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가토릭 굿 뉴-스 성인록 ▷
▶성녀 로사 베네리니 동정녀, 설립자(5.7)◀
성인명: 로사 베네리니 (Rose Venerini)
축일: 5월 7일
성인구분: 성녀
신분: 동정녀, 설립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656-1728년
같은이름: 로싸, 로즈
♧♧♧♧ T ♧♧♧♧ T ♧♧♧♧
성인설명 :
• 성녀 로사 베네리니(Rosa Venerini)는 1656년 2월 9일 이탈리아의 비테르보(Viterbo)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인 고프레도(Goffredo)는 안코나(Ancona)의 카스텔레오네 디 수아사(Castelleone di Suasa) 출신으로 로마(Roma)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비테르보의 대형 병원에서 의사 직무를 훌륭히 수행하고 있었다.
그는 비테르보의 오래된 가문 출신인 마르지아 잠피체티(Marzia Zampichetti)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 즉 도메니코(Domenico), 마리아 막달레나(Maria Maddalena),
로사 베네리니, 오라지오(Orazio)를 두었다.
· 로사 베네리니는 태어나면서부터 총명함과 비범한 감성을 갖고 있었다.
그녀는 가정교육을 통해 확고한 그리스도교적 원칙 안에서 형성된 많은 심리적인 재능을 개발할 수 있었다.
그녀의 첫 번째 전기 작가인 지롤라모 안드레우치(Girolamo Andreucci) 신부에 의하면 그녀는 7살 때 이미 자신의 삶을 봉헌하기 위한 서원을 했다고 한다.
청소년기 동안 그녀는 세상의 매력과 하느님께 드린 약속 사이에서 고민하며 지냈는데, 이 위기를 의심 없는 기도와 금욕으로써 이겨냈다.
20살 때 로사 베네리니는 자신의 미래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녀가 살던 시대에 여성들의 삶은 결혼 아니면 수도생활이라는 두 가지 방향의 선택만이 가능할 뿐이었다.
그녀는 이 두 가지 모두를 존중했지만, 하느님께서는 교회의 유익과 당시 사회를 위해 다른 계획을 깨닫도록 그녀를 부르셨다.
이러한 예언적인 내적 움직임에 의해 그녀는 완전히 혁신적인 해결책에 도달할 때까지 고통과 탐색의 시간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 1676년 가을, 그녀는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자신의 서원을 완성하리라는 기대를 갖고 성녀 카타리나(Catharina)의 도미니코회 수녀원에 입회하였다.
그녀의 이모인 안나 체칠리아(Anna Cecilia) 옆에서 그녀는 침묵과 묵상 중에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방법을 배웠다.
하지만 그녀의 수도원 생활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갑작스런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고통 중에 있는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입회 몇 달 만에 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가족에게 주어진 불행의 짐을 짊어지게 되었다.
그녀의 오빠인 도메니코가 27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죽고, 그로부터 몇 달 뒤에 어머니 또한 세상을 떠나 슬픔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그러는 중에 언니 마리아 막달레나는 결혼을 했고,
집에는 이제 막내 오라지오와 24살이 된 로사 베네리니만이 남게 되었다.
· 하느님을 위해 뭔가 큰일을 하고 싶었던 그녀는 1684년 5월에 주변의 처녀와 부인들을 모아 저녁마다 묵주기도를 바치기 시작했다.
그들과 기도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기도 전후의 대화를 통해 당시의 슬픈 현실에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다.
당시 여성들은 문화적 · 교육적 · 영성적 가난의 노예와도 같았다.
