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6-문법-(1)】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개념을 알고 국어 어휘의 특징을 이해한다.
【내용 요소의 예】
◦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개념과 차이 이해하기
◦ 국어 어휘의 특징 이해하기
◦ 고유어를 살려 쓰는 태도 기르기
이 성취 기준은 국어 어휘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국어 생활 문화사의 일면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 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 어휘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하되, 특히 국어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갖게 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의 개념과 차이를 국어 생활 문화사의 흐름 속에서 이해하여 국어 어휘의 특징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국어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학습자들이 서로 토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들 스스로 국어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가져 고유어를 살려 쓰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교수 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고유어를 살려 쓰는 태도를 기르되, 한자어나 외래어를 배척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한자어나 외래어가 국어에서 갖는 가치에 대해 토의하는 활동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매체에 사용된 국어사용 방식을 관찰하고 분석하면서 외래어나 외국어, 한자어를 남용하는 사례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활동을 병행할 수 있다.
【언어 자료의 수준과 범위】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가 들어 있는 언어 자료
고유어를 살려 표현의 효과를 드러낸 표지판이나 안내판, 상표, 간판, 상품명 등과 외래어, 외국어, 한자어를 남용한 각종 매체 자료 등을 언어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