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寒遊思(소한유사)
모기는 피를 빨 때 잡히고,
물고기는 미끼를 물 때 잡힌다.
인생(人生)도 이와 같다.
남의 소유(所有)를 탐(耽) 낼 때 위험(危險)해진다.
몸의 근육(筋肉)은 운동(運動)으로 키우고,
마음의 근육은 관심(關心)으로 키운다.
체온(體溫)이 떨어지면 몸이 병(病)들듯,
냉소(冷笑)가 가득한 마음은 병들기 마련이다.
오래 걸으려면 좋은 신발이 필요(必要)하듯,
오래 살려면 좋은 인연(因緣)이 필요하다.
포장지(包裝紙)가 아무리 화려(華麗)해도
결국(結局)엔 버려지듯이 남의 들러리로 사는 삶,
결국엔 후회(後悔)만 남는다.
지구(地球)와 태양(太陽)의 거리가 달라지면,
둘은 공존(共存)할 수 없다.
사람의 관계(關係)도 이와 같다.
최적(最適)의 거리(距離)를 유지(維持)할 때 공존한다.
바둑의 정석(定石)을 실전(實戰)에서 그대로 두는 고수(鼓手)는 없다.
정석대로 두면 어느 한쪽이 불리(不利)해 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생의 정석도 불리하지 않기 위해 배운다.
죽어 가는 사람은 살려도 이미 죽은 사람은 살릴 수 없다.
끝나지 않은 인연이라면 살리되,
끝난 인연이라면 미련(未練)을 갖지 마라.
밥을 이기는 충견(忠犬)도 드물고,
돈을 이기는 충신(忠臣)도 드물다.
향기(香氣)가 없던 몸에 향수(香水) 뿌려주면 향기를 풍(風)기듯
메마른 마음에 온정(溫情)을 뿌려주면 사람냄새를 풍기기 마련이다.
때문에 “신(神)의 한 수 같은 인생(人生)은 없다.”
우리네 삶은 주단(朱丹)을 깔거나 로또 복권(福券)이 아니다.
거저 얻는 것은 없다.
건강(健康)은 몸을 단련(鍛鍊)해야 얻을 수 있고,
행복(幸福)은 마음을 단련해야 얻을 수 있다
삶은 웃음과 눈물의 코바늘로
행복(幸福)의 씨실과 불행(不幸)의 날실을 꿰는 것과 같다.
오늘도 열심(熱心)히 더위를 이겨내기위해
애쓰시며 가족들을 염려하시는 벗님을
응원(應援)합니다.
- 옮긴 글-
오늘의 휴식시간 음악 : Non ho l’eta(나이도 어린데)/Gigliola Cinquetti 🎁https://www.youtube.com/watch?v=zQRJW1ff5NE
🌵🌺🌴
👩🎓🧑⚖️두 여인 이야기♡
(실화 한 토막)
내가 종로구 필운동
사직공원 옆에 살 때,
만났던 장여사는 한국
일보 여기자였다.
학식도 외모도 실력도
대단한 그녀는 남편은
총 맞아 죽고,아들 하나
데리고 평양에서 남한
으로 내려왔다고 했다.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도
역시 아들 하나 데리고
밤중에 산넘고,걷고 걸어
서 두 여인은 남쪽으로
온 것이다.
평양여고를 졸업한
두 여자의 일생을 지켜
보면서 과연 인생이란
무엇일가? 라고,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장여사는 한국일보의
유명한 기자로.활동하면
서 아들을 경기중,경기고
서울법대 수석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서 나사
미항공우주국에 취직한후
계속 공부하여 하버드대
교수 등. 공부 벌레로 성공
했다.
장여사와 만나면,장여사
는 자주 아들 자랑과 편지
를 보여주었다. 지금부터
35년 전 이야기다.
서울대학 시절 아들 뒷
바라지 하는 재미로 살고,
아들자랑 하는 재미로
살고, 그런데 미국으로
건너간 후 편지만 올뿐
가끔 국제전화, 얼굴은
도통 볼 수가 없었다고
했다.
너무 바쁘니 오지 말라는
간곡한 부탁의 글이 편지
에 적혀 있었고,장여사도
이곳 신문사 일이
여간 바쁜 게 아니었다.
