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베뢰아세계선교후원회 원문보기 글쓴이: jeje
1. 국가 개요
a. 정치체제: 연방제로서 공식 명칭은 미얀마 연방 (Union of Myanmar)이다.
b. 언어 : 공용어는 미얀마어이고 섭외어는 영어 이며 문맹율이 35%정도된다.
그 외에도 미얀마에는 100개 이상의 종족이 있으며 각기 다른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 2.미얀마의 종족 참조)
c. 종교: 불교
d. 면적: 67만 6천 552 Km2 (남한의 7배 반)
e. 인구: 4,127만명
미얀마는 서쪽으로부터 인도, 방글라데시, 중국, 라오스, 태국과 인접해 있다. 남북의 길이가 약 2,000 Km2 동서로는 약 1,000 Km2 가 된다.
기후는 열대 계절풍기후로 우기와 건기의 차가 뚜렸하며 서부의 산지는 연 강수량이 5,000 mm를 넘는다.
주민의 약 70%가 버마족이며 이 밖에 카렌족, 샨족, 몬족 이외에도 중국인, 인도인도 많아 민족구성이 복잡하다.(자세하게 보기를 참조)
종교는 대부분이 불교이며, 힌두교, 이스람교가 있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들어와 선교활동을 벌이고 있으나 아직 기독교 인구는 전체 인구의 6%정도에 불과하며 그것도 대부분 소수 민족들이고, 버마족은 99%가 불교를 믿고 있다 한다.
19세기 영국령 인도의 1주가 되었다가 1937년 인도에서 분리,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에게 점령당하였고 1948년에 독립하였다.
주민의 3분의 2가 농업, 어업, 임업에 종사하며 특히 쌀은 외화획득에 큰 몫을 차지하고있다. 주석, 납, 석유, 석탄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나, 식품가공, 시멘트 등의 공업은 소규모이다. 우리나라 및 북한과 모두 수교하였으나 1983년 아웅산 폭파사건 후 북한과는 단교하고, 국가 승인을 취소하였다.
2. 미얀마의 종족 (National Races) ( 미얀마 공보부 발행 98년 5월호 자료)
*미얀마에는 135개의 종족이 있다. 그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Kachin 12개족
(2) Kayah 9개족
(3) Kayin 11개족
(4) Chin 53개족
(5) Bamar 9개족
(6) Mon 1개족
(7) Rakhine 7개족
(8) Shan 33개족
합계 135개족
미얀마의 보다 자세한 설명 <Myanmar>
(아래 자료는 대부분 두산동아대백과 사전에서 발췌한 것임)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와 인도 대륙 사이에 있는 나라. 정식명칭은 미얀마 연방(Union of Myanmar). 옛 이름은 버마(Burma). 서쪽은 인도양에 면하며, 북동쪽은 중국, 동쪽은 타이․라오스, 북서쪽은 인도에 접한다. 1989년 국명이 버마에서 미얀마로 개칭되었다.