로사 베네리니는 하느님께서 젊은 여성들의 교육과 그리스도교적 양성이라는 보다 높은 사명을 위해 자신을 부르고 계심을 이해했고, 산발적인 만남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현실적이고 참된 감각을 갖고 투신해야 할 긴급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1685년 8월 30일 아버지의 집을 떠난 로사 베네리니는 비테르보의 주교인 우르바노 사케티(Urbano Sacchetti) 추기경의 승인을 받고, 두 명의 친구이자 협력자인 제롤라마 콜루첼리(Gerolama Coluzzelli)와 포르지아 바키(Porzia Bacci)와 함께 혁신적인 계획을 따라 기도 안에서 성숙하며 하느님의 뜻을 찾을 수 있는 첫 번째 여학교를 시작하였다.
· 설립자로서 로사 베네리니의 첫 번째 목적은 소녀들을 그리스도교적 정신으로 양성하고 사회생활을 준비하도록 도와주는 것이었다.
거창한 주장은 없었지만 그녀는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소녀들을 위한 공립학교를 개교한 것이었다.
비록 시작은 대단하지 않았지만 그 의미만큼은 예언적이라 할만 했다.
여성들의 인간적 증진과 영성적 향상이 현실화되었고, 교회와 시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기까지도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물론 첫 시작이 쉽지는 않았다. 자신의 직무로서 교리교육을 담당하는 성직자들의 저항에 직면하기도 했고, 무지한 소녀들의 교육을 마음으로 받아들인 비테르보의 중상류 계층 여성들의 대담함에 충격을 느낀 순응주의자들로부터 호된 의혹을 사기도 했다.
로사 베네리니는 하느님의 사랑을 위해 이 모든 것을 극복하며 자신이 하느님의 계획을 올바로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 확실해질 때까지 주어진 길을 계속 걸어갔다.
그리고 그녀가 옳았다는 것은 교육사업의 결과로써 입증되었다.
같은 일에 종사하는 사목자들로부터 그녀의 교육방법이 가져온 교육적 개선을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 그녀가 창시한 혁신적 교육방법의 타당성이 인정받으면서 그녀의 명성은 교구의 한계를 뛰어넘었다.
비테르보 프로젝트의 특징을 잘 이해한 몬테피아스코네(Montefiascone) 교구의 마르코 안토니오 바르바리고(Marco Antonio Barbarigo) 추기경은 로사 베네리니를 자신의 교구로 초대했다.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항상 자신을 희생할 준비가 되어 있던 그녀는 이 초대에 기꺼이 응답하였다.
그래서 1692년부터 1694년까지 몬테피아스코네와 볼세나(Bolsena) 호수 주변 마을에 열 개의 학교를 개교하였는데, 바르바리고 추기경은 적극적인 물질적 후원을 제공하였다.
한편 교사들의 훈련과 학교들을 조직할 기구의 필요성을 느낀 로사 베네리니는 추기경의 도움으로 교사 훈련원을 세웠고, 이곳에서 비슷한 사명을 수행하던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Lucia Filippini, 3월 25일)를 만나 그녀와 함께 ‘자비로운 교사회’를 공동으로 설립하였는데, 오늘날 베네리니의 자매회로 불린다.
· 비테르보와 몬테피아스코네에 여학교를 개교한 로사 베네리니는 로마를 중심으로 하는 이탈리아 서부 라치오(Lazio) 지방에서 또 다른 학교들을 열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706년에 로마로 진출했으나 한 동안은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
시 당국의 신뢰를 얻기까지 6년의 긴 시간을 기다린 끝에 1713년 12월 8일 베네리니 가족의 위대한 친구인 아바테 데글리 아티(Abate Degli Atti)의 도움으로 로마의 중심지인 캄피도글리오(Campidoglio) 바로 아래에 학교를 개교할 수 있었다.
1716년 10월 24일 교황 클레멘스 11세(Clemens XI)는 8명의 추기경을 동반하고 그녀가 설립한 학교를 시찰하기 위해 방문하여
“당신은 우리가 할 수 없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로마에 행복을 가져다 줄 이 학교에 대해 너무도 고맙습니다.”라며 치하하였다.
