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연중 제33주간 토요일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20,27-40
그때에 27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 몇 사람이 예수님께 다가와 물었다.
28 “스승님, 모세는 ‘어떤 사람의 형제가 자식 없이’아내를 남기고 ‘죽으면, 그 사람이 죽은 이의 아내를 맞아들여
형제의 후사를 일으켜 주어야 한다.’고 저희를 위하여 기록해 놓았습니다.
29 그런데 일곱 형제가 있었습니다. 맏이가 아내를 맞아들였는데 자식 없이 죽었습니다.
30 그래서 둘째가,
31 그다음에는 셋째가 그 여자를 맞아들였습니다. 그렇게 일곱이 모두 자식을 남기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32 마침내 그 부인도 죽었습니다.
33 그러면 부활 때에 그 여자는 그들 가운데 누구의 아내가 되겠습니까? 일곱이 다 그 여자를 아내로 맞아들였으니 말입니다.”
34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이 세상 사람들은 장가도 들고 시집도 간다.
35 그러나 저세상에 참여하고 또 죽은 이들의 부활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판단받는 이들은 더 이상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을 것이다.
36 천사들과 같아져서 더 이상 죽는 일도 없다. 그들은 또한 부활에 동참하여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
37 그리고 죽은 이들이 되살아난다는 사실은,
모세도 떨기나무 대목에서 ‘주님은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라는 말로 이미 밝혀 주었다.
38 그분은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사실 하느님께는 모든 사람이 살아 있는 것이다.”
39 그러자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스승님, 잘 말씀하셨습니다.” 하였다.
40 사람들은 감히 그분께 더 이상 묻지 못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어제 강원 북부 교도소 미사를 다녀왔습니다.
온갖 어둡고 슬픈 사연을 품고 세상을 원망하며 침묵 속에 갇혀있는 모습들이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스마트 시대
현대 사람의 사고 능력과 예술 능력과 새로운 것들을 연구 개발하는 과학 기술 재능은 정말 대단합니다. 그러나 딱 인간의 이성이 이해하는 한계 안에서 위대할 뿐입니다. 사람은 천재지변 앞에서 무력한 존재요, 언제 어느 순간에 죽을지 모르는 나약하고 부족하고 불완전한 존재일 뿐입니다.
죄와 죽음의 한계 속에서 살아가는 나약하고 부족하고 불완전한 인류. 늘 불안하고 두렵습니다. 그 절정이 죽음을 앞둔 사람의 절망적 고통입니다. 이런 인류의 모습은 구약성경 <코헬렛>이 잘 보여줍니다. "허무로다, 허무! 코헬렛이 말한다.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코헬 1,2)
죽음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풀 수 없는 물음입니다.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 사람들에게 예수님께서 부활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 부활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고 판단받는 이들은 더 이상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을 것이다. 천사들과 같아져서 더 이상 죽는 일도 없다. ...... 그분은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사실 하느님께는 모든 사람이 살아 있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낙원에서 당신과 더불어 영원한 생명을 누리는 불멸의 존재로 창조하셨습니다.
그러나 사탄의 유혹에 빠져 낙원에서 쫓겨나 죄와 죽음의 한계 속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때가 되었을 때,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이세상에 보내시어 닫혔던 낙원, 곧 하느님 나라를 다시 여셨습니다.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부활하여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습니다.(요한 3,16 참조)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믿지 못하는 것은, 사람은 죽으면 천사와 같은 존재가 되어 사람은 부활의 존재 상태를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니면 코헬렛이 보여주는 것처럼, 허무주의에 빠져 자포자기 상태로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부활의 믿음과 희망과 사랑으로 사는 사람들에게, 세상은 풍요롭고 아름답습니다.
인생은 신비롭고 아름답습니다.
부소치리 봉쇄 관상수도원 미사.
천상에서 울려퍼지는 아름다운 목소리
하늘 나라 천사같은 신비로운 모습들
너무 부럽습니다.
내일 주일 새벽에는속초 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공항행 버스를 타고 국민 90% 이상이 카톨릭 신자인 동티모르를 갑니다. 관상수도자들과 아름다운 주일미사를 함께 하지 못하는 아쉬움 안고.
봉쇄관상수도원에 부활의 믿음과 희망과 사랑이 없다면 교도소와 무엇이 다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