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부채' 비율 한숨 돌렸나?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 / 6/10(월) / 한겨레 신문
◇ 국민회계기준 연변경 GDP 증가 가계부채 비율도 100.4%→93.5%
한국은행의 국민회계기준 연도 변경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100%를 일종의 정책목표로 삼았던 정부의 부채관리 기조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절대적인 숫자는 낮아졌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여전히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수준이어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국민회계통계 기준년 변경에 따라 종전 100.4%에서 93.5%로 낮아졌다. 기업의 부채비율도 122.3%에서 113.9%로 낮아졌다. 국세통계 등 새로운 행정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그동안 한국은행 조사에서 포착되지 않았던 경제영역이 새로 추가되면서 각종 건전성 지표의 모수인 GDP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그동안 가계부채 비율 100%는 경제정책에서 일종의 기준점으로 여겨져 왔다. 한국은행과 정부는 가계부채의 절대적 수준보다 증가 속도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상징적인 숫자로 100%에 주목해 왔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국회에 출석했을 때 "가계부채 총량이 GDP 대비 100% 미만으로 떨어지도록 노력한다는 정부와 한은의 공감대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통계 기준년 개편만으로 가계부채 비율은 100% 이하로 떨어졌다. 역대 최고치를 보였던 2021년 가계부채 비율도 기존 105.4%에서 98.7%로 떨어졌으니 지금까지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은 적은 없는 셈이다.
다만 여전히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제금융협회(IIF)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말 가계부채 비율은 미국(72.8%) 일본(64.1%) 유로지역(54.1%) 등과 비교해 훨씬 높다. 기업부채 비율도 홍콩(258.0%) 중국(166.5%) 싱가포르(130.6%) 일본(114.5%) 등보다는 낮지만 미국(78.4%) 유로지역(95.9%)에 비해서는 높다.
금융연구원의 신용상 선임연구위원은 일반적으로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수준은 GDP의 80%라고 본다. 100% 이하는 일차적인 목표는 될 수 있어도 최종적으로는 80%까지 떨어져야 한다며 이를 감안하면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가계부채 증가율을 성장률 이하로 관리한다는 기존 정책의 방향은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