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여주이씨[驪州李氏] 사이버재실 원문보기 글쓴이: 옥계(俊配,포천공파)
조선시대 官職品階(관직품계 文·武)
正一品官:
대군(大君), (君=正一品부터 從二品까지 있음) 공신(功臣) 및 왕비의 아버지는 부원군(府院君)이다.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 도제조(都提調=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사 부(師 傅=세자시강원의 관직으로서 영의정, 좌우의정이 경임하는 관직임)
위(尉=왕의 사위로서 공주에 장가든 자에 정一품 혹은 종一품을 제수한다.)
감 사(監事=영의정이 겸임하는 관직임)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영의정),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종친이면 현록대부(縣祿大夫), 흥록대부(興祿大夫), 의빈이면 수록대부(綏祿大夫), 성록대부(成祿大夫).
從一品官:
군(君), 위(尉), 좌찬성(左贊成), 우찬성(右贊成), 판사(判事), 제학(提學=규장각의 관직), 사부(師傅=세손 강서원의 관직)
숭록대부(崇祿大夫), 숭정대부(崇政大夫), 종친이면 의덕대부(宜德大夫), 소덕대부(昭德大夫), 의빈 이면 정덕대부(靖德大夫), 명덕대부(明德大夫).
正二品官:
군(君), 위(尉=옹주에게 장가든 자에게 처음 제수한다), 좌참찬(左參贊), 우참찬(右參贊), 판서(判書), 대제학(大提學), 지사(知事), 판교(判校=규장각의 관직), 판윤(判尹),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도총관(都摠管).
정헌대부(正憲大夫), 자헌대부(資憲大夫), 종친이면 숭헌대부(崇憲大夫), 승헌대부(承憲大夫), 의빈이면 봉헌대부(奉憲大夫), 통헌대부(通憲大夫).
從二品官:
군(君), 참판(參判), 대사헌(大司憲), 동지사(同知事), 관찰사(觀察使=도의감사), 좌윤(左尹), 우윤(右尹), 직제학(直提學=규장각의 관직으로서 정三품까지 있음), 유수(留守),
목사(牧使)=단 광주(廣州)목사에 한함.
제학(提學), 좌부빈객(左副賓客), 우부빈객(右副賓客), 제조(提調),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좌우유선은 정三품까지 있음),
대장(大將=정三품까지 있음), 부총관(副摠管), 중군 (中軍=정三품까지 있음), 사(使=무관),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관찰사가 겸임하기도 함).
방어사(防禦使=종三품까지 있음), 수군통제사(水軍統制使), 겸사복장(兼司僕將), 내금위장(內禁衛將), 별장(別將=용호령).
가의대부(嘉義大夫), 가정대부(嘉靖大夫), 가선대부(嘉善大夫), 종친이면 중의대부(中義大夫), 소의대부(昭義大夫), 의빈이면 자의대부(資義大夫), 순의대부(順義大
正三品官:
부위(副尉=군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처음 제수함), 첨위(僉尉=현주에게 장가든 자로서 종三품까지 있음), 도정(都正), 대사간(大司諫), 대사정(大司成), 참의(參議), 부제학(副提學), 도청(都廳), 도정원정(都正院正),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 첨지사(僉知事), 직각(直閣=종六품까지 있음), 도승지(都承旨), 좌승지(左承旨), 우승지(右承旨), 좌부승지(左副承旨), 우부승지(右副承旨), 동부승지(同副承旨), 제주(祭酒), 찬선(贊善), 보덕(輔德), 겸보덕(兼輔德), 판결사(判決事), 대장(大將), 정(正), 시(寺), 원(院), 감(監), 사(司)등의 관직,
좌통례(左通禮), 우통례(右通禮), 판교(判校), 수찬관(修撰官), 편수관(編修官=종三품까지 있음), 제검(提檢=종三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종九품까지 있음), 별장(別將=훈련도감), 천총(千摠=훈련도감), 상호군(上護軍), 중군(中軍), 진영장(鎭營將=목사가 겸임함), 목사(牧使), 사림위장(司林衛將), 부사(府使=대도호부), 국별장(局別將), 별후부천총(別後部千摠), 기사장(騎士將), 관성장(管城將).