휴가 때,
미국에 있는 아들이
보고 싶어 미국에 갔는데
아들은 바쁘다고
만나 주지를 않았다.
여기저기 강의.강연
스케줄 때문에,엄마와
노닥거릴 시간이 없다는
거였다.
그리고,엄마가 원하는 것은
성공한 아들 아니냐며,
아들은 분명 엄마가 원하는
성공한 아들이 되었으니
한국으로 돌아가시라는
거였다.
이찌 이럴 수가 있나 하고,
울면서 비행기를 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그래도 생일날이면,
어김없이 20불을 보내면서
카네이션을 주변 꽃집에서
사서 달고 다니라고 보내온다.
그러던 어느 날 교회에서
결혼식 했노라고
사진과 편지를 보내왔다.
워낙 바빠서 그냥 둘이 동거를
하기 뭣해서 간단히 사진만
찍는 결혼식을 했노라고 엄마가
이해해 달라고 했다.
노랑머리 파란 눈 며느리를
사진으로 보고, 내 앞에서 엉엉
운다.
"성공한 내 아들~!!"
하면서 구슬피 운다.
엄마재산은 전혀 필요 없으니
사회단체에 기부를 부탁한다
고 쓰여 있었다.
한국에 올 시간이 전혀
없다고 한다.
대학 졸업 후 미국으로 가는 날
마지막으로 얼굴을 본 아들을
10년이 흐르고, 또 10년이.
흐르고...,
그렇게 무심하게도 장여사의
애절함도 뒤로한 채 세월은
무심히 매정하게 흐른다.
한편,
장여사 친구는 평양에서 오자
마자 남대문시장 순댓국집
주방에 취직했다.
아들 때문에 취직이 불가능
했으나,순댓국 집 주인은 받아
주었다.
그래서 열심히 일했지만,
아들은 학교에 보낼 수가 없었다.
식당 근처에서 남대문시장에서
뛰어다니며 놀고,6년 후 순댓국
집 주인이 죽자, 그동안 모은
돈과 사채 일수돈까지 빌려
순댓국집을 인수했다.
24시간 영업하는 남대문 시장
순댓국 집 골목엔 나란히 여러
개의 순댓국집들 중의 한 곳
이었지만,열심히 악착같이
장사를 했다.
아들이 많이 도와주었다.
그 아들은 비록 국민학교도
안 가 보았지만, 아침마다
엄마가 좋다고,시도 때도 없이
재롱을 부린다.
18살에 시골에서 올라와 식당
에서 함께 일하는 2살 많은
여 종업원과 결혼식을 올렸다.
아들 셋, 딸 하나를 두고,
웃음꽃으로 시작하는 그 집은,
돈 버는 걸로 20년 전부터
강남에 땅을 사 모았다.
무식하니까,여기저기 미사리,
오금동,천호동에도 돈만 생기면,
조금씩 땅을 사두었다.
그걸 모두 팔아 테헤란로에
34층 건물을 사고,삼성동에도
건물을 샀다.
두 여인은, 가끔 만나 정담을
나누기도 했다. 최근 들어,
장여사와 연락이 그만 두절되고
말았다.
우리가 말하는
성공한 삶은 무엇인가?
행복은 무엇으로 가늠하는
걸까?
잘난 아들을 둔 장여사는
행복했을까? 그것이 아니면,
장여사는 실패한 삶을 산 것
일까?
서울대 졸업하고, 하버드대
교수가 된 것과 국민학교 출신의
아들을 둔 두 엄마의 삶...
과연 누가 행복할까?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
하버드대 교수와 순댓국집주인
아들...누구의 삶이 더 행복하고
잘 사는 건가요?
자식사랑은,내리사랑이라
했듯이 키울 때의 즐거움만
기억하고 뭘 바라고 기대하지
말라.기대가 크면,실망도 큰 법,
지금부터라도 '홀로서기' 연습을
하라.
행복은 비교할 수도 없고,
비교해서도 안 되지만,
자기만의 가슴에 하나씩
하나씩 쌓여가는 것이 아닐까?
~받은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