1. 자연
국토는 북위 16∼28°에 걸쳐 남북으로 긴 마름모꼴을 이루고, 테나세림 지구가 말레이 반도의 북서부를 차지하여 남쪽으로 길게 뻗어 있다. 최북부에는 빙하를 갖는 5,000 m 이상의 고산을 포함하는 산지가 있고, 여기서 남서쪽으로 향하여 호상(弧狀)으로 뻗은 서부 산지, 남쪽으로 달리는 동부 산지가 있어, 중앙저지의 세 방향을 둘러싸고 있다. 파므카이 구릉, 친 구릉, 아라칸산맥으로 이어지는 서부산맥은 제3기 습곡지대에 속하며, 그 연장부는 안다만․니코바르의 두 제도를 거쳐 인도네시아 열도로 계속된다. 동부산지 중앙부에 있는 해발고도 900~1,200 m의 샨 고원은 오래 된 결정암과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살윈․이라와디 두 수계(水系)의 하천이 남북으로 뻗은 산맥군 사이에 많은 분지를 형성한다. 중앙저지는 제3기, 제4기의 두꺼운 퇴적층으로 뒤덮여 있고, 이라와디강(江)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 어귀에 대 삼각주 평야를 형성한다. 페구산맥 동쪽에는 시탕강 계곡이 있다. 살윈강은 샨 고원에 깊은 골짜기를 파며, 어귀에 삼각주 평야를 형성한다. 산지를 배후에 둔 테나세림 해안 앞바다에는 메르귀 제도의 섬들이 산재한다. 국토의 대부분이 북회귀선 이남에 위치하고, 여름에 계절풍이 발달하는 벵골만에 면하여 열대 계절풍 기후가 지배적이며, 원식생(原植生)은 상록 관엽수림 또는 건기에 낙엽하는 열대 우록림(雨綠林)이다. 북부의 카친 산지와 동부의 샨 고원은 고도가 높아서 온대적이며, 겨울에 눈과 서리를 볼 수 있는 곳도 있다. 이라와디강 중류의 상부(上部) 미얀마는 아라칸산맥의 배후에 있기 때문에 강우가 적어, 사바나의 경관을 보이는 건조지역이다. 이 두 지역을 제외하면, 기온은 1년 내내 높고, 대량의 비가 여름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연강수량은 산을 배후에 두고 해안에 위치하는 시트웨와 모울메인에서 약 5,000 mm에 이르고(80 %가 6~9월), 이라와디강 삼각주에서 2,000~2,500 mm, 바다에서 먼 샨주에서 1,200 mm 정도이다. 이라와디강 중류 유역은 800 mm 이하, 파코쿠는 620 mm밖에 안되어, 아카시아 등 건조기후에 강한 수목만이 자란다. 우록림에서 자라는 티크․핀카드 등 단단한 수목은 재목용으로 벌채되며, 대나무는 종류가 많고 용도가 다양하다.
2. 주민․언어
1984년 추정 총인구 3,76l만 명 중 약 2,200만 명이 미얀마의 중심 민족인 버마족이고, 나머지는 여러 소수민족으로 나뉘어 있어, 이 민족구성의 복잡성이 미얀마 정치의 중요 문제의 하나이다. 소수민족으로는 예로부터 미얀마에서 거주했던 종족과 최근의 1세기 동안 미얀마로 유입한 종족이 있다. 전자에는 샨족(약 190만)․카렌족(약 220만)․카친족(약 110만)․친족(약 60만)․몬족 등이 있는데, 각기 고유의 언어를 갖고 있다. 샨족은 샨 고원에, 카렌족은 타이와의 국경 산악지대와 이라와디강 삼각주 지역에, 카친족은 북쪽 고지에, 친족은 인도와의 국경 방면에 살고 있다. 몬족은 중세까지 이라와디․시탕 두 강의 하류 유역을 지배하였던 민족으로 페구 등의 성시(城市)를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으나 중세 이후에 남하해 온 버마족과의 싸움에서 패배하고 인구도 감소하여, 지금은 물메인 지방의 소수민족으로 전락하였다. 근래에 미얀마로 유입한 민족으로는 인도인․중국인이 있는데, 미얀마가 영국의 식민지가 된 19세기 후반부터 유입하기 시작하여 상공업․서비스업 종사자, 농업 노동자, 금융업자, 지주 등이 되었다. 특히 인도인은 최근까지 백수십 만을 헤아리며, 미얀마 경제의 중심세력이었으나, 1962년 성립된 네윈 군정의 미얀마화정책으로 수십만 명으로 감소하였다. 그 밖에 약 40만 명의 중국인이 거주한다. 중심 민족인 버마족은 몽골티베트계 민족으로, 10세기경 북쪽에서 남하하여 이라와디 중류 유역에 세력을 뻗치고, 18세기 중엽에는 미얀마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였다. 영국지배하에서는 심한 탄압을 받았으나, 제2차 세계대전 후 다시 지배민족이 되었다. 주요거주지는 이라와디 중․하류 유역과 시탕강 유역이며, 언어는 버마어, 문자는 남인도계의 파리 문자를 쓴다.
