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총평
사주 팔자 중에서 가장 강한 오행이 자기의 직업환경이 되는 겁니다. 이것을 용신(用神)이라 보면 됩니다. 용신(用神)은 계절에서 찾는 겁니다. 계절은 월령(月令)이므로 용신이 월령(月令)을 얻어야 가장 강한 오행이 되는 것입니다. 그럼 용신(用神)이 곧 격국(格局)이 되겠죠. 그래서 간명(看命)할 적에는 가장 먼저 용신(用神)을 찾아야만 그 사람의 직업환경을 맞출 수가 있게 되는 겁니다. 이 월령에서 용신(用神)을 찾지 않고 다른 곳에서 용신(用神)을 찾게 되면 힘이 약한 용신이라 그냥 스쳐 지나가는 아르바이트 직업이 될 뿐입니다. 그 사람의 평생 직업을 알아 맞추기 무척 어렵게 됩니다. 그 다음에 희기(喜忌)를 보는 겁니다. 희기(喜忌)는 용신(用神)에 적합한 상신(相神)이 되는 겁니다. 그 상신(相神)을 돕거나 조절해주는 글자가 희신(喜神)이 되는 겁니다. 그 반대는 기신(忌神)이라 부르면 됩니다.
그러므로 이 사람의 용신(用神)은 월령 묘목(卯木)에서 투출한 갑목(甲木)이 됩니다. 즉 상관격입니다. 그러므로 상관이 이과(理科)라면 기술(技術)을 찾는 것이고 상관이 문과(文科)라면 언론 언변(言辯)을 찾아보면 됩니다.
직업의 상의(象意)는 순서대로, 배운대로 진행하면 비슷한 유사업종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용신(用神)이 묘월(卯月)갑목(甲木)으로 결정하였으면 그 상의(象意)를 분석하면 됩니다.
묘월(卯月) 갑목(甲木)에 해당하는 물상이
첫 번째로는 유아, 성장, 교육과 과련 된 부분이 가장 많고
두 번째로는 건축, 조경, 임대 건물이 많아요.
세 번째로는 "분리,이별" 또는 "가꾸고 장식하다" 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의는 연결이 된 조합 글자를 보고 판단해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 명조는 목생화(木生火)의 흐름이 나타난 명조이죠. 곧 목화통명(木火通明)이 될 수 있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계해(癸亥)수(水)에 의해 정화(丁火)가 정계충거(丁癸沖去)이니 목화통명(木火通明)은 성취하기 어렵다는 점이죠. 그럼 불발이니 정신,교육 쪽은 아닌 겁니다. 두 번 째로 건축, 조경인데 이것은 목극토(木克土)로 목(木)이 토(土)에 뿌리는 상(像)이 나타나야 합니다. 그런데 술토(戌土)가 많은 물에 둘러 쌓여 있으니 그 기능을 이루기 어렵습니다. 결국 조경, 건축,임대도 아니라는 말이죠. 마지막으로 묘목(卯木)이 도화(桃花)에 걸린 운명이니 "가꾸고 꾸미는 성향"을 찾아봐야 합니다. 그것은 정계충(丁癸沖)에서 재확인이 되는데 이것이 보직으로 상신(相神)의 확장이 됩니다. 곧 불에 달가진 정화(丁火)가 많은 물을 만나면 수증기를 일으키는 환경이 됩니다. 곧 습식 사우나, 목욕탕이 좋다는 말이죠. 또 묘목(卯木) 도화(桃花)가 손가락을 사용하는 일이 많으므로 사우나에서 일하는 피부 마사지 업종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갑목이니 머리쪽을 장식하는 이,미용이고 현침과 천의성이니 칼이나 가위를 들어야 하며 또는 쇠침으로 몸을 찔러보거나 상처를 내는 문신타투도 가능한 겁니다.
(2) 용신(用神) 묘목(卯木)과 갑목(甲木)의 상의(象意)를 분석해 봅니다.
① 묘목(卯木)의 상의(象意)
을(乙)은 생목(生木)이 되면 바람, 새가 되겠지만 인체에서는 모세혈관, 머리털이 됩니다. 사목(死木)이면 전선줄, 망사가 되겠죠. 특히 묘(卯)중의 을(乙)은 “가늘고 길다”에 의미를 가집니다. 그래서 넝쿨, 긴 끈, 긴 선으로 굴곡의 상(像)이 됩니다. 이것은 물상(物像)확대를 통해 주변 글자와 잘 조합(照合)하면 알게 됩니다. 이 사주에서는 묘목(卯木)을 조경, 인테리어, 건축으로 안 보고 의상(옷), 장식, 분장 미용실, 피부, 마사지 쪽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묘목(卯木)이 현침(懸針)인데 도화(桃花)이죠. 가늘고 길게 휘어지는 성향이 도화(桃花)로 인해 아름답게 가꾸려는 성질로 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겁니다. 또 현침이니 몸을 찌르거나 끍거나 상처를 내는 특성이 나타난다는 겁니다. 곧 이 사람의 묘목(卯木) 도화(桃花)는 “꾸미고 장식하는 성질”이 있게 됩니다. 그러면 이와 같은 동질의 직업을 찾으면 되는 겁니다. 곧 의상(옷), 장식, 분장 미용실, 피부, 마사지, 두피문신에 가깝다고 추리할 수가 있게 됩니다. 그런데 특히 묘목(卯木)이 현침이죠. 쇠와 같은 가느다란 도구를 사용하는 습성이 강합니다. 머릿결을 다듬고 가꾸는 이, 미용사 적합합니다. 인목(寅木)이 천의성(天醫星)이라 피부미용, 두피문신, 의료계통도 잘 맞습니다.