이를 계기로 여러 지역의 당국자와 추기경들로부터 자신들의 지역에 학교를 세워달라는 요청이 쇄도하였다.
그녀는 힘겨운 여행을 계속하며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고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기쁨과 희생이 뒤섞인 고된 작업을 이어갔다.
그녀가 새로운 학교를 시작하는 곳 어디서든 짧은 기간 안에 젊은이들 안에서 높은 교육적 증진의 효과를 가져왔다.
· 로사 베네리니는 1728년 5월 7일 오후 로마의 성 마르코 공동체에서 성인다운 죽음을 맞이하였다.
그녀는 일생 동안 40개 이상의 학교를 개교하였다.
그녀의 유해는 평소 그녀가 사랑했던 제수(Gesu)의 성당 근처에 안장되었고, 시복식을 즈음하여 로마에 있는 관구 본부의 경당으로 이장하였다.
그녀는 1952년 5월 4일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6년 10월 15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베네딕투스 16세(Benedictus XVI)에 의해 시성되었다.
ㅡㅡTㅡ♥ㅡTㅡㅡ
1-1. 가토릭 굿 뉴-스 성인록 ▷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동정녀, 설립자(3.25)◀
성인명: 루치아 필립피니 (Lucy Filippini)
축일: 3월 25일
성인구분: 성녀
신분: 동정녀, 설립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672-1732년
같은이름: 루시아, 루씨아, 루키아
♧♧♧♧ T♧♧♧♧ T♧♧♧♧
성인설명 :
• '신심 깊은 교사회'(Instituti Magistrarum Piarum)의 설립자인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Lucia Filippini)는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의 타르퀴니아(Tarquinia) 태생으로 어린 나이에 고아원에서 자랐다.
그러나 놀라운 신심과 뛰어난 은혜를 많이 받고 성장하였으므로 그 교구의 주교이신 마르칸토니오(Marc'Antonio) 추기경의 주목을 받고 몬테피아스코네(Montefiascone)로 초청받았다.
이곳은 수도자의 지도하에 훈련 교사들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이었다.
성녀 루치아는 열과 성의를 다하여 일하던 중에 비테르보(Viterbo)에서 이와 비슷한 기관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던 성녀 로사 베네리니(Rosa Venerini, 5월 7일)를 만났다.
· 성녀 루치아는 애덕, 단정함, 영적인 일에 대한 확신, 용기 그리고 풍부한 상식 등이 크게 돋보였고 또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사업은 크게 번창해졌다. 교황 클레멘스 11세(Clemens XI)의 강력한 희망에 따라 새로운 교육 센터를 세워야 할 입장이어서 그녀는 로마(Roma)로 갔다.
· 그곳에서 그녀는 ‘거룩한 교사’로 알려졌고, 성녀 로사 베네리니처럼 놀라운 설교 능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건강을 유지하지 못하여 병을 앓다가 운명하였다.
그녀는 1930년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ㅡㅡTㅡ♥ㅡTㅡㅡ
2. 한국재속프란치스코회 성인록 ▷
< 5월7일: 성녀 로사 베네리니와 3월25일: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 ( 안젤라 | 2010.05.05 Ud.)
▷ 축일:5월7일
< 성녀 로사 베네리니 동정 >
- St.Rose Venerini
- Santa Rosa Venerini
( -성녀 로즈 베네리니
- 성녀 로사 베네리니)
- Born:9 February 1656 at Viterbo, Italy
- Died:7 May 1728 at Rome, Italy
(- 출생: 1656.2.9 일, 이태리 비테르보에서
- 사망: 1728.5.7 일, 이태리 로마에서)
- Beatified:4 May 1952 by Pope Pius XII
- Canonized:15 October 2006 by Pope Benedict XVI
(- 시복: 1952.5.4 일, by 교황 비오12세
- 시성: 2006.10.15 일, by 교황 베네딕토 16세)
Fondatrice delle Maestre Pie.