3. 역사
미얀마는 중국의 문헌에 예로부터 탄(:후한대)․표(驃:당대)․포감(蒲甘:송대)․면(緬:원대)․면전(緬甸:명․청대) 등의 이름으로 나타나 있다. 이 나라의 역사는 현재 전국의 산야에 정주해 있는 여러 종족의 이동의 역사이다. 서력기원의 시초에는 몬족이 시탕강 하류 지방에 정착하고, 인도로부터 농업기술과 힌두교․불교가 전해졌다고 한다. 미얀마 최초의 강력한 왕조는 8세기에 이라와디강 하류의 프롬을 수도로 정했던 표족(驃族) 왕조로, 9세기에 멸망하고, 표족도 사라졌다. 11세기가 되면서 이라와디강 중류 유역에 버마족의 파간 왕조가 일어나, 남쪽의 몬족 지대, 샨 고원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왕조는 1287년 몽골군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였다. 그 후 미얀마는 타이계의 여러 종족(샨족․타이족)의 침입 등으로 어지러웠으나, 16세기가 되어 시탕강 중류의 타웅구에 버마족의 퉁구 왕조가 일어나, 1560년경 현재의 미얀마령을 넘어 타이 북부와 라오스까지도 판도에 넣고 69년에는 타이의 아유타야 왕조까지도 공략하였다. 그러나 이 왕조는 여러 차례에 걸친 외정(外征)과 내전으로 피폐하였으며, 17세기에는 삼각주지대의 반란으로 타웅구를 버리고 이라와디강 중류 유역의 아바로 천도하였으나, 1752년 이곳까지 북상해온 몬족에게 멸망당하였다. 얼마 후 버마족은 영웅 알라웅파야 밑에 집결하여 몬족을 격파하고, 55년 이라와디강 삼각주로 진출하여 몬족을 추방하였다. 이 때의 승리를 기념하여 다고웅이라 불리던 도시가 랑군(‘전쟁의 끝’이라는 뜻으로 지금의 양곤)으로 개명되었다. 몬족의 최후 거점인 페구는 57년 미얀마군에 점령되고, 그 후 몬족은 완전히 세력을 잃었다. 알라웅파야 왕조는 67년 타이의 아유타야 왕조를 재차 정복하는 등 강력해졌으나, 19세기에 들어와 아시아로 진출한 영국과 충돌하게 되어 결국 1824년 싸움으로 물메인 지방을, 52년 싸움으로 삼각주 전역을 잃었으며, 85년 마지막 싸움에 패함으로써 붕괴되고, 미얀마 전영토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영국령 시대의 미얀마는 영국의 아시아 식민지 경영의 거점이 되었다. 영국은 특히 인도방면에 대한 식량 공급지로서 이라와디․시탕의 삼각주 지대에 주목하여 이곳에 인도인을 이입하고, 또 버마족․카렌족을 이용하여 벼농사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이라와디 삼각주는 1930년대에 세계 최대의 수출용 벼농사지대로 발전하여, 미얀마는 세계 제1의 쌀 수출국이 되었다. 영국은 또 미얀마에서 티크재를 벌채하여 유럽으로 수출하였다. 석유․텅스텐 광석 등도 개발되었다. 영국은 미얀마 경영의 중심을 랑군에 두고 그곳에 인도인 상인과 기업가를 초치하고, 공무원 등도 인도인을 채용하였으며, 또 구르카족․카렌족 등 비(非)버마족을 모집하여 군대를 만들어 미얀마를 다스렸다. 샨족․카렌족․카친족 등은 버마족과 구별되어 실질적으로는 족장에 의한 자치가 인정되는 등 우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영국의 미얀마 통치와, 특히 인도인에 의한 경제 지배는 버마족의 반감을 고조시켜 버마 민족주의가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격렬해졌다. 이 운동 중 아웅산과 우누 등이 이끄는 그룹이 두각을 나타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얀마는 일본에 점령되었으나, 여러 정치세력이 대동단결하여 반파시스트 인민자유연맹(AFPFL)을 결성하고, 영국군에 협력하여 일본군을 격퇴시키는 데 공을 세웠다. 전쟁 후 아웅산과 우누 등은 영국과 교섭 끝에 마침내 48년 1월 4일 버마 연방을 탄생시키고, 신정권의 지배층이 되었다. 그러나 이 신정권하에서도 미얀마는 커다란 정치적 혼란을 겪게 되었다. 