통정대부(通政大夫), 종친이면 명선대부(明善大夫), 의빈이면 봉순대부(奉順大夫) (이상은 당상관(堂上官)의 품계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 종친이면 창선대부(彰善大夫), 의빈이면 정순대부(正順大夫).
從三品官:
첨위(僉尉), 부정(副正), 집의(執義), 사간(司諫), 전한(典翰), 사성(司成), 편수관(編修官), 참교(參校), 상례(相禮), 익례(翊禮), 내승(內乘=종九품까지 있음), 제거(提擧), 제검(提檢), 부사(府使), 대호군(大護軍), 진영장(鎭營將=부사가 겸임함), 절도사(節度使), 방어사(防禦使), 첨절제사(僉節制使), 우후(虞候=정四품까지 있음), 기사장(騎士將), 선전관(宣傳官).
중직대부(中直大夫), 중훈대부(中訓大夫) 종친이면 보신대부(保身大夫), 자신대부(資信大夫), 의빈이면 명신대부(明信大夫), 돈신대부(敦信大夫).
正四品官:
수정(守正), 전첨(典籤), 사인(舍人), 장령(掌令), 시강관(侍講官), 응교(應校), 진선(進善), 필선(弼善), 겸필선(兼弼善), 사예(司藝), 사업(司業), 봉례(奉禮), 호군(護軍), 별제(別提=수성금화사의관직), 첨정(僉正=종四품까지 있음), 선전관(宣傳官), 도선(導善), 우후(虞候), 제검(提檢=종四품까지 있음).
봉정대부(奉正大夫), 봉렬대부(奉列大夫), 종친이면 선휘대부(宣徽大夫), 광휘대부(廣徽大夫).
從四品官:
경력(經歷), 부응교(副應敎), 서윤(庶尹), 수(守)=사(司), 창(倉)의 관직, 부수(副守), 교감(校勘), 부호군(副護軍), 군수(郡守), 유영별장(留營別將), 성기별장(城機別將), 파총(把摠), 외방겸파총(外方兼把摠), 선전관(宣傳官), 제검(提檢),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만호(萬戶).
조산대부(朝散大夫), 조봉대부(朝奉大夫), 종친이면 봉성대부(奉成大夫), 광성대부(光成大夫).
正五品官:
령(令=종친부의 벼슬), 전부(典簿), 검상(檢詳), 정랑(正郞), 지평(持平),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사의(司議), 헌납(獻納), 시독관(侍讀官), 교리(校理), 겸교리(兼校理),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직강(直講), 기주관(記注官=종五품까지 있음), 찬의(贊儀), 별좌(別坐=종五품까지 있음), 전훈(典訓), 전수(典需), 사직(司直).
통덕랑(通德郞), 통선랑(通善郞), 종친이면 통직랑(通直郞), 병직랑(秉直郞).
從五品官:
부령(副令=종친부의 벼슬), 판관(判官), 도사(都事=종九품까지 있음), 별좌(別坐), 부교리(副敎理), 좌권독(左勸讀), 우권독(右勸讀), 좌사어(左司禦), 우사어(右司禦), 기주관(記注官), 령(令)=서(署), 궁(宮), 고(庫)등의 벼슬, 현령(縣令), 부사직(副司直), 선전관(宣傳官).
봉직랑(奉直郞), 봉훈랑(奉訓郞) 종친이면 근절랑(謹節郞), 신절랑(愼節郞).
正六品官:
감(監=종친부의 벼슬), 좌랑(佐郞), 감찰(監察), 사평(司評), 정언(正言), 검토관(檢討官), 수찬(修撰),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전적(典籍), 기사관(記事官=정九품까지 있음),
교검(校檢), 전악(典樂), 사회(司誨), 별제(別提=종六품까지 있음), 평사(評事), 사과(司果), 장원(掌苑), 사포(司圃), 좌익찬(左翊贊), 우익찬(右翊贊).
