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32장(第三十二章) 천도 고(固)는 실(實)과 같다
唯天下至誠이야 爲能經綸天下之大經하며 立天下之大本하며 知天地之化育이니 夫焉有所倚리오
오직 천하(天下)에 지극히 성실한 분이어야 능히 천하(天下)의 대경(大經)을 경륜(經綸)하며, 천하(天下)의 대본(大本)을 세우며, 천지(天地)의 화육(化育)을 알 수 있으니, 어찌 <딴 물건에> 의지할 것이 있겠는가.
經綸은 皆治絲之事니 經者는 理其緖而分之요 綸者는 比其類而合之也라 經은 常也라 大經者는 五品之人倫이요 大本者는 所性之全體也라 惟聖人之德이 極誠無妄이라 故로 於人倫에 各盡其當然之實하여 而皆可以爲天下後世法하니 所謂經綸之也라 其於所性之全體에 無一毫人欲之僞以雜之하여 而天下之道千變萬化가 皆由此出하니 所謂立之也라 其於天地之化育에 則亦其極誠無妄者有默契焉이요 非但聞見之知而已라 此皆至誠無妄自然之功用이니 夫豈有所倚著(착) 於物而後能哉리오
경(經)·윤(綸)은 모두 실을 다스리는 일이니, 경(經)은 그 실마리를 다스려 나눔이요, 윤(綸)은 그 유(類)를 나란히 하여 합하는 것이다. 경(經)은 떳떳함이다. 대경(大經)은 오품(五品)[다섯 가지]의 인륜(人倫)이요, 대본(大本)은 본성(本性)에 간직하고 있는 전체(全體)이다. 오직 성인(聖人)의 덕(德)은 지극히 성실하고 망령됨이 없기 때문에 인륜(人倫)에 있어 각기 당연(當然) 함의 실제를 다하여 모두 천하(天下)와 후세(後世)의 법이 될 만하니, 이른바 경륜(經綸)이란 것이다. 본성(本性)의 전체(全體)에 있어, 한 털끝만한 인욕(人慾)의 거짓도 여기에 섞임이 없어서 천하(天下)의 도(道)에 온갖 변화(變化)가 모두 이로 말미암아 나오니, 이른바 세운다는 것이다. 천지(天地)의 화육(化育)에 있어, 또한 그 지성무망(至誠無妄)함이 묵묵히 합함이 있고, 단지 듣고 보아 알 뿐만이 아니다. 이는 모두 지성무망(至誠無妄)한 자연의 공용(功用)이니, 어찌 딴 물건에 의지한 뒤에야 능한 것이겠는가.
肫肫其仁이며 淵淵其淵이며 浩浩其天이니라
순순(肫肫)한 그 인(仁)이며, 연연(淵淵)한 그 못이며, 호호(浩浩)한 그 하늘이다.
肫肫은 懇至貌니 以經綸而言也요 淵淵은 靜深貌니 以立本而言也요 浩浩는 廣大貌니 以知化而言也라 其淵其天이면 則非特如之而已라
순순(肫肫)은 간곡하고 지극한 모양이니 경륜(經綸)으로써 말한 것이요, 연연(淵淵)은 고요하고 깊은 모양이니 근본을 세움으로써 말한 것이요, 호호(浩浩)는 넓고 큰 모양이니, 화육(化育)을 앎으로써 말한 것이다. 그 못이고 그 하늘이면 단지 그와 같을 뿐만이 아닌 것이다.
苟不固聰明聖知達天德者면 其孰能知之리요
만일 진실로 총명(聰明)하고 성지(聖智)하여 하늘의 덕(德)을 통달한 자가 아니면 그 누가 이것을 알겠는가.
固는 猶實也라 鄭氏曰 唯聖人이야 能知聖人也라
고(固)는 실(實)과 같다. 정씨(鄭氏)[정현(鄭玄)]가 말하였다. “오직 성인(聖人)만이 성인(聖人)을 알 수 있다.”
右는 第三十二章이라 承上章而言大德之敦化하니 亦天道也라 前章엔 言至聖之德하고 此章엔 言至誠之道라 然이나 至誠之道는 非至聖이면 不能知요 至聖之德은 非至誠이면 不能爲니 則亦非二物矣라 此篇에 言聖人天道之極致至此而無以加矣라
우(右)는 제32장(第三十二章)이다. 상장(上章)을 이어 대덕(大德)의 돈화(敦化)를 말씀하였으니, 이 또한 천도(天道)이다. 앞 장(章)에서는 지성(至聖)의 덕(德)을 말씀하였고, 이 장(章)에서는 지성(至誠)의 도(道)를 말씀하였다. 그러나 지성(至誠)의 도(道)는 지성(至聖)이 아니면 능히 알지 못하고, 지성(至聖)의 덕(德)은 지성(至誠)이 아니면 능히 하지 못하니, 그렇다면 또한 두 가지 일이 아니다. 이 편(篇)에서 성인(聖人)의 천도(天道)의 극치(極致)를 말씀한 것이 이에 이름에 더할 수 없다.