즉 버마족 중심의 새 정부에 카렌족․샨족 등 소수민족이 반발하여 제각기 독립․자결을 요구하였고, 또 신정권을 탄생시킨 버마족 독립운동가 중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신정권 주류파의 친서방적 노선을 반대한 데서 새 정부와 그 반대자들의 대립이 악화하여 결국 내전으로 발전하였다. 내전은 1946년 7월 공산당 과격파 ‘적기(赤旗) 공산당’의 반란시 이미 시작되었으나, 48년 공산당 다수파(미얀마 공산당, 속칭 백기 공산당)가 반란을 일으키고, 49년 카렌족이 독립을 요구하며 반란을 일으키는 등 내전은 확대되어, 미얀마 신정권은 붕괴 직전까지 몰렸다. 그러나 그 후 미국․영국 등의 원조로 미얀마 정부는 정상을 되찾았고, 이 때 네윈 총사령관이 이끄는 미얀마 정부군은 점차 그 지배력을 확대해 갔다. 54년경 반정부군은 게릴라적 규모로 축소되고, 공산계는 이라와디 삼각주와 페구산맥으로, 카렌족은 삼각주와 타이 국경 방면의 산악지대로 분산하였다. 우누가 이끄는 미얀마 정부는 이러한 국내 안정을 배경으로 하여 복지국가의 건설을 목표로 국영공장의 건설, 외국계 대기업의 국유화, 토지개혁 등을 통해서 경제개발을 이루려고 하였다. 그러나 게릴라전은 계속되고, 국가지도형 경제개발은 잘 진전되지 않았으며, 농촌에서의 토지개혁도 제대로 진전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56년경부터 정부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져서, 미얀마의 정국은 다시 불안해졌다. 거기에 반정부군측이 단결을 강화하여, 59년 미얀마 공산당과 카렌족 좌파와의 제휴가 이루어져 내전이 다시 확대되고, 샨족․카친족 등의 민족자결 요구도 높아졌으며, 그 중에는 무장 반란부대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누 정부는 이러한 사태를 수습하지 못하였고, 설상가상으로 여당마저 분열하는 등, 미얀마 정계는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 초에 걸쳐 커다란 혼란 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혼란중에 62년 3월 2일 네윈 장군이 이끄는 미얀마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의회․정당활동을 정지시키고, 우누 수상 등 많은 정치인을 체포함으로써 미얀마는 군정에 들어갔다. 네윈 군정은 그 기본원칙으로서 ‘미얀마식 사회주의’를 도입, 비(非)버마족 자본의 국유화를 중심으로 하는 국영 경제기구의 확립을 목표로 하고, 정치적으로는 사회주의 계획당을 창설, 기타 모든 정당을 불법화함으로써 1당 독재체제를 구축하였다. 미얀마식 사회주의 건설 기간이 끝난 74년 1월 1당 체제에 내각책임제를 혼합한 헌법을 공포하고, 그 해 3월에 민정에 이양하면서 네윈이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78년 1월 사회주의계획당만 입후보한 가운데 실시된 총선에서 구성된 새 국회는 네윈을 다시 대통령 겸 국가평의희 의장으로 선출하였다. 80년 5월 네윈 대통령은 대은사령(大恩赦令)을 내려 정치범 등 4,000명을 석방하고 우누 전 수상은 망명지인 인도로부터 11년 만에 귀국하였다. 81년 8월 네윈 대통령이 건강상의 이유 및 평화적 정권교체를 위해 사의를 표명한 데 이어 총선거를 거쳐 11월에 개최된 미얀마 인민의희에서 산유 국가평의회 서기장이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80년대 말까지 경제적으로 가난한 대중은 반정부 폭동을 일으켰으나 군의 폭력으로 진압되었다. 88년 권력을 장악한 군부정권은 이전의 모든 기구를 폐지하고, 국법․질서회복위원회 의장이 국가 수반이 되었다. 90년 야당이 총선에서 승리했으나 여전히 군의 통제를 받고 있다.