승의랑(承義郞), 승훈랑(承訓郞) 종친이면 종순랑(從順郞).
從六品官:
주학교수(籌學敎授), 별전수(別典需), 율학교수(律學敎授), 별제(別提), 천문학교수(天文學敎授),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천문학겸교수(天文學兼敎授), 지리학겸교수(地理學兼敎授), 명과학교수(命課學敎授), 교수(敎授), 부수찬(副修撰), 좌찬독(左贊讀), 우찬독(右贊讀), 좌위솔(左衛率), 우위솔(右衛率), 좌장사(左長史), 우장사(右長史), 기사관(記事官), 인의(仁儀), 부전악(副典樂), 사축(司畜), 사지(司紙), 의학교수(醫學敎授), 한학교수(漢學敎授), 선화(善화), 부전수(副典需), 영(令)=능(陵)의 벼슬), 찰방(察訪), 현감(縣監), 절제도위(節制都尉), 감목관(監牧官), 종사관(從事官), 부장(部將), 낭청(郞廳=선혜청의 벼슬), 부사과(副司果), 수문장(守門將=종九품까지 있음).
선교랑(宣敎郞), 선무랑(宣務郞).
正七品官:
주서(注書), 봉교(奉敎), 대교(待敎=정九품까지 있음), 박사(博士), 사변가주서(事變假注書), 사경(司經), 설저(說書), 겸설서(兼說書), 자의(諮議), 전률(典律), 참군(參軍), 좌부솔(左副率), 우부솔(右副率), 낭청(郞廳), 기사관(記事官), 수문장(守門將).
무공랑(務功郞).
從七品官:
직장(直長), 좌종사(左從史), 우종사(右從史), 사(士=호조의 벼슬), 명률(明律), 부전률(副典律), 선회(善繪), 부사정(副司正), 별회(別會).
계공랑(啓功郞).
正八品官:
사록(司錄), 저작(著作), 설경(說經), 학정(學正), 부직장(副直長),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전음(典音), 별검(別檢=종八품까지 있음)), 사맹(司猛).
통사랑(通仕郞).
從八品官:
계사(計士), 심율(審律), 봉사(奉事), 부전음(副典音), 별검(別檢), 전곡(典穀), 화리(화吏), 부사맹(副司猛).
승사랑(承仕郞).
正九官:
주학훈도(籌學訓導), 율학훈도(律學訓導), 정자(正字), 전경(典經), 검열(檢閱),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학록(學錄), 부봉사(副奉事), 전성(典聲),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명과학훈도(命課學訓導), 의학훈도(醫學訓導), 한학훈도(漢學訓導), 몽학훈도(蒙學訓導), 왜학훈도(倭學訓導), 여진학훈도(女眞學訓導), 사용(司勇).
종사랑(從仕郞).
從九品官:
회사(會士), 부정자(副正字), 분교관(分敎官), 학유(學諭), 겸인의(兼引儀), 가인의(假引儀), 참봉(參奉), 감역관(監役官), 가감역관(假監役官), 부전성(副典聲), 전화(典貨), 회리(繪吏), 권관(權管),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부사용(副司勇), 초관(哨官).
(출처 : '조선시대 관직품계(官職品階:文.武)' - 네이버 지식iN)
장사랑(將仕郞).
○ 西班官職(서반관직=무관)
正一品(정일품)으로부터 從二品(종이품)까지는 동반관직과 같다.
正三品(정삼품) : 절충장군(折衝將軍), 당상관(堂上官), 어모장군(禦侮將軍), 당하관(堂下官).
從三品(종삼품) : 건공장군(建功將軍), 보공장군(保功將軍).
正四品(정사품) : 진위장군(振威將軍), 소위장군(昭威將軍).
從四品(종사품) : 정략장군(定略將軍), 선략장군(宣略將軍).
正五品(정오품) : 과의교위(果毅校尉), 충의교위(忠毅校尉).
從五品(종오품) : 현신교위(顯信校尉), 창신교위(彰信校尉).
正六品(정육품) : 돈용교위(敦勇校尉), 진용교위(進勇校尉).
