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세계탁구선수권 개요
세계탁구선수권대회는 국제탁구연맹 주최로 1926년 영국 런던대회부터 시작하였으며 경기종목은 남/녀 단식·복식, 혼합복식 등 5개 종목으로 운영되어 오다가 단체전이 도입된 이후 2003년 파리대회부터 홀수년도에는 남/녀 단식, 남/녀 복식, 혼합복식 5개 종목, 짝수년도에는 남/녀 단체전 2개종목을 번갈아 개최하여 왔으며 2020년도에 우리나라 부산에서 단체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 유행으로 인해 1차례 연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회가 취소되었고 차기 대회(2024년도) 유치에 성공하면서 부산에서 단체전을 다시 치룰 수 있게 되었다. 2022년에는 남/녀 단체전 2종목의 경기가 중국 청두에서 열렸으며 올해에는 남아공 더반에서 5.20~28일 기간동안 단식과 복식 5개 종목이 개최될 예정이다.
단체전 우승팀에 주어지는 트로피(우승컵) 이름은 각각 아래와 같다.
* 남자우승팀 - 스웨이들링컵(초대 국제탁구연맹회장의 어머니 스웨이들링 부인이 기증)
* 여자우승팀 - 코르비용컵(34년도 프랑스탁구연맹회장 마르셀 코르비용이 기증)
* 더반 세계선수권대회 웹사이트 : https://worldtabletennis.com/eventInfo?eventId=2660
- 대진추첨 : 2023. 5. 18(목)
- 참가자수 : 개인전 128명, 단체전 각 64팀
- 경기방식 : 토너먼트(싱글32, 더블16 시드배정, 나머지 추첨)
- 게임방식 : 단식 7게임제(복식 5게임제)
2. 대회 결과 (2008~2023년)
■ 짝수해 : World Team Table Tennis Championships(단체전)
년도 | 개최국(도시) | 경기일정 | 남자단체전 결과 | 여자단체전 결과 | |||||
2008 | 중 국(광저우) | 2.21 ~ 3.2 | 1중국/2한국/3홍콩/4일본 | 1중국/2싱가폴/3홍콩/4일본 | |||||
2010 | 러시아(모스크바) | 5.23 ~ 5.30 | 1중국/2독일/3일본/4한국 | 1싱가폴/2중국/3일본/4한국 | |||||
2012 | 독 일(도르트문트) | 3.25 ~ 4.1 | 1중국/2독일/3한국/4일본 | 1중국/2싱가폴/3홍콩/4한국 | |||||
2014 | 일 본 (도 쿄) | 4.28 ~ 5.5 | 1중국/2독일/3대만/4일본 | 1중국/2일본/3싱가폴/4홍콩 | |||||
2016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2.28 ~ 3.6 | 1중국/ 2일본/ 3 한국,영국 | 1중국/ 2일본/ 3북한, 대만 | |||||
2018 | 스웨덴 (할름스타드) | 4.29 ~ 5.6 | 1중국/2독일/3한국,스웨덴 | 1중국/ 2일본/ 3코리아, 홍콩 | |||||
2020 | 한 국 (부산) | 취 소 | |||||||
2022 | 중국(청두) | 9.30 ~ 10.9 | 1중국/2독일/3한국,일본 | 1중국/2일본/3독일,대만 | |||||
2024 | 한국(부산) | 2.16 ~ 2.25 |
* 22세계선수권대회 한국 성적 : 남자팀 4강(독일에 2-3패), 여자팀 16강(일본팀에 0-3패)
■ 홀수 해 :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개인전)
년도 | 개최국(도시) | 경기일정 | 남자단식 | 여자단식 | 남자복식 | 여자복식 | 혼합복식 | |
2009 | 일본 (요코하마) | 4.28~5.5 | 왕하오 | 장이닝 | 첸 치/ 왕하오 | 구오위에/ 리샤오샤 | 리 핑/ 차오전 | |
2011 | 네덜란드 (로테르담) | 5.23~5.30 | 장지커 | 딩 닝 | 마롱/쉬신 | 구오위에/ 리샤오샤 | 장차오/ 차오전 | |
2013 | 프랑스 (파리) | 5.13~5.20 | 장지커 | 리샤오샤 | 첸치엔안/ 추앙츄안 | 구오위에/ 리샤오샤 | 김혁봉/ 김 정 | |
2015 | 중 국 (쑤저우) | 4.26~5.3 | 마 롱 | 딩 닝 | 쉬 신/ 장지커 | 류스원/ 주위링 | 쉬 신/ 양하은 | |
2017 | 독 일 (뒤셀도르프) | 5.29~6.5 | 마 롱 | 딩 닝 | 판젠동/ 쉬 신 | 딩 닝/ 류스원 | 요시무라 M/ 이시카와 K | |
2019 | 헝가리 (부다페스트) | 4.21~4.28 | 마 롱 | 류스원 | 마 롱/ 왕추친 | 쑨잉샤/ 왕만위 | 쉬 신/ 류스원 | |
2021 | 미국 (휴스턴) | 11.23~29 | 판젠동 | 왕만위 | 카를손/ 팔 크 | 쑨잉샤/ 왕만위 | 왕추친/ 쑨잉샤 | |
2023 | 남아공 (더반) | 5.20~28 | 판젠동 | 쑨잉샤 | 판젠동/ 왕추친 | 왕이디/ 첸멍 | 왕추친/ 쑨잉샤 |
* 23세계선수권대회 한국성적
남자단식 | 여자단식 | 남자복식 | 여자복식 | 혼합복식 |
임종훈 16강 장우진 16강 이상수 32강 조승민 64강 안재현 128강 | 신유빈 16강 서효원 16강 전지희 32강 최효주 64강 이시온 64강 | 장우진/임종훈 준우승 이상수/조대성 4강 | 신유빈/전지희 준우승 최효주/이시온 64강 | 임종훈/신유빈 8강 조대성/김나영 16강 |
첫댓글 남아공 대회 ㅎㅎ 대회장 콘셉이 기대됩니다 ㅎㅎ
과연 쑨잉샤가 세탁 첫 우승을 할 것인지 궁금해지네요
남자는 판젠동 or 왕츄친 중에 할 것 같아요
주천희는 출전 안하는것인가요 못하는것인가요????
귀화규정에 따라 아직 국가대표가 되지 못해서 나라를 대표하는 대회에는 출전할 수가 없습니다.
국가대항전 성격의 국제대회는 귀화규정 5년이 끝나는 2025년 2월부터 참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확실치는 않지만 WTT가 출범할 때 빠빠빠님이 올린 글을 보면, 세탁 단체전만 남기고 세탁 개인전도 없애려고 했던 것 같던데, 유지되어서 다행이네요.
WTT출범되면서 많은 경기가 열릴거라 예상되었는데 코로나 여파로 오히려 기존 ITTF 월드투어보다 줄어든 느낌이 듭니다. 세탁 개인전도 없어질 뻔 했다니... 남아있는게 정말 다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