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集註 (맹자 집주)
卷之 七 離 婁 章句 上 (권지 칠 이루 장구 상)
49 孟子 曰 居 下位而 不獲於 上 (맹자 왈 거 하위이 불획어 상) 이면,
1 2 5 3 4 9 8 7 6
民不 可得而 治也 (민불 가득이 치야) 리라, 獲於 上 (획어 상) 이,
1 5 2 3 4 3 2 1
有道 (유도) 하니, 不信於 友 (불신어 우) 하면, 弗獲於 上矣
2 1 4 3 2 1 4 3 2 1
(불획어 상의) 리라, 信於 友 有道 (신어 우 유도) 하니, 事親 弗悅
3 2 1 5 4 2 1 4 3
(사친 불열) 이면, 弗信於 友矣 (불신어 우의) 리라, 悅親 (열친) 이,
4 3 2 1 2 1
有道 (유도) 하니, 反身 不誠 (반신 불성) 이면, 不悅於 親矣
4 3 2 1 4 3 4 3 2 1
(불열어 친의) 리라, 誠身 (성신) 이, 有道 (유도) 하니, 不明乎 善
2 1 4 3 3 2 1
(불명호 선) 이면, 不誠 其身矣 (불성 기신의) 리라.
4 3 1 2
解釋 맹자가 말하기를 아랫 자리에 있으면서 윗 사람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면,
백성을 가히 얻어 다스리지 못하리라. 윗 사람에게 신임을 얻음에, 길이
있나니, 벗에게 믿음이 없으면, 윗 사람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리라,
벗에게 믿음은 길이 있나니, 어버이를 섬김에 기쁘게 못하면, 벗에게 믿음이
없으리라. 어버이를 기쁘게 함에, 길이 있나니, 자신에게 돌이켜 성실하지
못하면, 어버이에게 기쁘게하지 못하리라, 자신이 성실함이 길이 있나이,
착함에 밝지 못하면, 그 자신이 성실하지 못하리라.
字解 孟子 (맹자) 曰: 말할 왈. 居: 있을 거. 下: 아래 하. 位: 자리 위.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不; 못할 불. 獲; 신임얻을 획 (신임을 얻다란 뜻)
於: 어조사 어. 上: 윗 상 (윗 사람이란 뜻) 民: 백성 민. 不: 못할 불.
可: 가히 가. 得; 얻을 득,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治: 다스릴 치.
也; 어조사 야. 獲; 신임얻을 획. 於: 어조사 어. 上; 윗 상. 有: 있을 유.
道: 길 도. 不; 못할 불. 信: 믿을 신. 於: 어조사 어. 友; 벗 우.
弗: 아닐 불 (못하다란 뜻) 獲: 신임얻을 획 (신임을 얻다란 뜻) 於; 어조사 어.
上: 윗 상. 矣; 어조사 의. 信: 믿을 신. 於: 어조사 어. 友: 벗 우.
有: 있을 유. 道: 길 도. 事; 섬길 사. 親; 어버이 친.
弗: 아닐 불 (못하다란 뜻) 悅: 기쁠 열. 弗: 아닐 불 (없다란 뜻)
信; 믿을 신. 於: 어조사 어. 友: 벗 우. 矣: 어조사 의.
悅: 기쁠 열. 親: 어버이친. 有: 있을 유. 道: 길 도. 反: 돌이킬 반.
身: 몸 신 (자신이란 뜻) 不: 못할 불. 誠: 성실할 성. 不; 못할 불.
悅: 기쁠 열. 於: 어조사 어. 親: 어버이 친. 矣: 어조사 의. 誠: 성실할 성.
身: 몸 신 (자신이란 뜻) 有: 있을 유. 道: 길 도. 不; 못할 불.
明: 밝을 명. 乎: 어조사 호. 善; 착할 선. 不: 못할 불. 誠: 성실할 성.
其: 그 기. 身: 몸 신 (자신이란 뜻) 矣: 어조사 의.
50 是故 (시고) 로, 誠者 (성자) 는, 天之 道也 (천지 도야) 오, 思誠 者
1 2 1 2 1 2 3 2 1 3
(사성 자) 는, 人之 道也 (인지 도야) 니라.
1 2 3
51 至誠而 不動 者 未之 有也 (지성이 부동 자미지 유야) 니, 不誠 (불성) 이면,
1 2 4 3 5 7 6 2 1
未有 能動 者也 (미유 능동 자야) 니라.
5 4 1 2 3
解釋 50 이런 까닭으로, 성실한 것은, 하늘의 도요, 성실을 생각하는 것은,
사람의 도 이니라.
