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피터 사용을 위한 안내문 ]]
리피터를 사용하려는 무선사를 위하여 다년간 사용한 경험을 토대로 안내문을 작성합니다. 이 안내서는 학문적이고 정통적이지 못한 것을 우선 밝혀드리며 앞으로 여러분의 의견과 오류의 지적을 접수하여 본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서 수정보완을 하여 올바른 리피터 운용법을 체계화 시키고자 합니다.
시작이 반이고 경험은 진리라는 金言을 믿고 보통의 <3급 전화급>의 무선사로서 정성껏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1, 리피터의 원리 A 라는 무선사가 B 라는 중계기를 통하여 C 라는 무선사에게 신호를 보내고, 다시 C 라는 무선사가 B 라는 중계기를 통하여 A 라는 무선사에게 신호를 보내는 교신방법을 이른다. 즉 A 는 진부에 있고 B 는 대관령의 중계기기이고 C 는 강릉에서 있는데 A 와 C 와는 포터블핸디나 모빌로서는 교신이 불가능하지만 B 라는 중계기를 이용하면 우수한 신호로 교신이 가능케 된다는 것이다.
2, 리피터를 이용하기 위한 기계조작법 가, 크로스[交叉]밴드 방식[ 리피터가 VHF 와 UHF 를 동작시켜 하는 법으로 UHF에서 송신[TX / OUTPUT] 하여 VHF에서 수신[RX / INPUT]하거나 반대로 송수신을 하여 교신하는 것으로 DS0HW를 예시로 하겠습니다 ] 1] VFO 모드에서 VHF 144.560 MHz 으로 하고 tone을 눌러서 t를 나오게 한다음 기능키[F / 팽션]를 2초이상 눌러 마이크의 up/down 키나 튜닝콘트롤로서 t 코드를 123.0 으로 맞춘다. 다음은 F 키를 잠시 눌러서 F 가 점등되고 메모리찬넬 번호가 나타나면 메모리번호를 5 번으로 하고서 아무키나 눌러서 메모리화를 만든다.
2] VFO 모드에서 UHF 438.560 MHz 으로 하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t 코드를 118.8 로 하여 메모리번호를 같은 5번으로 메모리화를 한다. 메모리번호를 같은 번호로 하는 것은 사용을 편하게 하기위한 방편이다.
3] 모든 기기에 신호감쇠기능[ Sensitivity / mute / on 상태로 하면 15 dB 이하의 전파는 제거 됨 ]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리피터를 사용시 이 기능이 없으면 수신부에서 삐 ~~ 하는 동조음[하울링]이 강력하게 발생하여 방송사고를 내게 되므로 이 기능을 동작을 시키시고 이런 기능이 없으면 A 는 VHF에서 송신을 하고 UHF는 소리를 아예 줄이고 B 는 이와 반대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장거리 교신[설악산 과 지리산]을 할시는 서로 UHF에서 송신을 하고 VHF 로 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VHF 가 훨씬 교신거리가 길기 때문이다.
4] 교신이 가능한지 못한지는 PTT 키를 눌러서 디스플레이판에 수신부의 시그널이 3 이상으로 출현을 해야만 된다. 3 이하는 보이스의 명료도가 떨어져 해독하기가 어렵다. 디스플레이 판에는 TX / RX 의 각 주파수에 t가 표시가 되어있다.
나, 모노 시프트[SHIFT] 방식의 교신[ VHF 나 UHF에서 리버스[REV / 송수신 주파수의 반전[反轉] ] 기능으로 교신하는 것을 말하며 HL0WHQ를 예시로 하겠습니다. 1] VFO를 눌러서 VFO 로 해놓고 TX를 145.200 MHz 으로 해놓고 F[기능키 / 팽션]를 눌러서 SHIFT 키를 누른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판에 +이 표시가 되고 한번 더 누르면 - 표시가 다시 더 누르면 표시없음이 된다. + 표시를 해놓고 PTT를 누르면 RX가 600 KHz 올라간 145.600 MHz 로 된다. 즉 수신은 145.200 으로 송신은 145.800 으로 반전하며 운영이 된다. 다음은 t를 나타나게 하여 F 키를 2 초이상 눌러서 t 코드를 88.5 로 맞춘다.