從六品(종육품) : 여절교위(勵節校尉), 병절교위(秉節校尉).
正七品(정칠품) : 적순부위(迪順副尉).
從七品(종칠품) : 분순부위(奮順副尉).
正八品(정팔품) : 승의부위(承義副尉).
從八品(종팔품) : 수의부위(修義副尉).
正九品(정구품) : 효력부위(效力副尉).
從九品(종구품) : 전력부위(展力副尉).
○ 外官職(외관직=지방관)
외관(外官) 즉 지방관서(地方官署)의 직위로서 각도(道=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황해, 평안, 함경도등 八道를 말함)에 관찰사(觀察使=때에 따라 감사(監司)라고도 하였음) 1명과 도사(都事) 1명씩을 두었고 각 고을에 따라서 부윤(府尹), 목사(牧使),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도호부사(都護府使),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등의 수령(守令)을 두었으며 주요 도(道=길을 말함)의 역(驛)을 담당한 찰방(察訪) 또는 역승(驛丞)을 두었다. 그리고 각도와 부(府), 주(州)등 큰 고을에 교수(敎授),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등 관직을 두었다.
※각 고을의 수령 관직은 다음과 같다.
從二品=부윤(府尹) : 각 도(道)의 관찰사(觀察使=때에 따라 감사(監司)라고도 하였음) 경주(慶州), 전주(全州), 평양(平壤), 의주(義州), 함흥(咸興).
正三品=목사(牧師) : 광주(廣州=광주목사에 한하여 종二품), 여주(驪州), 파주(坡州), 양주(楊州), 충주(忠州), 청주(淸州), 공주(公州), 홍주(洪州), 상주(尙州), 진주(晋州), 성주(星州), 나주(羅州), 제주(濟州), 광주(光州), 능주(綾州), 황주(黃州), 해주(海州), 원주(原州), 안주(安州), 정주(定州), 길주(吉州). 그런데 위에 있는 부윤, 목사의 고을로서 즉 관찰사가 있는 고을을 그 고을의 부윤이나 목사는 관찰사가 겸임하고 따로 두지 않는다.
正三品=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 안동(安東), 창원(昌原), 강릉(江陵), 영흥(永興), 영변(寧邊=영변은 절도사가 겸임한다).
從三品=도호부사(都護府使) : 수원(水原), 부평(富平), 남양(南陽), 이천(利川), 인천(仁川), 장단(長湍), 풍덕(豊德), 통진(通津), 교동(喬桐=교동은 수사(水使)가 겸임한다), 죽산(竹山), 청풍(淸風), 대구 (大邱=관찰사가 겸임한다), 김해(金海), 영해(寧海), 밀양(密陽), 선산(善山), 청송(靑松), 함양(咸陽), 울산(蔚山), 동래(東萊), 거제(巨濟), 거창(居昌), 하동(河東), 인동(仁同), 순흥(順興), 칠곡(漆谷), 남원(南原), 장흥(長興), 순천(順天), 담양(潭陽), 여산(礪山), 장성(長城), 무주(茂朱), 연안(廷安), 평산(平山), 서흥(瑞興), 예천(醴泉), 곡산(谷山), 옹진(瓮津=수사가 겸임한다), 장연(長淵), 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영월(寧越), 이천(伊川), 안변(安邊), 경성(鏡城=절도사가 겸임한다), 경원(慶源), 회령(會寧), 온성(穩城), 경흥(慶興), 부령(富寧), 북청(北靑=절도사가 겸임한다), 덕원(德源), 정평(定平), 갑산(甲山), 삼수(三水), 단천(端川), 명천(明川), 무산(茂山), 강계(江界), 창성(昌城), 성천(成川), 삭주(朔州), 구성(龜城), 숙천(肅川), 중화(中和), 자산(慈山), 선천(宣川), 철산(鐵山), 용천(龍川), 초산(楚山), 삼화(三和), 함종(咸從).
從四品=군수(郡守)
〔경기도〕양근(楊根), 안산(安山), 삭녕(朔寧), 안성(安城), 마전(麻田), 고양(高陽), 김포(金浦), 교하(交河), 가평(加平).