(중용 32장)
唯天下至誠,爲能經綸天下之大經,立天下之大本,知天地之化育。夫焉有所倚?
肫肫其仁!淵淵其淵!浩浩其天!
苟不固聰明聖知,達天德者,其孰能知之?
유천하지성 위능경륜천하지대경 입천하지대본 지천지지화육 부언유소의
준준기인 연연기연 호호기천
구불고총명성지 달천덕자 기숙능지지
<직역>
오직(唯) 천하(天下)의 지극한(至) 정성(誠)이 천하의 큰 날실(天下之大經)을 능히(能) 경륜(經綸)하게 한다(爲) 천하의 큰 근본(天下之大本)을 세우고(立) 천지의 생성과 기름(天地之化育)을 아는데(知) 대저(夫) 어찌(焉) 의지하는 바(所倚)가 있으리(有)
정성스럽다(肫肫) 그 어짊(其仁)이여 깊고 깊네(淵淵) 그 연못(其淵)이여 넓고 넓다(浩浩) 그 하늘(其天)
진실로(苟) 확고히(固) 총명(聰明)하고 성인의 지혜(聖知)로 하늘에 달한(達天) 덕을 가진 사람(德者)이 아니면(不) 그(其) 누가(孰) 능히(能) 그것을 알리오(知之)
<번역>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만이 천하의 큰 도리를 경륜할 수 있게한다. 천하의 큰 근본을 세우고 천지의 만물을 낳고 기름을 안다. 지극한 정성이 아니면 대체 어디에 의지하겠는가?
정성스럽도다 그 어짊이여. 조용히 깊네 그 연못이여. 넓고 넓도다. 그 하늘이여
진실로 확고히 총명하고 성인의 지혜를 가져 하늘의 덕에 도달한 공자같은 사람이 아니라면 누가 그 천하의 지극한 정성을 알겠는가?
<해설>
마지막 글자 '之'(그것)가 무엇을 가르키는지 책마다 다르고 사람마다 다르다. 아래의 James Legge(1815-1897)의 영역에서는 '之'가 him 즉 성인이나 공자를 지칭한다. 주자가 마지막 글자 '之'가 성인이라고 찍었기 때문이다. 김용옥은 이 주자의 설을 비판하면서 성인이 성인을 안다고 하면 주어와 목적어가 구별되지 않는 멍청한 해석이라고 하며 '之'는 '天地之化育'을 말한다고 한다. 그러나 문맥으로 보면 32장의 전 구절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어는 지성(至誠)이다. 지성(至誠)이 천하를 경륜케하고 근본을 세우게 하고 천지의 화육을 알게한다. 성인이라야 이 지성(至誠)을 능히 안다라고 말하는 것이 더 매끄럽다. 이 블로그에서는 32장의 마지막 글자 '之'는 지성(至誠)을 지칭한다고 주장할 셈이다.(참고,, 중국 어떤 중용해설 사이트 其孰能知之:之,代词。指文中首句中“天下至诚 '그 누가 그것을 알리오의 그것(之)은 대명사로 문구 첫머리의 천하지성을 지칭한다.)
자사가 중용에서 가장 중요시 하며 하늘의 도라고 주장했던 '誠'과 그가 가장 숭배하고자 했던 공자를 연결하기 위한 서술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肫'을 '순'이라 먼저 읽는 옥편이 많지만 기본적으로 '준'으로 읽어야 한다. 설문해자에서는 음이 章倫切(ㅈ+ㅠㄴ 즉 쥰)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음운서도 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자>
經(날 경) : 날실, 세로, 법, 이치, 조리, 도리, 다스리다, 경영하다, 헤아리다, 경서
肫(광대뼈 순/준) : 광대뼈, 장딴지, 정강이, 정성스럽다, 정성스러운 모양
苟(진실로 구) : 진실로, 참으로, 다만, 겨우, 구차하다
固(굳을 고) : 굳다, 단단하다, 확고하다, 거듭, 굳게, 반드시, 진실로
<영역>
It is only the individual possessed of the most entire sincerity that can exist under Heaven, who can adjust the great invariable relations of mankind, establish the great fundamental virtues of humanity, and know the transforming and nurturing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shall this individual have any being or anything beyond himself on which he depends?
Call him man in his ideal, how earnest is he! Call him an abyss, how deep is he! Call him Heaven, how vast is he!
Who can know him, but he who is indeed quick in apprehension, clear in discernment, of far-reaching intelligence, and all-embracing knowledge, possessing all Heavenly virt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