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용 써베이어란 치열궁 모형의 다른 부분, 혹은 둘 이상의 치면 사이의 상대적 평행관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따라서 써배잉의 일차원적 목표는 좋은 예후를 가질 수 있도록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구강 조직의 변형을 위한 계획수립에 있다. 국소의치의 각 구성요소가 지대치 상에 정해진 위치로 안착될 수 있도록 치면을 변형하는 것이 좋은 예후를 보장하게 된다.
치과용 써베이어의 개요(Description of dental surveyor)
가장 널리 사용되는 써베이어는 Ney 써베이어와 Jelenko 써베이어이다. 이 둘은 모두 정밀하게 제작된 기구인데 기본적인 차이점은 Jelenko의 암은 회전할 수 있으나 Ney의 암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평행측정이나 블록아웃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소 차이가 있다.
Ney 써베이어의 주요부분은 다음과 같다.
1. Flatform : 이 위에서 베이스가 움직인다.
2. Vertical arm : 상부구조를 지지
3. Horizontal arm : 써베이어 공구가 매달리는 부분
4. Table : 모형이 부착되는 부분
5. Base : 이 위에서 테이블이 회전
6. 평행측정 기구 또는 최대풍융부 표시기구
7. 맨드릴 : 특수공구로 부착을 위한 부분
Jelenko 써베이어의 주요부분은 기본적으로 Ney 써베이어와 동일하나 단지 수직암의 상부에 있는 나사를 풀어주어야 수평암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것은 원래 Dr. Noble Wills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모형에 의해서만하지 않고 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려는 생각이었으나 사람에 따라서는 2개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혼란스럽다고 느낀다. 수직암을 고정시키고 수평방향으로 모형만을 이동시키기를 선호하는 사람은 상부나사를 조여 수평암을 고정시켜 사용한다. Ney와 Jelenko 써베이어 상호간의 또 다른 차이점은 Ney 써베이어는 고정된 베어링 내에서 마찰력에 의해 수직암이 유지되므로 이 베어링 범위 내에서 상하로 적당한 위치에 놓으면 , 다시 이동시키기 전에는 그 위치에 있게 되며 나사로 원하veyor)는 위치에 고정시켜 둘 수도 있다. 반면에 Jelenko 써베이어는 스프링이 달려 있어서 손을 놓으면 최상방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필요한 높이에 고정시키려면 스프링을 눌러 주고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다소 단점이 된다.
2. 써베이어 사용 목적(Purposes of surveyor)
-> 써베이어는 진단용 모형의 평행측정, 진단모형상의 지대치의 변형, 납형조각의 외형형성, 언더컷 깊이의 측정, 도재수복물의 평행측정, 치관애 유지장치의 위치설정, 치관내 레스트의 위치설정, 주조수복물의 절삭, 주모형의 평행측정과 블록아웃 등에 사용된다.
3. 주모형의 써베잉(Surveying the master cast)
-> 주모형의 써베잉은 구강형성 후에 시행되므로 국소의치의 금속구조물을 설계하기 전에 삽입로, 유지부의 위치, 잔존간섭부위의 위치, 등을 확실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주모형 평행측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유도면, 유지, 간섭부위제거, 그리고 심미성을 만족 시켜주는 구강형성 후에 최적의 삽입로를 결정하는 것
유지부위의 측정 및 사용한 클래스프 암의 탄력성을 고려한 클래스프 첨단부의 위치 확인 : 클래스프 암의 탄력성은 다음의 많은 요소들에 의존한다: 사용된 금속의 종류, 클래스프의 모양과 형태, 형태가 원형인지 반원형인지 여부, 클래스프 암의 전체 길이 : 유지력은 클래스프 암의 탄력성, 언더커의 양, 클래스프 첨단부가 언더컷 내로 들어간 깊이 등에 좌우된다.
보철물의 견고한 부위가 장착, 철거로에 있을 수 있는 불필요한 언더컷의 위치 확인 : 이 부위는 블록 아웃으로 제거…
주모형을 복제하기 전에 삽입로에 평행하도록 블록아웃한 재료를 다듬기 위한 것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생리적 내성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환자가 쉽게 장착, 철거할 수 있도록, 의치를 탈락시키려는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심미적으로 우수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진단 모형의 평행측정시 이러한 원칙을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구강형성은 삽입, 철거로에 영향을 주는 이러한 요인에 맞추어서 설계되어야 한다.
4. 진단용 모형을 써베잉하는 단계적 과정
-> 클램프로 써베이어 테이블에 모형을 고정시키고, 교합면이 platform에 평행하도록 조절판을 조정한다.(이것은 일시적인 것이지만, 실제적인 것이고, 삽입, 철거로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고려하기 시작하는 과정이다.)
5. 최종 삽입로(Final path of placement)
-> 최종삽입로는 유도면, 유지, 장애, 심미성을 모두 고려한 써베이어의 수직암에 대한 모형의 전후방적 그리고 측방적 위치이다. 수복물로 처리해줄 부위를 제외하고는 구강형성시 변형시켜야 할 모든 부위를 모형상에 붉은 연필로 표시하고, 필요하면 진단기록부에서 표시해 둔다. 외과적 수술이나 발치가 필요하다면 상처의 치료기간을 고려하여 가장 먼저 시행하고 그리고 나서 인접면의 변형, 협설면 삭제, 레스트스트 형성과 같은 모든 잔존치아의 변형을 시행한다. 단 주조수복물의 납형에 레스트 시트를 형성할 때를 제외하고, 다른 모든 구강형성이 끝난 후에 레스트시트를 형성한다.
