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스마트 IoT월동창고 현황 보고
글쓴이 : 비하이브 김천갑
카카오톡ID : chungab
* 댓글로 함께 논의하는 것을 적극 환영합니다
습도가 문제네요. 온도가 내려가면 습도도 비례해서 올라가네요. 새벽 4:30~9:26am에 습도가 90.5%정도로 가장 높네요. 그리고 비닐하우스형 월동창고가 완전폐쇠는 아니지만 측창을 내려서 80~90% 폐쇠상태라 습이 내부에 갖히나봐요. 물론 벌들도 호흡을 하니까 수분이 배출되겠죠. 그래서 환기장치가 필요한 것 같아요.
이렇게 상대습도가 높으면 이슬점도 낮아지거든요. 측창 하단에 틈새를 막아놓은 것을 제거해봐야겠네요. 습도가 60%~70% 유지해줘도 좋은데 ...
9:14am 현재 밖의 온도는 -4°C, 채감온도는 -2°C입니다. 습도는 87%이니 자연적으로 습도가 70% 이하로.내려갈리가 없겠네요. 월동창고 내부 상대습도는 90.5%이니 월동창고 습도는 외부 습도보다 3.5%가 높습니다.
자연상태에서 온도가 떨어지면 습도가 올라가는 것이 어쩔 수 없는 건가요? 비닐하우스형이어서 측창 하단에 틈이 많이 있어서 별도로 환기창을 달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은데 ...
여러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아래 자료들은 제가 직접 아두이노 호환 마이크로콘트롤러인 WeMos D1 WiFi로 IoT(사물인터넷) 자동화시스템을 만들어서 월동창고 내부 온습도를 모니터링을 하면서 온도가 10도 아래로 떨어지면 리큅건조기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월동창고 내부를 가온을 하도록 했습니다. 이 스마트IoT자동화시스템은 월동창고 내부에 설치되어있고 인터넷에 WiFi AP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온습도센서를 추가로 구입하면 월동창고 밖의 온습도도 측정하여 스마트폰으로 보내도록 할 예정입니다.
아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Blynk_Demo01에서 오전 9:17분 현재 온도가 10도 이하여서 히터가 켜져있음을 LED1의 빨간색이 알려주고 있습니다. LED1 위의 화살표 곡선은 일주일간 날마다 초/분/시/날짜 단위로 각종 장치를 ON/OFF 스케쥴을 설정하고 스마트폰이나 이메일 또는 트위터로 그 작동 현황을 알려주는 Eventer Settings 위젯입니다.
TLIMIT는 히터(HEATER)를 ON/OFF시켜줄 기준 온도를 설정하는 Step H Setting 위젯입니다. -/+ 클릭하면 기준온도값을 원격으로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전세계 어디서나 인터넷만 스마트폰으로 연결할 수 있으면 내 농장(지리산반딧불농장)의 월동창고의 온습도를 모니터링하고, 또 월동창고 히터를 ON/OFF 시키는 기준을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다음과 같이 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IoT자동화시스템 만드릭 교육을 시켜왔습니다.
1. 용북중학교 학생 아두이노 마이크로컨트롤러 활용 코딩교육
2. 아두이노를 활용한 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토요다빈치반 교육 (남원교육지원청)
3. 임실교육지원청 주최 2017 교육박람회 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코딩 교육 부스 운영
4. 남원교육지원청 2016 교육박람회 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코딩 교육 부스 운영
5. 전라북도교육청 주최 2017 교육특구 박람회 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IoT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체험부스 운영
6. 지리산생활과학교실연구회 IoT스마트팜 & 스마트하우스 자동화시스템 개발 및 코딩 교육 담당자
7. 토착미생물을 활용한 적정기술 적용 스마트팜 실험 기획 중 (2017.12~2018.3)
8. 비닐하우스형 월동창고에 아두이노 호환 WeMos D1 WiFi 마이크로콘트롤러 활용 IoT 스마트콘트롤러 설치 운영중



cf. 연세 드신 분들을 위해 글씨를 굵고 크게 조정했습니다.
완전 최 신식이군요 농부들이 잘 살려면 95%의 과학에 5%의 노동이면 편하고 잘 살텐데 한국도 앞으로는 이스라엘처럼 과학영농을 해야 되겠지요 습도 문제는 간단히 해결되겠네요 벽에 Ventilation fan 이 2개 있으면 그 팬을 가동시키세요
그러면 습도 문제는 해결되겠네요 팬이 몇 마력인지 Information 이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기가 어렵지만 예를들면 1~2평화장실에 환기팬 있지요 그팬 마력이 약 1/20마력에서 1/30마력 이거든요 이렇게 작은 팬으로도 화장실 습기를 제거하지요 그리고 온도 Setting 차이 문제는 0.1도씨 단위로 setting 할수있는 Temperature control 이 있습니다
아무쪼록 잘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저두 기회가되면
사물인터넷(IoT)을 사용해서 벌 키우는 집을 지어볼까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드립니다
<우엠가 beehive system> 입니다.
