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용 제31장(第三十一章) 천도 그 아래 네 가지는 바로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덕(德)이다
唯天下至聖이야 爲能聰明睿知(智) 足以有臨也니 寬裕溫柔 足以有容也며 發强剛毅 足以有執也며 齊(재)莊中正이 足以有敬也며 文理密察이 足以有別也니라
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인(聖人)이어야 총명예지(聰明睿智)가 족히 임할 수 있으니, 관유온유(寬裕溫柔)가 족히 용납함이 있으며, 발강강의(發强剛毅)가 족히 잡음이 있으며, 재장중정(齊莊中正)이 족히 공경함이 있으며, 문리밀찰(文理密察)이 족히 분별함이 있는 것이다.
聰明睿知는 生知之質이라 臨은 謂居上而臨下也라 其下四者는 乃仁義禮智之德이라 文은 文章也요 理는 條理也요 密은 詳細也요 察은 明辨也라
총명예지(聰明睿智)는 생이지지(生而知之)의 자질이다. 임(臨)은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임함을 이른다. 그 아래 네 가지는 바로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덕(德)이다. 문(文)은 문장(文章)이요, 이(理)는 조리(條理)요, 밀(密)은 상세함이요, 찰(察)은 밝게 분변함이다.
溥博淵泉하여 而時出之니라
부박(溥博)하고 연천(淵泉)하여 때로 나온다.
溥博은 周徧而廣濶也요 淵泉은 靜深而有本也라 出은 發見也라 言五者之德 이 充積於中而以時發見於外也라
부박(溥博)은 두루하고 넓음이요, 연천(淵泉)은 고요하고 깊고 근본이 있는 것이다. 출(出)은 발현(發見)함이니, 다섯 가지의 덕(德)이 안에 충적(充積)되어 때로 밖에 발현됨을 말씀한 것이다.
溥博은 如天하고 淵泉은 如淵하니 見(현)而民莫不敬하며 言而民莫不信하며 行而民莫不說(열) 이니라
부박(溥博)은 하늘과 같고, 연천(淵泉)은 못과 같으니, 나타남에 백성들이 공경하지 않는 이가 없고, 말함에 백성들이 믿지 않는 이가 없고, 행함에 백성들이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다.
言其充積極其盛而發見當其可也라
충적(充積)함이 그 성(盛)함을 지극히 하고 발현됨이 그 옳음에 합당함을 말씀한 것이다.
是以로 聲名이 洋溢乎中國하여 施(이)及蠻貊하여 舟車所至와 人力所通과 天之所覆와 地之所載와 日月所照와 霜露所隊(墜) 에 凡有血氣者莫不尊親하나니 故로 曰配天이니라
이 때문에 성명(聲名)이 중국(中國)에 넘쳐 만맥(蠻貊)에 뻗쳐서 배와 수레가 이르는 바와 인력(人力)이 통하는 바와 하늘이 덮어주는 바와 땅이 실어주는 바와 일월(日月)이 비추는 바와 서리와 이슬이 내리는 바에 모든 혈기(血氣)를 가지고 있는 것들이 존경하고 친애(親愛)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하늘을 배합한다고 말한 것이다.
舟車所至以下는 蓋極言之라 配天은 言其德之所及이 廣大如天也라
주거소지(舟車所至) 이하는 이것을 지극히 말씀한 것이다. 하늘을 배합한다는 것은 그 덕(德)의 미치는 바가 광대(廣大)하여 하늘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右는 第三十一章이라 承上章而言小德之川流하니 亦天道也라
우(右)는 제31장(第三十一章)이다. 상장(上章)을 이어 소덕(小德)의 천류(川流)를 말씀하였으니, 이 또한 천도(天道)이다.
