형인 보글 보글과도 대응됩니다. 우리말 불과 연관된 단어로서 끊다의 뜻입니다. 이 두 단어는 전혀 뜻이 다른 대도 같이 쓰이고 있습니다. 왜 일까요 우리말 불다의 불 또는 부을과 물을 끓일 때 쓰는 불을 생각 해 보시면 아주 쉽게 정리가 됩니다. 서양인들은 알 수가 없겠죠.
5)Bright : 고대영어에서는 bryht이고 게르만 조어에서는 berkhiaz이고 인도 유럽어로는 bhereg입니다. 즉 bhereg이 원 어원입니다. 초반에 설명한 bhreg(블엑)과 같은 뜻입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하얀의 뜻입니다. 위에서 설명 드렸듯이 불로 태웠을 때 검게 탄 것과 하햔 재 또는 불타면 주변이 밝아진다는 뜻에서 하얀의 뜻입니다.
인도 유럽기어 자체도 미광, 하얀이라는 뜻이죠. 우리말 불과 대응하면 쉽게 이해가 되지만, 현대 영어를 쓰는 서양인들은 왜 black이 하얀과 검은색을 동시에 가졌었는지 의문이 많이 들 것입니다. 어쨌든 현대영어에서는 밝음, 환한, 빛나는 이고 더 나아가서는 영리한 뜻입니다.
6)Bleach : 고대영어에서는 blackan이고 마찬가지로 인도유럽기어 에서는 bhleg 입니다. black에서 설명 드렸듯이 불태우다와 어슴푸레 빛나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도 bright 와 마찬가지로 검다는 뜻이 배제되고 하얀의 의미에서 단어의 뜻이 나옵니다. 바로 희게 하다, 표백하다의 뜻입니다. 여기까지가 Bl , Bo, Br로 시작하는 단어의 어원이 불의 뜻을 가지고 있고 boil의 또다른 뜻인 종기가 왜 우리말 부을 과 연관이 되는지 말씀 드렸습니다. 참고로 blaze의 인도 유럽기어 어원이 bhel(부을, 브을, 벨)이고 종기를 뜻하는 boil의 어원이 bhel(부을, 브을, 벨)로서 똑 같은 단어입니다. 우리말 부을(브을)로 불타는 "불"과 불다의 "불"이 다 설명 되지만 현대 영어를 쓰는 현재의 서양인들은 왜 같은 어원에서 하나는 종기이고 다른 하나는 불과 관련 된지 알 수가 없을 것입니다. 바로 이 부문에서 우리말이 영어의 기원일 수밖에 없을 까 하는 생각이 불현듯 더 강하게 밀려오네요. 다음 편에는 bhreg(블엑)을 어원으로 가지고 있는 불에 관한 다른 단어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2. White
- 고대영어 hwit, 게르만 조어 khwitaz, 인도 유럽기어 kwintos
- 우리말 연관성 : 고대영어를 발음하면 휫이며 인도 유럽기어를 발음하면 키휜토스 또는 퀸토스입니다.
단어 음가 안에 우리말 희다의 흰이 유사하게 존재 하고 있습니다. 인도 유럽기어 뜻도 bright의 뜻입니다. 근데 여기서 한가지 우스운 점은 서양언어학자들은 정작 bright를 설명하면서 본뜻을 가지고 있는 kwintos는 설명하지 않고 bhreg(블엑)으로 설명하고 white에서는 kwintos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왜 일까요? 인도 유럽기어가 kwintos가 white에 가깝기 때문이죠. 어쨋든 비슷한 것으로 어원을 찾아야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쨌든 우리말 음가 희다는 다 들어가 있습니다. 현대영어 희다의 뜻입니다. 외에도 수많은 영어 단어 어원이 우리말과 대응됩니다. 절대 영어 공부 하시는데 스트레스 받지 마십시오.
단지 원 언어가 서쪽으로 넘어가 문법 또는 발음이 많이 변질 된 것뿐입니다. 그리고 어순도 제가 알기로 영국 스톤헨지 근방에 살았던 사람들이 썼던 고대 웰시어는 어순이 한국어와 같았다고 합니다. 전에 SUN과 SOL을 말씀 드릴 때 웰시지방에서는 Sun을 heul haul등으로 표현 했고 우리말 해와 하늘과 유사하다고 설명 드렸습니다. 그런데 자료를 찾아보니 스톤헨지를 세운 고대 사람들이 웰시인이라고 합니다. 밑에 붙여 놓았으니 보시기 바랍니다. 웰시인들과 우리 한민족 언어 측면 및 거석문화 자체에서도 공통점이 있습니다. 전 세계 고인돌의 60%가 우리 땅에 존재하는데 별로 주목 받고 있지 못하지만 어쨌든 60%가 우리 땅에 있습니다. 그 옛날 우리 선조들이 동에서 서로 가면서 어느 집단은 인도로 어느 집단은 바로 서쪽으로 갔는데 그 서쪽으로 먼저 간 집단이 웰시인들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