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함헌 自含軒 자연과 함께 하는 집이라는 뜻의 자함헌. 오랜 기간 전원생활을 꿈꿔왔던 부부는 북한산 경치에 반해 둘레길에 접한 은평한옥마을 한켠에 대지를 마련했다. 그 후 찾아간 건축가와의 대화에서 부부는 우아하고 단아한 한옥의 골격 위에 현대적 공간의 쾌적함과 편리함이 더해진 집을 요청하였다. 특히 북한산을 조망할 수 있으며, 미술작업과 전시가 가능한 구성을 통해 현대적 한옥의 새로운 가능성이 자연과 함께 하는 가족의 삶을 담아내기를 원했다. 이렇듯 그 자체로 건축주 부부를 닮은 자함헌은 한옥의 우아하고 여성스러운 모습 속에서 과감하고 힘 있는 배치로 묘한 양면성을 가진 집이다. 한옥마을 어귀에 위치한 직사각형 대지는 장변으로 약간 내려가는 경사를 가진 도로에 접하고 있어 건물 정면이 넓고 시원하게 트여 보이는 특징이 있었다. 따라서 자함헌을 설계할 때 건물을 장변으로 길게 배치하고, 건물의 높낮이와 돌출된 입면을 다양하게 구성해 기존 주변 한옥마을의 풍경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세심하게 계획했다. 북한산 조망을 위해 2층에 돌출되어 설치된 누마루는 자함헌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이미지이다. 누마루를 받지는 기둥과 기단은 높이가 다른 2개의 마당을 분리하고, 그 위로는 테라스와 같은 외부공간을 만들어 독립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겨난 테라스는 다시 분리된 양쪽 마당을 하나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동쪽의 북한산 경치를 누리기 위해서는 과감한 결정이 필요했다. 이전까지 은평 한옥마을에서 한옥을 계획하면 가급적 ㅡ자 배치를 유지하여 전체적인 비례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자함헌의 경우 넓은 대지로 인해 1층의 규모가 커지다 보니 지붕의 높이가 함께 높아져 이전처럼 ㅡ자로 건물을 배치할 경우 동쪽 북한산 조망이 1층 지붕으로 가려져 전혀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층을 과감하게 ㄱ자 배치하고 북한산을 향해 돌출된 부분은 누마루처럼 시원하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 마당 지하1층과 지상2층, 총 3개 층으로 구성된 자함헌은 동선계획이 매우 중요한 건물이다. 우선 각 층을 연결하는 수직 동선을 배면에 배치해 내부의 한옥 공간에 영향을 최소화했고, 지하공간의 내부 계단은 중층 화장실과 창고를 연결해 지상과 지하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지하 썬큰마당(Sunken)에는 외부 계단을 설치해 내부를 거치지 않고 마당에서 바로 지하공간에 접근할 수 있게 했다. △ 현관 △ 사랑방 △ 주방 △ 대청 대청은 집의 중심공간으로 앞마당과 후정 등 여러 공간들과 잘 연계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내부 수평 동선은 공간과 공간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한옥이 가진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복도로 인한 면적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 안방 안방은 한옥이지만 현대적 배치를 가진 화장실과 드레스룸을 갖고 있어 생활 편의성을 높였다. △ 2층 자녀방 △ 누마루 2층에 배치된 누마루에서는 북한산을 삼면으로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다. △ 지하 공간 한옥으로 지어진 지상층은 주거 기능을 중심으로 계획하였고, 콘크리트 구조로 된 지하는 취미생활과 창고, 보일러실 등 기능적 공간을 집중해 한옥의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하였다. △ 지하 복층에 위치한 방 지하는 미술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실과 전시공간을 배치하고, 한옥과 반대되는 서구적 이미지로 공간을 계획하여 공간의 단조로움을 벗어나 입체감있는 구성을 취했다. 또한, 오랜 시간 미술 작업과 전시를 할 수 있도록 채광과 환기에 도움이 되는 썬큰을 계획하고, 마당과 직접 연결해 집안을 통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하도록 했다. △ 선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