-------------------------------------
(중용 31장)
唯天下至聖,
爲能聰明睿知, 足以有臨也;
寬裕溫柔, 足以有容也;
發強剛毅, 足以有執也;
齊莊中正, 足以有敬也;
文理密察, 足以有別也。
유천하지성
위능총명예지 족이유림야
관유온유 족이유용야
발강강의 족이유집야
제장중정 족이유경야
문리밀찰 족이유별야
<직역>
오로지(唯) 천하의 지극한 성인(天下至聖)이라야
능히(能) 총명(聰明)과 예지(睿知)를 행한다(爲) 임함이 있기(有臨)에 충분하(足以)다(也)
관대(寬)하고 넉넉하고(裕) 따뜻하고(溫) 부드럽다(柔) 받아들임이 있기(有容)에 충분하(足以)다(也)
분발하고(發) 강하고(強) 강직하고(剛) 굳세다(毅) 일을 집행하기(有執)에 충분하(足以)다(也)
단정하고(齊) 장중하고(莊) 중심을 잡고(中) 바르다(正) 공경심이 있기(有敬)에 충분하(足以)다(也)
문화(文)와 이치(理)를 빈틈없이(密) 살핀다(察) 분별이 있기(有別)에 충분하(足以)다(也)
<번역>
오로지 천하의 지극한 성인이라야 능히 총명하고 예지를 발휘하기에 사람들에게 군림할 수 있다.
관대하고 넉넉하고 따뜻하고 부드럽기에 사람들의 잘못을 용납할 수 있다.
분발하고 강하고 강직하고 굳세기에 일을 집행할 수 있다.
단정하고 장중하며 중심을 잡고 바르기에 공경함이 있을 수 있다.
문장과 이치를 빈틈없이 살피기에 분별할 수가 있다.
<해설>
이 곳은 공자를 성인으로 만들어 공자의 학문을 종교로 만들려고 하는 자사의 주장이 들어 있는 장이다.
성인에서 끝나지 않는다. 공선생님을 우주 질서의 조정자 정도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
<한자>
睿(슬기 예) : 슬기, 성인의 언행, 슬기롭다, 총명하다, 깊고 밝다
足以(족이) : ~하기에 충분하다, ~에 족하다, 충분히 ~할 수 있다
裕(넉넉할 유) : 넉넉하다, 옷이 헐렁하다, 너그럽다, 받아들이다
毅(굳셀 의) : 굳세다, 강인하다, 성을 발끈하다
莊(씩씩할 장) : 씩씩하다, 단정하다, 바르다, 엄하다, 장중하다, 정중하다, 장원, 별장
<영역>
It is only he, possessed of all sagely qualities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shows himself quick in apprehension, clear in discernment, of far-reaching intelligence, and all-embracing knowledge, fitted to exercise rule; magnanimous, generous, benign, and mild, fitted to exercise forbearance; impulsive, energetic, firm, and enduring, fitted to maintain a firm hold; self-adjusted, grave, never swerving from the Mean, and correct, fitted to command reverence; accomplished, distinctive, concentrative, and searching, fitted to exercise discrimination.
溥博,淵泉,而時出之。
溥博如天;淵泉如淵。
見而民莫不敬;言而民莫不信;行而民莫不說。
부박 연천 이시출지
부박여천 연천여연
현이민막불경 언이민막불신 행이민막불열
<직역>
펴져서 넓고(溥博) 깊은 샘(淵泉)처럼(而) 시시때때로(時) 그것을 내놓는다(出之)
펴저서 넒음(溥博)은 하늘 같고(如天) 깊고 깊음(淵泉)은 깊은 샘같다(如淵)
모습을 나타내(見)면(而) 백성(民)이 공경하지 않음(不敬)이 없고(莫) 말하면(言而) 백성(民)이 믿지 않음(不信)이 없고(莫) 행하면(行而) 백성이(民) 기뻐하지 않음(不說)이 없다(莫)
<번역>
펴져서 넓도다, 깊은 연못 같도다. 그리고 때에 맞게 그런 것들을 내놓는다.
펴져서 넓기는 하늘 같고, 깊고 깊음은 심연과 같다.
모습을 나타내면 백성이 공경하지 않음이 없고, 말하면 백성이 믿지 않음이 없고, 행하면 백성이 기뻐하지 않음이 없다.
<해설>
논어와 매우 다르다. 논어에서 공선생님은 평범한 무지렁이들에게 당하고, 어설픈 은둔자들에게 욕을 얻어 먹었다. 그러면 멍하니 있거나 어쩔 수 없이 그들의 비난을 받아 들이신다. 사람들이 공선생님을 상가집 개 같다고 까지 말하기도 한다. 그러자 공선생님 이렇게 말했다. "如喪家之狗,然乎哉!然乎哉!"(상가집 개같다고? 그렇도다. 그렇도다. - 공자가어) 이런 상황인데 백성들이 공자의 행위에 기뻐하지 않음이 없었다니?? 아무리 손자라도 이런 근거 부족한 말을 태연히 하시면 곤란하다. 우상화는 이렇게 진행되는 것이다.