4. 정치, 외교, 군사
74년 공포된 헌법에 의하면 국가의 최고 의결기관은 국회이나, 국회를 지도․감독하는 기관으로는 29명으로 구성된 국가평의회가 실질적 권한을 쥐고 있다. 국회 밑에 행정기관으로서는 전각료로 구성된 각료평의회가 있고 그 의장이 수상을 겸한다. 사법은 검찰․사법․감사의 각 평의회가 독립적으로 행한다. 지방행정은 지방 각 단위마다 설치된 인민평의회가 행한다. 각 행정단위의 선거는 1인 1구제를 원칙으로 하는 직접선거이나 피선거인은 사회주의계획당원 또는 그 당이 승인한 사람이어야 하며, 계획당은 군인을 중심으로 하므로 민정이양이라 해도 실질적으로는 군정과 큰 차이가 없다. 민정이양에 따라 체면상 권한이 각 기능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에 파벌적인 움직임이 표면화되었다. 특히 미얀마 사회주의를 둘러싸고 원칙을 주장하는 계획당과 현실적 대응을 해야 하는 각료평의회가 항쟁을 거듭하고 있는 데다가 중국․소련의 입김도 얽혀 대립은 더욱 심화되었다. 외교면으로는 비동맹중립정책을 고수하여 국제연합(UN)과 콜롬보 계획 외의 국제회의 참가를 기피하고 있다. 그러나 거듭되는 심각한 경제위기를 벗어나고자 77년 적극적인 외국원조를 받아들일 것을 결정하고 쇄국주의로부터 큰 전환을 이루었다. 특히 중국과는 미얀마 공산당 문제로 미묘한 관계에 있으나 기본적인 선린우호 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78년 1월과 11월의 덩샤오핑[鄧小平] 중국 부수상의 방문에 이어 79년 7월 카 수상이 중국을 방문하고 1억 원(元)의 경제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하였다. 9월에는 소련 등의 영향이 강해 비동맹의 이념에 어긋난다 하여 비동맹회의에서 탈퇴하였다. 80년 동남아시아제국연합(ASEAN)의 캄보디아 정책을 지지하는 등 ASEAN에 접근하고 있으며, 81년 1월 중국의 자오쯔양[趙紫陽] 수상이 방문하였다. 총병력 17만 9000(육군 16만 3000, 해군 7,000, 공군 9,000), 예비역 7만 3000이며 군복무는 지원제이다.
5. 경제, 산업
식민지시대에 미얀마의 광산․임산 자원의 개발, 운수․무역은 영국인이, 중소 규모의 상업과 유통은 중국인과 인도인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라와디강 삼각주의 벼농사지대에는 인도인 계절 노동자가 대량으로 유입하고, 하부(下部) 미얀마 농지의 1/3은 인도인 체티야(금융업 카스트)와 영국인을 포함하는 부재지주가 소유하고 있었다. 독립 후 정부는 외국자본을 추방하고, 경제의 미얀마인화정책을 취하였다. 특히 네윈이 집권한 이후는 미얀마식 사회주의에 입각하여 비미얀마인의 자본을 중심으로 국유화하여, 국영 경제구조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국영 경제구조는 처음부터 여러 요인으로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 국내 치안의 혼란과 외국원조의 도입 억제 등으로 경제는 장기적인 침체 상태에 빠졌다. 62~76년의 국내총생산 신장률은 연평균 3 %선이고, 공업생산의 신장률은 불과 1.1 %에 머물렀다. 또한 정부가 저임금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단행한 저미가(低米價) 정책과 농산물 거래의 통제가 농민의 생산의욕을 저하시켰다. 62년 이전에 연평균 200만 t 이상이었던 쌀 수출이 70년대에는 50만 t으로 격감하였다. 수출 총액에서 차지하는 쌀의 비율이 70 %였으므로, 수출 규모자체도 감소하였다. 거기에 정부가 균형무역을 고수하여 엄격한 수입제한 정책을 폈기 때문에, 원자재 및 설비 부족이라는 악순환이 되풀이되어, 만성적인 물자 부족, 실업 증가가 계속되었으며, 이를 보완하는 것으로 암시장과 밀수가 성행하였다. 74년 민정이양을 계기로, 이러한 악순환을 지양시키기 위해 먼저 외국원조 도입을 단행하였다. 