〔충청도〕임천(林川), 단양(丹陽), 태안(泰安), 한산(韓山), 서천(舒川), 면천(沔川), 천안(天安), 서산(瑞山), 괴산(槐山), 옥천(沃川), 온양(溫陽), 대흥(大興)
〔경상도〕합천(陜川), 초계(草溪), 청도(淸道), 영천(永川), 예천(醴泉), 영주(榮州), 흥해(興海), 양산(梁山), 함안(咸安), 금산(金山), 풍기(豊基), 곤양(昆陽)
〔전라도〕보성(寶城), 익산(益山), 고부(古阜), 영암(寧岩), 영광(靈光), 진도(珍島), 낙안(樂安), 순창(淳昌), 금산(錦山), 진산(珍山), 김제(金堤).
〔황해도〕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백천(白川), 신천(信川), 금천(金川).
〔강원도〕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평창(平昌).
〔함경도〕문천(文川), 고원(高原).
〔평안도〕상원(祥原), 덕천(德川), 개천(价川), 가산(嘉山), 곽산(郭山), 순천(順天), 희천(熙川), 벽동(碧潼), 운산(雲山), 박천(博川), 위원(渭原).
從四品=서윤(庶尹) : 평양(平壤)
從五品=현령(縣令)
〔경기도〕용인(龍仁), 진위(振威), 영평(永平), 양천(陽川)
〔충청도〕문의(文義)
〔경상도〕영덕(盈德), 경산(慶山), 고성(固城), 의성(義城), 남해(南海)
〔전라도〕창평(昌平), 용담(龍潭), 임피(臨陂), 만경(萬頃), 금구(金溝)
〔황해도〕신계(新溪), 문화(文化=우봉(牛峰)이라고도 하였음)
〔강원도〕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흡谷)
〔평안도〕용강(龍岡), 영유(永柔), 증산(甑山), 삼등(三登), 순안(順安), 강서(江西)
從五品=판관(判官): 공주(公州), 대구(大丘=현大邱임), 전주(全州), 제주(濟州), 해주(海州), 원주(原州), 함흥(咸興)
從五品=도사(都事사)
從六品=현감(縣監)
〔경기도〕지평(砥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과천(果川), 금천(衿川), 연천(漣川), 음죽(陰竹), 양성(陽城), 양지(陽智).
〔충청도〕홍산(鴻山), 제천(堤川), 덕산(德山), 평택(平澤), 직산(稷山), 회인(懷仁), 정산(定山), 청양(靑陽), 연풍(延豊), 음성(陰城), 청안(淸安), 은진(恩津), 진잠(鎭岑), 회덕(懷德), 연산(連山), 이성(尼城)=작산(作山)이라고도 하였음), 부여(扶餘), 석성(石城), 비인(庇仁), 남포(藍浦), 진천(鎭川), 결성(結城), 보령(保寧), 해미(海美), 당진(唐津), 신창(新昌), 예산(禮山), 목천(木川), 전의(全義), 연기(燕岐), 보은(報恩), 영천(永川),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아산(牙山)
〔경상도〕개령(開寧),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彦陽), 칠원(漆原), 진해(鎭海), 진보(眞寶), 문경(聞慶), 함창(咸昌), 지례(知禮), 안의(安義=안음(安陰)이라고도 하였음), 고령(高靈), 현풍(玄風), 산청(山淸=산음(山陰)이라고도 하였음), 단성(丹城), 군위(軍威), 비안(比安), 의흥(義興), 신녕(新寧), 예안(禮安), 연일(延日), 장기(長?),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웅천(熊川), 자인(慈仁), 영양(英陽)
〔전라도〕광양(光陽), 용안(龍安), 함열(咸悅), 부안(扶安), 함평(咸平), 강진(康津), 옥과(玉果), 고산(高山), 자인(慈仁),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운봉(雲峰),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대정(大靜), 정의(旌義), 진원(珍原), 삼계(森溪)
[황해도] 장연(長淵), 송화(松禾), 강령(康翎), 은율(殷栗), 토산(兎山), 강음(江陰)
[강원도]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함경도] 홍원(洪源), 이성(利城)
[평안도] 양덕(陽德), 맹산(孟山), 태천(泰川), 강동(江東), 은산(殷山) 이상과 같이 외방관직은 그 주읍(州邑)에 따라 이조 역대의 왕조를 거치는 동안 그 고을의 등급이 오르고 내리기도 하였던 것이며 그외에 관찰사가 있는 고을의 부윤, 목사를 관찰사가 겸임하고 있으므로 그 대신 서윤(庶尹), 판관(判官)을 배치하고 있다.