(- 자비로운 선교사회 창설자)
- Etimologia:Rosa = dal nome del fiore
(- 어원론: 로사 = 꽃의 이름에서 유래)
*注: 위(한역韓譯/'18.5.7 일 -아타시 韓)
• 비떼르보 태생인 로사는 그곳의 의사이던 고드프리 베네리니의 딸이다.
자신에게 사랑을 고백하던 한 젊은이가 죽은 후에 그녀는 수도원에 들어갔으나,
이번에는 부친을 잃음으로써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하여 집으로 돌아왔다.
로사는 주위의 처녀와 부인들을 모으고 저녁마다 로사리오를 가르치는 등 종교 교육에 헌신적이었다.
그녀는 예수회원인 이냐시오 마르띠넬리 신부의 지도를 받고 있었는데,
그 사제는 그녀가 "세속 안에서의" 교사가 되는 것이 주님의 뜻으로 알아듣고 그렇게 인도한 것이다.
1685년, 그녀는 두 사람의 지원자와 함께 비떼르보에 여학교를 개설하였다.
이리하여 그녀의 명성은 퍼져나갔고, 급기야는 카르디날 바르바리고의 초청과 큰 도움으로
몬떼피아스꼬네 교구 내에 교사 훈련원을 세우게 되었다.
여기서 루치아 필립피니(Saint LUCIA FILIPPINI,축일:3월25일)를 만나
"자비로운 교사회"를 공동으로 창립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베네리니 수녀"들로 알려져 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 축일:3월25일
<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동정 >
- St.LUCIA FILIPPINI
- Santa Lucia Filippini Vergine
(-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 성녀 루치아 필립피니 동정녀)
- Born:13 January 1672 at Corneto, Tuscany, Italy
- Died:25 March 1732 of cancer at Montefiascone, Italy; buried at the Cathedral of Montefiascone
(- 출생: 1672.1.13 일, 이태리 투스카니 코르네토에서
- 사망: 1732.3.25일, 이태리 몬떼피아스꼬네에서 암으로, 몬떼피아스꼬네 성당에 뭍힘))
- Canonized:22 June 1930 by Pope Pius XI
(- 시성: 1930.6.22 일, by 교황 비오 11세)
- Foundress of the Religious Teachers Filippini
(- 선교 교사회 창설자 필립피니)
*注: 위(한역韓譯/'18.5.7 일 -아타시 韓)
• 그녀는 투스카니의 따르귀니아 태생으로 어린 나이에 고아원에서 자랐다.
그러나 놀라운 신심이 뛰어난 은혜를 많이 받고 성장하였으므로
그 교구의 주교이신 마르깐토니오 추기경의 주목을 받고 몬떼피아스꼬네로 초청받았다.
이곳의 수도자의 지도아래 훈련 교사들의 교육기관이었다.
루치아는 열과 성의를 다하여 일하던 중에,
비떼르보에서 이와 비슷한 기관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던 로사 베네리니(축일:5월7일)를 만났다.
루치아는 애덕, 단정함, 영적인 일에 대한 확신, 용기
그리고 풍부한 상식 등이 크게 돋보였고 또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사업은 크게 번창해졌다.
교황 끌레멘스 11세의 강력한 희망에 따라, 새로운 교육 센타를 세워야 할 입장이어서, 그녀는 로마로 왔다.
여기서 그녀는 "신심깊은 교사"회(Instituti Magistrarum Piarum)의 첫번째 학교를 세웠다.
이때부터 그녀는 "거룩한 교사"로 알려졌고, 로사 베네리니처럼 놀라운 설교 능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건강을 유지하지 못하여 병을 않다가 운명하였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Ave Maria-Gounod-Mera
Sumi Jo. 조수미 - Ave Maria(Bach/Gounod) : Lyrics ▷
https://youtu.be/V-fGEJsj8pw
ㅡㅡ끝.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