벌집 48개들이 후면 개폐식 4층 벌통이 7개 세팅되고, 전면은 비가림과 그늘 제공을 위한 차양, 그 골조에 연결된 개폐식 말벌침입 방지 프레임이 설치됩니다.
하우스 뒷문을 열고 들어가면, 맞은편에 벌통 7개의 뒷문이 있고, 씽크대, 수납장, 채밀장비 등이 있죠.
자연 환기구는 천정에 2개소가 있는데, 강제 환기가 필요하다면 설치 가능하고 난방면적 5평형 정도의 온풍기와 제습기를 설치하고 자동으로 컨트롤하면 특별한 월동보온 없이 무난한 월동이 가능하겠지요.
한쪽 벽면을 잘라 옆에서 들여다 본 모습.
고정양봉으로 자연완숙천연꿀 생산을 위한 4층(랑스트로식 벌통기준 6층) 후면 개폐식 벌통으로
양봉인구의 고령화에도 수월한 관리가 되게 하고, 벌꿀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여 수입벌꿀에 경쟁력을 확보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갖추어 고품질 벌꿀로 브랜드화 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그래서 1차 준비로 [꿀만꿀] 브랜드 등록하였고, 브랜드 부착한 고품질 유리병 1kg천연꿀은
고객의 주문 예약을 불러 올 만큼 그 사업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옛날 목진유 선생님의 논문대로, 이 벌통에서 90kg의 완숙꿀 채밀이 2차 목표이며
3년 동안 실험을 토대로 한 모델하우스를 2월에 제작합니다
이 시스템에 IOT 가 접목되면 이름하여 [Smart Bee house]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동 사양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스마트폰으로 컨트롤하는 기능 정도는 간단하겠지요.
남원에서 모든 벌통으로 들어가는 사양호스의 수평을 유지하여 자동사양기, 부이가 달린 사양기를 설치하지 않고 사양은 하는 분이 있는데 수평을 모두 맞추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그냥 쉽게하려면 부이가 달린 사양기를 벌통 내부에장착하고 티이밍 스케쥴러, 즉 스마트폰 앱의 eventer widget을 이용해서 사양 스케쥴을 초.분.시.날자.요일 단위로 1주간 설정해서 자동으로 해당 계절에 자동자양을 해야겠죠. 이 때 DC솔레노이드 벨브를 사용하면 됩니다. 충분히 가능하죠. 원격으로 직접 ON/OFF시킬 수 있습니다. AC 220V 솔레노이드 벨브보다 DC 24V솔레노이드 벨브가 더 안전합니다.
@비하이브 김천갑(남원) Dc가 더 안전하군요
토털 컨트롤 시스템을 구성해서 전용 앱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완벽한 솔루션이 될 것 같습니다
앱의 명칭은
(Smart beehive control)
그래서 결국
Smart beehive system 과
Smart beehive control 이
콜라보 하면
이상적인 양봉 시스템이 탄생하겠죠
@우엠가 Smart Winter Shed나 Smart Winter Warehouse가 좋지 앟을까요. 꼭 영어표현을 달 필요는 없지만 ... ㅠㅠ
@비하이브 김천갑(남원) 앱의 상품성을 고려하면
Bee 는 꼭 필요한 단어라고 생각됩니다
누가 보아도 양봉관련 앱으로 인식될테니까요
또한 자동 사양 컨트롤 기능이 추가된다면 winter 용으로 한정되는 시스템이 아니므로
겨울용이라는 인식은 불필요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극 사양과 월동 먹이 사양에도 적용 가능하니까요
또한,
한여름에 실내 기온을 다운하는 냉방 컨트롤까지 첨부하면 사계절 가동되는 시스템이죠
@우엠가 월동창고가 아니라 양봉용 IoT자동화시스템을 말씀하시는군요.
1. IoT Smart Honeybee Keeping System
2. IoT Smart Honeybee Keeping Control Block
3. IoT Smart System for Honeybee Keeping
4. IoT Smart Controller for Beekeeping
이름이 중요한것은 아닐겁니다 양봉인이 요구하는 바를 충족시키는게 중요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