다음은 F 키를 잠시 눌러서 F 가 점등되고 메모리찬넬 번호가 나타나면 메모리번호를 N 번으로 하고서 아무키나 눌러서 메모리화를 만든다.
2] 송수신 주파수를 간단히 반전시킬시는 REV 키를 눌러 R 표시가 나오게 하면 수신주파수에서 송신주파수로 간단하게 반전을 시킬수가 있는데 이는 리피타를 사용하지 않고 상대와 교신이 될 수 있을까를 첵크하는 방법이며 직접 교신이 가능시는 리피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빈 주파수에서 교신을 하는 것이 좋다.
3,리피타 운영의 실제 가, 리피타는 불특정의 다수가 사용하고 듣고 있으므로 전파법을 위배하지 않게 더욱 고려를 하고 정중하게 간단하게 사용을 하여야 하며, 심하게 업무적으로 사용을 하고 비속어나 약어 특정모임의 은어를 심하게 사용하면 개인이나 단체등의 명예를 손상당하거나 경멸을 당하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를 하여야 한다.
나, 리피터를 사용시는 이 채널에서 이미 교신중인 광범위한 무선국에 막대한 혼신을 초래하므로 오해를 불러 일으키지 않도록 리피터를 먼곳에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줄 충분한 필요가 있으므로 “ HL2OXQ 수원 여기는 DS2ABV 평창 리피터 ” 라고 하여 리피터의 신호가 전파되는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등의 무선국에 묵시적으로 양해를 받아야 한다.
다, 리피터를 사용하는 TX의 출력은 되도록 강하게 운영을 해야한다. 출력이 약하면 노이즈가 심하게 발생을 한다. 또한 리피터를 사용하지 않는 교신시 VFO 채널에서는 tone을 제거를 해두어야 한다. 목적없이 t를 넣어두면 전국에 산재한 리피터에 혼신을 야기하는 일이 있음이다.
라, 크로스밴드중계기의 기계적인 셋팅시에 피차 UHF에서 송신을 하고 VHF에서 수신을 하는 약정이 있을시는 VHF 의 ATT를 걸거나 스켈치는 90 % 정도를 닫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우수한 휠터가 없는한 Splatter[인접국에 의한 혼신형태]에 의해 리피터의 오작동이 심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UHF 는 사용빈도가 적고 더 정밀하므로 ATT를 해제하거나 스켈치의 한계에서 10 % 쯤만 닫아둔다.
마, 리피터는 산의 능선에 설치가 되므로 낙뢰에서 안전치가 못하다. 낙뢰로 인하여 사망사고는 물론이고 기계적인 파손도 엄청나다. 천둥이 치면 전원부를 일시 내리고 피뢰봉의 매설과 피뢰침의 설치를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는 것이 좋다. 벼락을 맞은 중계기의 ANT가 형체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산산조각이 난 것을 필자는 직접 목격을 하였다.
바, 리피터의 전파범위는 실로 대단하다고 본다. 안양의 수리산 8 부 능선에 설치한 DS0HW 리피터[VHF 10W]는 포터블핸디[ 5W / 헤리컬안테나 ]로는 설악산 / 태백산 / 소백산 / 예산의 자동차 시험장 / 천안의 관광버스 내 / 강화의 마니산 / 속리산 / 계룡산에서 교신을 하였고 모빌[ 35W / 휩안테나 ]로는 강원도 양구의 을지전망대 / 변산반도의 변산해수욕장 / 영동고속도로 소사휴게소 등지에서 5/9 으로 교신이 되기도 하였다.
4, 맺는 말 리피터 문화의 확산과 정확한 운용을 위하여 여러분의 고견과 오류의 발견을 기대합니다. 제게 편지를 주시거나 이곳의 리플기능을 이용하여 주십시오
- DS2ABV / 011 757 5791 / 밀 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