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Isc, Voc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Isc(Short-Circuit Current) : 전압이 0일 때의 전류
Voc(Open-Circuit Volt) : 태양전지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의 전압
전 처음에 잘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다음 그림을 보니 쉽게 이해가 가더라구요.

출처 : http://www.solarcenter.co.kr/

또한, 태양전지에서 나오는 전력은 전류와 전압을 곱하여 얻을 수 있으며 그림과 같이 최대전류(Max Power Current : Imp)와 최대전압(Max. Power Volt : Vmp)이 만나는 최적의 동작점에서 발생한 전력이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Max. Power)값이 됩니다.
즉, 효율식은 Isc*Voc*FF 뿐만 아니라, FF가 결정되는 지점에서의 전압과 전류를 각각 Imax, Vmax로 볼 수 있고 때문에
Imax*Vmax=Isc*Voc*FF식이 나오는 것 같습니다. 만약 FF가 1이라면 위의 V-I 그래프가 직사각형이 되고 Isc=Imax, Voc=Vmax가 되겠죠?
많이 부족하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 적어봤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지적해주세요~
근데 솔직히 아직 Isc(short-circuit)와 Voc(open-circuit) 개념이 왜 사용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요. ㅠㅠ
이 부분 혹시 쉽게 설명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좋은지식감사합니다.
저는 아직도 해깔립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단순화 해서 전압은 수압, 전류는 수량으로 비유하고 태양전지는 물 펌프로 가정
1. 태양전지에 빛을 비춘다 -> 물 펌프 작동
2. 단락 전류 (전압 0V일때 최대 전류값) -> 물관 직경이 넓어 수압(즉 전압)이 0일때, 최대 수량값(즉 전류값)
3. 개방 전압(전류 0A일때 최대 전압값) -> 물관 직경이 엄청 엄청 좁아 수량(즉 전류)이 0일때, 최대 수압(즉 전압)
정리 단락전류는 저항없이 최대로 흐를수 있는 전류를 뜻하고 개방전압은 저항이 너무커 전하가 이동 못 할때의 전압
이해에 도움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