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노벨상 시상식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운데)가 칼 구스타프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상패와 메달을 받은 직후 청중들의 기립박수를 받고 있다.
작은 사진은 만찬에 참석한 한강 작가가 스웨덴 국왕의 셋째 사위인 크리스토퍼 오닐과 함께 취재진을 향해 환한 웃음을 보이는 모습. <AFP·로이터연합뉴스>
1.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이 11일 대통령실 압수수색을 시도하며 윤석열 대통령을 정조준했습니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비상계엄과 관련한 자료 확보에 나섰습니다.
◇경찰의 대통령실 압수수색 시도와 대치 상황
■ 헌재서 ‘할 얘기 다 하겠다’는 尹… 하야 대신 탄핵 택한 4가지 이유
① “내란 아니다” 법적 다툼 예고
② “내년 상반기 이재명 항소심 선고…시간 벌어야”
③ “탄핵안 기각될 수도”
④ “수사 대처에도 탄핵당하는 게 유리?”
[비상계엄 파동] 탄핵안 기각 기대하고 이재명 재판 일정도 감안
2.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지분 인수 작업을 끝내면서 4년여간 끌어온 양사의 기업 결합 절차가 완료됐습니다.
36년간 이어진 한국의 양대 국적 항공사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됐습니다.
◇인수 잔금 8000억 최종 납입
◇2년간 별도운영 후 통합출범
3.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에서 ‘2024 노벨 만찬’이 열렸습니다.
이날 만찬 자리에서 한강 작가는 수상 소감을 밝힌 뒤 1300명의 청중으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습니다.
한강이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받은 노벨문학상 증서.
왼쪽면엔 이 상을 제정한 알프레드 노벨(1833~1896)의 유언인 “이상적인 방향으로 가장 뛰어난 문학 작품을 쓴 사람(에게 노벨문학상을 수여한다)”이란 문장이 스웨덴어로 적혀 있었다. 뉴스1
4. 원·달러 환율이 급변동하자 정부가 증권사들에 한국증권금융에 외화 의무예치를 늘리라고 주문했습니다.
외화 의무예치는 코로나19로 외화 유동성 우려가 커졌을 때 도입한 제도인데, 이를 3년 만에 강화한 것입니다.
5.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이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3시간 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회동했다는 의혹이 뒤늦게 불거졌습니다.
윤 대통령으로부터 계엄에 대한 언질을 받았다고 합니다.
◇3일 밤 7시쯤 서울청장도 불러…김용현과 4명 회동
◇A4 1장 지시사항 하달…MBC도 ‘장악 대상’ 명시
◇윤, 6차례 전화…‘경찰에도 의원 체포 지시’ 확인
6. 대기업도 구조조정 칼바람… 50대 임직원들 내보냈다
건설과 도소매,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이어지면서 지난달 취업자 수가 12만명가량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일자리 증가폭이 4년 만에 최소치로 떨어진 것이다.
특히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롯데와 SK 등 대기업들의 구조조정 칼바람이 거세지면서 50대 고용률(인구 대비 취업자 수)이 8개월 연속 떨어지는 등 고용시장에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11일 서울 마포구 서부 고용복지 플러스 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취업 상담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작년 11월보다 12만3000명 증가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뉴스1
◇건설·도소매업도 고용 줄어
7. 대출규제 풍선효과 … 2금융권 한달새 3조 늘어
◇11월 은행 가계빚 2조 그쳐
◇'역전세 반환대출' 1년 연장
8. 외국인 북적이던 명동·북촌 '썰렁'…계엄 후 관광객 반토막 났다
< 정적만 흐르는 명동 > 경기 침체와 대통령 탄핵 정국에 따른 불안감이 맞물려 연말 대목을 맞은 서울 주요 상권을 찾는 발길이 뚝 끊겼다.
평소 젊은 층과 관광객으로 붐비던 서울 명동 거리가 11일 한산한 모습이다. 김범준 기자
< 가로수길마저… > 2030세대 사이에서 핫플레이스로 꼽히던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 한 건물에 임차인을 구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라현진 기자
◇최악 치닫는 '내수 침체'
◇"한복 입은 외국인 찾을 수 없어"
◇고물가에 계엄 쇼크까지 겹악재
◇강북 외식업 폐업률 서울서 최고
◇가로수길 목 좋은 자리도 '임대'
◇비씨카드 결제액 작년 80% 수준
◇"정부가 퇴직금·주휴수당 지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