그 생동감 넘치던 공선생님의 일생은 이제 손자 자사에 의해 박제화 되고 있다. 마치 사회주의 국가가 지도자의 시신을 방부처리해 전시하는 것과 별로 다를 바 없다. 중용은 이처럼 공자의 인간적임이 사라지는 곳이며, 그 인간적 가르침이 형이상학적 철학과 종교적 절대성으로 대체되고 있는 곳이다. 중용은 공자사상의 분기점인 셈이다.
<한자>
溥(펼 부/넓을 보) : 부/펴다, 베풀다, 보/넓다, 광대하다, 물가, 포구
淵(못 연) : 못, 소, 웅덩이, 연못, 깊다
莫(없을 막) : 없다, 말다, 하지말라, 불가하다, 아득하다, 넓다, 장막
<영역>
All-embracing is he and vast, deep and active as a fountain, sending forth in their due season his virtues.
All-embracing and vast, he is like Heaven. Deep and active as a fountain, he is like the abyss. He is seen, and the people all reverence him; he speaks, and the people all believe him; he acts, and the people all are pleased with him.
是以聲名洋溢乎中國,施及蠻貊。
舟車所至,人力所通,天之所覆,地之所載,日月所照,霜露所隊:
凡有血氣者莫不尊親。故曰「配天」。
시이성명양일호중국 이급만맥
주거소지 인력소통 천지소부 지지소재 일월소조 상로소추
범유혈기자막불존친 고왈배천
<직역>
그래서(是以) 명성(聲名)이 성대하게(洋) 중국(中國)에(乎) 넘친다(溢) 오랑캐(蠻貊)에게 널리 퍼져(施) 미친다(及)
배와 수레(舟車)가 닿는 곳(所至) 인력(人力)이 통하는 곳(所通) 하늘의 덮음(天之所覆) 땅의 실는 바(地之所載) 해와 달(日月)이 비추는 바(所照) 서리와 이슬(霜露)이 떨어지는 곳(所隊)에
무릇(凡) 혈기가 있는(有血氣) 자(者)는 존경하고 친하지 않음(不尊親)이 없다(莫) 그래서 말하기를(故曰) 하늘과 짝한다(配天)고 한다.
<번역>
그래서 명성이 넓게 중국에 넘치고 오랑캐땅에까지 널리 펴져 영향을 미친다.
배와 수레가 닿는 어디든지, 사람의 힘이 통하는 어디든지, 하늘이 덮고 땅이 사물을 싣는 장소 모두, 해와 달이 비추는 모든 곳, 서리와 이슬이 떨어지는 모든 곳의 피가 도는 모든 사람들은 그를 존경하고 친하게 여기지 않음이 없다.
그래서 공자를 하늘과 어울린다고 말한다.
<해설>
드디어 공자는 하늘과 맞먹게 되었다다. 요순을 넘어서고 문왕, 무왕을 뛰어 넘었다. 예수가 된 것이다. 마호메트가 되었고, 붇다가 되었다. 합리성과는 결별을 선언한 것이나 마찬가지인데도 유교는 합리성을 버리지 못하고 세속적 합리성과 종교적 절대성이 어색한 동거를 하는 상황으로 돌입하게 된다. 공자의 겸손했던 열정은 어디가고... 그리고 2000년이 훌쩍 지나 지금에 왔다.
성균관 대성전 제사
<한자>
是以(시이) : 이로 인해, 이 때문에, 그래서
洋(큰 바다 양) : 큰 바다, 서양, 성대하다, 넘치다
溢(넘칠 일) : 넘치다, 잠기다, 지나치다, 큰물, 홍수
蠻(오랑캐 만) : 오랑캐, 모멸하다, 업신여기다, 야만적이다. 매우
貊(맥국 맥) : 맥국, 북방 종족, 오랑캐
隊(무리 대/떨어질 추) : 대/무리, 군대의 대오, 군대, 추/떨어지다, 떨어뜨리다
<영역>
Therefore his fame overspreads the Middle Kingdom, and extends to all barbarous tribes. Wherever ships and carriages reach; wherever the strength of man penetrates; wherever the heavens overshadow and the earth sustains; wherever the sun and moon shine; wherever frosts and dews fall:-all who have blood and breath unfeignedly honor and love him. Hence it is said,-"He is the equal of Hea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