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너에게 편지를 원문보기 글쓴이: 스테렉스
안전반경의 확인(Safety) | |
플레이어는 스트로크 또는 연습스윙을 하기 전에 골프클럽의 회전반경 내에 동반플레이어나 기타 다른 사람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또한 스트로크나 연습스윙으로 인해 볼, 돌, 자갈이나 나뭇가지 등이 날아가 주위 사람을 다치게 할 우려도 있으므로 안전거리에 아무도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티잉그라운드를 포함해 볼을 칠 때는 자신의 최대 비거리 이상으로 앞 조가 나간 후 샷을 한다. 다른 사람들이 있는 곳으로 기대 이상 볼이 날아가면 곧 큰소리로 “Fore” 또는 “볼”이라고 소리를 질러 위험을 알린다. |
|
| |
플레이를 방해하거나 산만하게 하지 않는다(No Disturbance or Distraction) | |
| |
적당한 페이스를 유지한다.(Play at Good Pace and Keep Up) 동반 플레이어 및 선, 후행조 등 모든 사람들을 위해 플레이어는 신속하게 플레이 해야 한다. 그리고 패스받은 후속조가 볼의 도달거리 밖으로 나갈 때까지 플레이를 재개해서는 안된다. 한 홀의 플레이가 끝나면 플레이어는 즉시 퍼팅 그린을 떠나야 한다. 만일 코스에서 부득이한 사유로 자신의 조가 지체돼 앞 조와의 간격이 완전히 한 홀 이상 차이가 날때는 후속조를 패스시켜야 한다. 플레이는 빨리 한다(Be Ready to Play) 공의 분실(Lost Balls)
| |
![]() | |
정하지 않는 한 2구(2인)로 플레이하는 조가 3구(3인) 또는 4구(4인)로 플레이하는 조에 우선권을 가지며 패스할 권리도 갖게 됨으로 이에 응해야 한다. 즉 코스에서 여러 조가 밀렸을 때 동반플레이어의 인원이 적은 조가 많은 조보다 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우선권을 갖는다. 그러나 단독 플레이어는 이러한 권리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2, 3, 4구의 조에게 양보해야 한다. 한편 1라운드보다 짧은 라운드를 하는 조는 1라운드 전부를 플레이 하는 조를 패스시켜야한다. | |
![]() | |
벙커 내의 구멍(Hole in Bunkers) 벙커에 들어갈 때는 아무곳으로나 들어가서는 안된다. 벙커바깥으로 걸어서 자신의 볼 위치에 가는 것이 상대방이나 자신을 위한 매너이므로 벙커 위에서 걸어 다니는 행동은 하지 않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벙커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는 벙커외곽과 볼의 위치가 가장 단거리인 지점을 이용한 동선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무의식결에 먼 곳으로 들어갔을 경우 나중에 나올 때 벙커를 고르는 일이 더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플레이어는 벙커샷을 한 후 벙커를 나오기 전에 자기가 만든 디봇자국이나 발자국을 고무래를 이용해 원래대로 평탄하게 고쳐 놓고 나와야 한다. 규칙에 따르면 벙커 내의 상태는 볼을 다 칠 때까지 절대로 고칠 수 없기 때문이다. 벙커에 들어갈 때는 볼의 후방으로부터 턱이 낮고 볼에 가까운 곳부터 들어가고 볼보다 홀에 가까운 쪽으로는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벙커에서 나갈 때는 들어왔던 길로 나간다. 벙커 고무래는 샷을 한 후 즉시 집을 수 있도록 볼 근처에 둔다. 모래는 플레이의 선을 따라 고르게 한다. 벙커 샷 후에는 반드시 모래를 고르게 해야하는 데, 그린의 핀(깃대)방향으로 플레이 라인에 따라 고친다. 그린 및 디보트 손상 복구(Replace Divot ; Repair Ball-Marks and Damage by Shoes) 깃대, 백(bags) 등에 의한 그린의 손상(Damage to Green-Flagsticks, Bags, etc.) 연습스윙에 의한 손상(Damage Through Practice Swing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