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실명인 洪 雙理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섬진강 줄기 따라 화개장터엔….” 친근한 가수 조영남이 불러 널리 알려진 ‘화개장터’라는 노랫말 중 일부분입니다. 이 노랫말은 소설 여자의 남자 작가이자 국회의원을 지낸 김한길 선생이 지은 거라지요. 노랫말처럼 섬진강은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질러 남해안으로 흘러들어갑니다.
고려 말에 이곳은 왜구들의 노략질이 극심하였다지요. 어느 날 왜구들이 강 하구로부터 침입해오자 두꺼비 수십만 마리가 나루터에 몰려와 울부짖었고 이에 놀란 왜구들이 황급히 줄행랑을 쳤다고 합니다. 또 한 번은 왜구들에 쫓기어 우리 병사들이 나루 건너편에서 꼼짝없이 붙들리게 되었는데 역시 수많은 두꺼비들이 떠오르며 다리를 놓아 무사히 건널 수 있도록 해주었다고 하지요. 그런데 뒤따르던 왜구들이 두꺼비 등을 타고 강 한가운데 이르렀을 때 두꺼비들이 일시에 물속으로 들어가 왜구들이 모두 빠져 죽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이 일어난 후 사람들은 모래 내나 다사 강으로 불리던 것을 ‘두꺼비 섬(蟾)’자를 넣어 섬진강으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전설이 전해집니다.
섬진강 자락엔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면으로 이름난 다압면(多鴨面)이 있고 여기에 매화마을이 있습니다. 하동을 마주보고 있는 이곳 마을은 섬진강 자락의 하얀 모래밭과 파란 강물이 어우러져 천하 절경을 이룹니다. 더구나 겨우내 고뿔 앓던 강 자락이 기지개를 켤 때면 가장 먼저 매화가 꽃 소식을 전하는 마을로도 명성이 자자합니다. 8백여 농가 70%이상이 매실나무를 가꾸고 있다니 당연한 일이지요. 이곳을 중심으로 광양에서 생산되는 매실이 전국의 3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해마다 봄바람이 사람들의 마음을 들뜨게 할 무렵이면 이 마을 일대에선 변함없이 매화축제가 열립니다. 섬진강 자락에 꽃잎이 터지고 물빛이 더없이 푸른 햇살 고운 날, 매화마을을 찾았습니다. 청 매실 농원 일대에서 펼쳐지는 한마당 큰 잔치를 즐기러 달려간 것입니다. 올해로 14년 되었다는 매화축제는 말 그대로 꽃향기 가득한 신명난 잔치판이더군요. 매년 백만 명 이상 다녀간다는 축제는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광양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주는 효자인 셈입니다.
운 좋게 매화축제의 산증인이고 농장주인인 홍 쌍리 명인과 조우할 수 있었습니다. 성(姓)이 같다고 반기면서 매실차까지 내온 명인과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눈 것은 분명 행운이었지요. 광양매화축제는 곧 홍 쌍리 매실 명인입니다.
광양은 원래 밤으로 유명한 곳이었습니다. 경상도에서 이곳으로 시집온 홍쌍리 명인은 밤농사를 짓는 시아버지를 수발하며 살았다지요. 시아버지인 栗山 김 오천 선생은 일본을 오가며 광부생활로 돈을 모아 백운산 기슭에 밤나무, 매실나무를 재배했고 전국에 묘목과 재배기술을 전파한분으로 유명합니다.
이런 시아버지 덕분(?)에 홍 명인은 날마다 산자락에 매달려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이 너무도 힘겨워 바위를 안고 하염없이 울곤 했답니다. 지금 그 바위 앞에는 ‘눈물바위’라는 표지가 세워져 있더군요.
그런 와중에 두 차례 암수술을 받았고 교통사고로 3년 가까이 목발 신세를 지는 우여곡절을 겪었다고 합니다. 그런 고통 속에 시아버지와 남편을 여의고도 매화나무 가꾸는 일을 멈추지 못한 것을 ‘팔자소관’이라며 웃어넘기더군요. 자식과도 같은 애정이 생기더라는 것입니다.
척박한 산을 일궈 매화나무를 심고 전국을 돌며 매실 청을 담아 둘 수천 개의 항아리를 구해서 산 중턱에 가지런히 얹어놓은 풍경이 장관입니다. 농원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는 대나무 숲과 수수한 초가집은 임권택 감독의 영화 촬영장이 되기도 했습니다. 매화지천의 청매실농원은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다웠습니다.
홍 명인은 매실과 함께 45년을 보냈으니 매실에 관한한 내로라하는 박사로 손꼽히게 됐지요. 실제로 정부는 그를 식품명인 1호와 21세기를 이끌어 갈 신지식으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새 농민상과 대통령상, 석탑산업훈장도 받았고 <밥상이 약상이라 했제!>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그는 한해 100일 가까이 강연도 나가고 외국을 돌며 우리 매실을 알리고 그들의 농사법을 배워 온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추운 겨울 혹한을 이겨내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매화를 배웠으면 좋겠다는 말이 가슴속 깊이 울리더군요. 그는 앞으로도 흙을 일구고 자연과 벗 삼아 마음이 아픈 사람들을 보듬으며 살아갈 것이라고 합니다. 청매실농원도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광양시와 공동명의로 남겨 오래도록 매화 향기가 세상에 가득하게 하겠다며 미소를 짓더군요. 욕심이 없어서인지 오랜 역경을 딛고 일어선 때문인지 얼굴 표정이나 몸짓이 열일곱 소녀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광양 땅 매화마을에 가면 봄이 무엇인지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매화마을 산자락엔 섬진강을 들뜨게 하는 매화향기가 그득합니다. 꽃향기보다 더 진한 홍 쌍리 명인의 그윽한 미소와 넉넉한 삶의 향기가 사람들의 가슴에 여운을 남깁니다. ( 2010. 3 )
첫댓글 훌륭한 홍여사님을 이리 칭찬해 주시는 두RO님도 훌륭하신 분 맞습니다 !!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같은 글입니다 !! 잘 읽었습니다~
홍쌍기......성함부터 범상치 않은 분이십니다.
홍쌍리.. 그분의 마음이 매화향기보다 더 그윽하게 느껴지는 군요...
인간이 아름답다는 말이 실감나는 분이네요.....하기야 법정스님을 가까이 하셨다니.....그 인품을 알만합니다!!
매화로 인한 광양의 높아진 브랜드^^ 돌곶이 축제나 인삼,장단콩 축제로 우리 파주시의 브랜드도 up~up~^^
광양은 좋겠읍니다. 이리도 고은분이 계시다니......파주도 마이류처럼 정치적이 아닌분을 더 많이 존경하는 지역이기를....
욕심없는 마음~~이 담겨있기에`~.. 맛난 음식이 나오는 것이겠지요??
아름다운 이야기 잘 읽었습니다!! 그리고 부럽습니다~
꽃이야기에서 매화꽃 보고 이곳에서는 두로님의 매화향기 마시고~~ 10년 젊어져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