51 지극히 성실하면서 움직이지 못할 것은 있지 아니하니, 성실하지 못하면,
능히 움직이는 것이 있지 아니하니라.
字解 50 是: 이 시. 故: 까닭 고. 誠: 성실할 성. 者: 것 자. 天; 하늘 천.
之; 어조사 지. 道: 도 도. 也: 어조사 야. 思: 생각할 사. 誠; 성실할 성.
者: 것 자. 人: 사람 인. 之: 어조사 지 (~ 의란 뜻) 道: 도 도. 也: 어조사 야.
51 至: 지극할 지. 誠: 성실할 성.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不: 못할 불.
動: 움직일 동. 者: 것 자. 未: 아닐 미. 之: 어조사 지. 有: 있을 유.
也: 어조사 야. 不: 못할 불. 誠: 성실할 성. 未: 아닐 미. 有: 있을 유.
能: 능히할 능. 動: 움직일 동. 者: 것 자. 也: 어조사 야.
52 孟子 曰 伯夷 辟紂 (백자 왈 백이 피주) 하야, 居 北海之 濱 (거 북해지 빈) 이러니.
1 2 3 5 4 4 1 2 3
聞 文王 作興 (문 문왕 작흥) 하고, 曰 盍歸乎 來 (왈 합귀호 래) 리오,
4 1 2 3 1 2 3 4
吾聞 西伯 (오문 서백) 은, 善養 老者 (선양 노자) 라 하고, 太公 (태공) 이,
1 2 3 3 4 1 2 1
辟紂 (피주) 하야, 居 東海之 濱 (거 동해지 빈) 이러니, 聞 文王 作興
3 2 4 1 2 3 3 1 2 3
(문 문왕 작흥) 하고, 曰 盍歸乎 來 (왈 합귀호 래) 리오, 吾聞 西伯
1 2 3 4 1 2 3
(오문 서백) 은, 善養 老者 (선양 노자) 라 하니,
3 4 1 2
解釋 맹자가 말하기를 백이가 폭군 주왕을 피하여, 북쪽 바다의 물가에 살더니,
문왕이 일으켜 일어남을 듣고, 말하기를 어찌 돌아 오지 않으리오,?"
나는 들으니 서백은, 늙은 사람을 잘 봉양한다라 하고, 태공이, 폭군 주왕을
피하여, 동쪽 바다의 물가에 살더니, 문왕이 일으켜 일어남을 듣고, 말하기를
어찌 돌아 오지 않으리오,?" 내가 들으니 서백은, 늙은 사람을 잘 봉양함이라 하니라.
字解 孟子 (맹자) 曰: 말할 왈. 伯夷 (백이) 辟: 피할 피. 紂: 주왕 주 (폭군 중왕)
居: 살 거. 北: 북쪽 북. 海: 바다 해. 之: 어조사 지 (~ 의란 뜻) 濱: 물가 빈.
聞: 들을 문. 文王 (문왕) 作: 일어날 작. 興: 일어날 흥. 曰; 말할 왈.
盍: 어찌아니할 합 (何不盍으로, 어찌 歸 ~ 來 않으리오란 뜻임) 歸: 돌아올 귀.
乎: 어조사 호. 來: 올 래. 吾: 나 오 (내가란 뜻) 聞: 들을 문. 西伯 (서벡)
善: 잘할 선. 養; 봉양할 양. 老: 늙을 노. 者: 사람 자. 太公 (태공) 辟: 피할 피.
紂: 주왕 주 (폭군 중왕) 居: 살 거. 東; 동쪽 동. 海; 바다해.
之; 어조사 지 (~ 의란 뜻) 濱: 물가 빈. 聞: 들을 문. 文王 (문왕) 作: 이르킬 작.
興: 일어날 흥. 曰; 말할 왈. 盍: 어찌아니할 합 (何不盍으로, 어찌 歸 ~ 來 않으리오란 뜻임)
歸: 돌아갈 귀. 乎: 어조사 호. 來: 올 래. 吾: 나 오 (내가란 뜻) 聞: 들을 문.
西伯 (서백) 善: 잘할 선. 養; 봉양할 양. 老: 늙을 노. 者: 사람 자.
伯夷(백이)는: 은나라의 처사이며, 수양산에서 굶어 죽었음.
西伯(서백)은: 문왕의 별명 임.
太公 (태공)은: 주 나라 초기의 명 정치가 임.
盍: 어찌아니할 합 (何不盍으로, 어찌 歸(돌아올 귀) ~ 來(올래) 않으리오란 뜻임)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