① 을목(乙木)은 손가락을 많이 사용한다
② 을(乙)의 생목(生木)은 바람, 새가 되고 을(乙)의 사목(死木)에선 긴 전선이나 선로가 된다.
③ 을(乙)은 철새이므로 소식을 전달한다. 또한 새가 날아가면 꽃이 떨어지므로 이별이다
④ 묘(卯)는 봄의 대문처럼 앙 옆으로 활짝 열리는 것이다
⑤ 묘(卯)는 양쪽이 벌어져 뻗어 나가려는 성질로 인해 이동성을 가진다. 그래서 분리, 이별이다.
⑥ 묘(卯)시에는 출근 준비로 세수(洗手)하고 화장(化粧)하고 꾸미는 시간이다. 그래서 “꾸미다, 장식하다”의 속성이 있다.
⑦ 묘는 씻어내니 세면, 화장품, 비누, 세정제(洗淨劑)이고 또 치장, 꾸밈을 의미하니 미용실, 피부, 마사지, 의상(옷), 장식, 분장이다
⑧ 묘(卯)는 토끼의 귀라서 털의 모양도 된다. 그래서 머리털이면 미용이다.
⑨ 묘(卯)는 인체에서 간, 말초신경, 모세혈관이다.
② 갑목(甲木)의 상의(象意)
갑목(甲木) 상관(傷官)을 분석해야 합니다. 갑(甲)은 뭡니까? 종합적으로 갑목은 교육, 설계, 기획, 소나무, 가로수, 기둥, 건축물, 건축, 아파트, 고층빌딩, 교회, 철탑, 탑돌, 기둥이 됩니다. 그런데 원래 갑목의 형상은 새싹이 막 둥근 껍질을 뚫고 돋아 올라오는 형상(形像)이죠. 그래서 갑(甲)의 형상은 사람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고 말하는 겁니다. 그 결과 인체에서는 갑(甲)은 간, 담, 인후염, 모발, 얼굴, 머리, 두뇌, 신경계에 해당하는 겁니다. 그래서 이 사람의 용신 목적은 머리 부분에 있게 됩니다. 뭘 하더라도 동쪽에서 성공을 이루기 쉽고 뭘 하더라도 머리 두뇌 방향이 될 겁니다. 그래서 갑목은 교육도 되지만 만약 의류쪽이라면 갑이 머리쪽이니 모자공장에서 일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갑목(甲木)은 소나무처럼 위로 쭉쭉 올라가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갑목참천(甲木參天)이라고 하는데 무언가를 우뚝 세우는 모습이죠. 가늘게 휘어지면서 쭉쭉 올라가는 형상이 마치 두피에서 솟아 오르는 모발을 연상하게도 만듭니다. 그런데 이 사람의 이발의 상을 찾으려면 보직을 알아봐야 합니다. 구체적인 보직은 상신으로 찾아 읽어내야 합니다. 정화(丁火) 편재(偏財)가 상신이 될 수 있습니다. 상의(象意)는 단독으로 나타나지 않고 혼합한 상의가 많이 등장합니다 그러므로 이 명조도 정계충하는 상의가 상신의 확장이 됩니다
(3) 정화(丁火) 편재(偏財) 상신(相神)을 분석 합니다.
갑목(甲木)이 토(土)를 만나 뿌리를 내려 가공되는 물상이라면 건축용 목재, 가구, 지물포, 종이, 섬유, 패션 쪽으로 보아도 됩니다. 그러나 이 사주에서는 정관 술토(戌土)가 큰 물에 잠겨 있어 목(木)이 땅에 뿌리를 내리는 업종은 아니라는 말이 됩니다. 또 정관은 상관 용신일 경우에 사용하기 무척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 명조는 갑목(甲木)이 정화(丁火)를 만나고 있습니다. 그러면 목화통명(木火通明)으로 활인지명(活人之命)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묘(丁卯)가 습을상정(習乙傷丁)이죠. 불에 달가진 정화(丁火) 숯불이 많은 물을 만나 수증기를 내뿜는 모양이죠. 목화통명(木火通明)에 실패한 겁니다. 그러면 이 사람은 정신 문명 쪽은 아닌 겁니다. 그러면 뭡니까? 정계충(丁癸沖)이죠. 많은 물이 정계충(丁癸沖)하면 수증기같은 하얀 연기를 일으킵니다. 이 정계충(丁癸沖)의 물상은 습식 사우나 목욕탕이 적합한 겁니다. 이 사람은 아마도 습식 사우나에 광 팬일 경우가 많습니다.
(3) 종합적으로 癸+丁+甲의 상의(象意)
묘목(卯木)은 땅을 뚫고 올라온 갑목(甲木)이 줄기를 사방으로 뻗치는 형상(形像)이죠. 그래서 묘(卯)글자는 가늘고 길게 “양쪽이 벌어진다”는 모양이므로 “분리 이별”의 의미를 가집니다. 도화의 꾸미고 장식하는 성질과 묘목의 분리, 이별이 가지는 두 상의(象意)가 일치되는 직업을 찾아보면 됩니다. 갑목 머리칼이 머리에서 분리되는 모양입니다. 머리에서 모발을 짤라 분리하는 직업이 되겠죠. 묘목(卯木)이므로 손가락을 많이 사용해야 합니다. 많은 물이 정화(丁火) 숯불과 정계충(丁癸沖)이 되면 숯불에서 연기가 올라오면서 수증기를 일으킵니다. 곧 습식 사우나, 미용실의 상의가 나타납니다.
(4) 근황
이.미용 [이발관 운영 사장]
자료출처 태양작명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