치료계획에는 구강형성과 의치설계가 모두 표시된 진단모형, 의치설계와 각 지대치의 치료계획이 표시된 진단기록부, 전체적으로 요약되어 있는 각 단계의 점검사항이 기록된 진단기록부, 각 단계별치료비에 대한 기록 등이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삽입로를 나타내는, 써베이어 블레이드는 모형상의 적색으로 표시된 지대치면을 삭제할 때 유용하며, 삭제 후 형성된 면은 구강형성시 삭제해야 할 양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고, 삭제기구의 접근각도를 제시해 준다. 모형상에 삭제된 면은 적색 연필로 다시 표시하지는 않지만, 그 외곽선은 표시해 두어야 한다.
6. 모형과 써베이어의 위치관계기록
-> 구강 형성시 참고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다시 써베이어에 부착시킬 때 처음과 같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기록해두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또 납형조각시나 주모형의 블록아웃, 클래스프 암의 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각 모형의 기저부가 다르므로 써베ㅣ어 테이블의 위치관계기록은 무의미하다. 여러 가지 방법 중에 2가지가 가장 정확하고 편리하다.
첫째는 써베이어의 수직암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형의 조작면에 3개의 점을 찍어둔다. 이 3점은 금속구조물을 설계하는데 포함되지 않는 위치로 선정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색연필로 둥근 원을 그려 넣는다. 모형을 다시 써베이어에 위치시킬 때는 써베이어 블레이드나 잔단용침이 3개의 점에 동일한 평면에서 접촉하도록 모형을 경사시킨다.
두번째 방법은 모형의 양측면과 모형의 후면에 써베이어 블레이드를 따라 날카로운 기구로 선을 그어둔다. 나중에 이 3개의 선이 평행하도록 모형의 경사를 조절하면 원래의 위치관계를 재현시킬 수 있다. 다행이도 이선은 복제가 가능하므로 복제모형에서도 정확한 위치관계를 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재위치 시킬 때 필요한 기준점을 잃게 되지 않도록 기공사가 절대로 모형의 측면을 삭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7. 유지의 측정(Measuring retention)
-> 주모형에 써베이어를 사용하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지대치의 최대풍륭부의 표시 클래스암의 위치, 언더컷의 위치와 양을 확인. 의치의 삽입, 철거시 남아있는 장애부위의 블록아웃 클래스프의 첨단이 위치할 정확한 언더컷을 측정하고 주모형에 표시한다. 언더컷은 언더컷게이지로 측정한다. 언더컷은 인치의 백분율로 표시하며 게이지는 0.03인치까지 측정가능하다. 그러나 보통 주조된 유지장치에는 0.01인치면 충분하고 가공선일 경우에는 길이만 충분하다면 0.02인치까지도 치아에 무리한 측방압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평행 측정할 치아에 빛을 비추면 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지대치의 한면과 블레이드가 양측변을 이루고 정점은 최대풍륭부가 되며 하방부가 치은 조직부가 되는 삼각형이 만들어진다.
8. 주모형의 블록아웃(Blocking out the master cast)
주모형에 삽입로와 언더컷부위가 완전히 설정되었으면, 클래스프의 유지첨단부를 제외한 의치의 모든 견고한 부분이 지나는 부위의 언더컷은 블록아웃한다. 넓은 의미에서 블록아웃이라는 용어는 의치의 금속구조부가 장착, 철거되는 과정에서 지나가는 부위 뿐 아니라 편의성을 위해 블록아웃을 하는 부위, 클래스프 외형이 위치할 렛지, 조직의 압박을 막기 위해 주유지 장치하방의 부여하는 릴리프,금속구조물에 추후에 부착되는 의치상을 위한 릴리프까지 포함된다.
9. 주모형의 릴리프(Relieving the master cast)
-> 조직의 언더컷도 치아의 언더컷과 마찬가지로 평행하게 블록아웃을 한다. 블록아웃과 릴리프의 차이점은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복제시 모형을 물에 담가둘 때 왝스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위를 끈끈한 왝스로 밀봉해야 한다. 하악후방연장의치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하악 설측 주연결장치와 인접한 부위의 연조직에 조직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손상은 바와 인접한 언더컷을 삽입로와 평행하게 블록아웃을 해주고 금속주조체 설계시 수평 방향회전운동에 저항하는 적절한 안정요소를 부여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으며 때로는 손상부위의 설측바 내면을 리바휠로 삭제하여 릴리프를 부여한다. 그외 릴리프가 필요한 부위는 치은접촉부와 치은열구이다. 인레이왝스로 블록아웃한다.
10. 평행블럭아웃, 형성블럭아웃, 임의블럭아웃, 릴리프
-> 같은 요소들이 상악과 하악 모두에 적용된다. 단지 상악의 구개 주연결장치하방에는 릴리프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피할 수 없는 상악 골융기가 있거나 단단한 구개정중봉선이 있는 경우는 예외로 릴리프하기도 한다.
*순서
치과용 써베이어의 개요
써베이어의 사용목적
주모형의 써베잉
진단용 모형을 써배잉하는 단계적 과정
최종 삽입로
모형과 써베이어의 위치관계기록
유지의 측정
주모형의 블록아웃
주모형의 릴리프
평행 블록 아웃,형상 블록 아웃, 임의 블록 아웃,릴리프
첫댓글 형 잘 퍼가여^^
이젠 울이가 퍼갈차례네요^^ㅋㅋ 잘퍼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