從六品=찰방(察訪), 교수(敎授)
從九品=참봉(參奉), 훈도심약(訓導審藥), 훈도석학(訓導釋學), 역승(驛丞), 검률역승(檢律驛丞), 도승(渡丞) 왜학훈도(倭學訓導), 검률(檢律), 심약검률(審藥檢律), 심약역승(審藥驛丞)
○ 조선시대 여성의 관직
무품← 대비(어머니) → 왕비(며느리) → 적녀(공주) → 서녀(옹주) 순서 적용왕비(내 ·외명부를 관장하는 왕의 부인), 공주(외명부 왕의 적녀), 옹주(외명부 왕의 서녀)
정1품 : 빈(내명부 후궁), 부부인(외명부 왕비의 모), 부부인(외명부 ○○대군의 아내)군부인(외명부 ○○군의 아내)정경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 남편의 품계를 따름)
종1품 : 귀인(내명부 후궁), 봉보부인(외명부 왕의 유모) 군부인(외명부 ○○대군의 적장자의 아내) 정경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2품 : 소의(내명부 후궁), 군주(외명부 세자의 적녀) 현부인(외명부 세자의 아들의 아내, 대군의 적장손의 아내, 왕자군 적장자의 아내) 정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2품 : 숙의(내명부 후궁), 양제(내명부 세자궁) 현부인(외명부 세자 손자의 아내, 대군의 아들들과 맏증손의 아내, 왕자군의 적장손의 아내) 정부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3품 : 소용(내명부 후궁), 현주(외명부 세자의 서녀) 신부인·신인(세자의 증손의 아내, 대군의 손자의 아내, 왕자군의 아들과 맏증손의 아내) 숙부인·숙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3품 : 숙용(내명부 후궁), 양원(내명부 세자궁) 신인(외명부 대군의 증손의 아내, 왕자군의 손자의 아내) 숙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4품 : 소원(내명부 후궁) 혜인(왕자군의 증손의 아내) 영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4품 : 숙원(내명부 후궁), 승휘(내명부 세자궁) 혜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영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5품 : 상궁·상의(내명부 궁관) 온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공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5품 : 상복·상식(내명부 궁관), 소훈(내명부 세자궁) 온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공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6품 : 상침·상공(내명부 궁관) 순인(외명부 종친의 아내) 의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6품 : 상정·상기(내명부 궁관), 수규·수칙(내명부 세자궁 궁관) 의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7품 : 전빈·전의·전선(내명부 나인) 안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7품 : 전설·전제·전언(내명부 나인), 장찬·장정(내명부 세자궁 나인) 안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8품 : 전찬·전식·전약(내명부 나인) 단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8품 : 전등·전채·전정(내명부 나인), 장서·장봉(내명부 세자궁 나인) 단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정9품 : 주궁·주상·주각(내명부 무희) 유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종9품 : 주변치·주치·주우·주변궁(내명부 무희), 장장·장식·장의(내명부 세자궁 나인) 유인(외명부 문무관의 처)
○ 참고사항
당상(堂上)은 정삼품이상, 당하(堂下)는 종삼품 ~ 종사품, 참상(참上)은 정오품 ~ 종육품, 참하(참下)는 정칠품 ~ 종구품으로 나누고, 상계(上階)는 통정대부(동반), 절충장군이상을 하계(下階)는 통훈대부(동반), 건공장군(서반) 이하를 말한다.
벼슬이 없을 경우에는 관직을 학생(學生)으로 배우자는 유인(孺人)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