72년까지 연평균 2,000만 달러 정도였던 외국원조가 75년 이후에는 1억 달러가 넘었고, 국영공업이 회복할 징조를 보였다. 77~78년의 경제성장률은 6.4 %로, 네윈 정권이 들어선 이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 나라의 기본경제인 쌀농사는 저미가와 공출제도로 인하여 여전히 생산의욕이 저하되어, 쌀 수출은 증가하지 않고 있다. 쌀 외의 수출품은 목재(주로 티크재)․콩․수산물․보석 등이며, 해마다 상당량이 밀수되고 있다. 석유는 76년부터 자급하고 있으며, 소량이지만 수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구리․아연 등 수출이 가능한 광물자원은 아직 미개발이어서, 목재․수산자원 등과 함께 장래의 개발이 기대된다. 공업화는 특히 뒤떨어져 있어, 민간 중소공업은 원자재 부족과 거래 제한 등으로 거의 유휴상태에 머물러 있고, 국영공업의 조업율도 78년 겨우 평균 70 %였다. 현재 석유화학․종이펄프․식품공업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
〈농림․수산업〉 토지개혁은 1953년부터 단행되어, 일정한 보유한도를 넘는 농지는 수용되어 토지를 갖지 않은 농민에게 분배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 미얀마는 매년 300만 t 이상의 쌀을 수출하였으나, 세계대전과 유통구조의 혼란, 농민의 생산의욕 저하로 수출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하부 미얀마의 수출용 수전단작(水田單作) 농업에 대하여 상부 미얀마에서는 버마족의 전통적 농업이 행하여진다. 농지는 운하와 저수지에 의해 관개되며, 쌀․콩류․깨․땅콩 등의 식량작물, 목화․담배 등 다양한 작물이 재배된다. 샨 고원의 구릉지에서는 차와 각종 과일, 테나세림 연안 저지에서는 코코야자와 고무가 생산되고 최근에는 황마 생산도 늘고 있다. 삼림은 국토면적의 57 %를 차지하며, 1/4이 개발림이다. 중요한 삼림은 독립 전부터 국유화되어 티크․핀카드 등 견목류(堅木類)가 영국계 기업에 의해 벌채되었으며, 가치 있는 수출품이었다. 현재는 국가목재청이 벌채․반출․제재․판매를 독점하고 있다. 수산업은 하천․호소․운하 등에서의 내수면 어업이 중요하다. 수산물은 염건어(鹽乾魚)나 어장(魚醬)으로 처리되며, 미얀마인의 식생활에 불가결한 것이지만 대형 어선과 냉장시설이 부족하여 국내소비량을 충족시킬 정도이다.
〈광공업〉 중요한 광산자원은 샨주 북부의 납과 아연, 샨주 서부에서 테나세림 지방에 걸친 주석과 텅스텐이며, 광산은 1962년부터 석유광물 개발공사가 경영하고 있다. 석탄은 친드윈강 유역의 칼레와에서 채굴되고, 철광은 샨주 각지에 매장되어 있으나 본격적인 개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예난자웅과 차우크를 중심으로 하는 이라와디강 중류 유역은 원유의 매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독립 전에는 유력한 수출품이었다. 유전은 전쟁으로 막대한 손상을 입었으나, 국영으로 복구․가동되고 있다. 그러나 산유량은 독립 전 수준의 절반밖에 안 된다. 공업은 독립 전에는 정미(精米)와 제재 외에는 미미하였다. 산업 국유화 정책으로 외국계 기업이 접수되고 국영공장이 신설되어, 양곤을 비롯한 공업지역이 형성되었다. 정미․제재․정유 외에 주요업종으로 설탕․식용유․담배․맥주․홍차 등의 식품공업, 철강․농업기계․펌프․면직물․견․화학섬유․마대․약품․세제․시멘트 등의 각 공업이 있다.
〈교통〉 이라와디강은 강어귀에서 1,400 km 상류에 있는 바모까지 흘수 1.2 m의 기선이 항행할 수 있고, 삼각주지대에 3,000 km, 친드윈강에 630 km의 가항(可航) 수로가 있다. 수입품의 85 %가 양곤항으로 들어온다. 철도는 양곤~만달레이 620 km, 만달레이~미치나 540 km의 간선을 비롯하여 전국에 3,098 km의 노선이 있다. 주요도로의 총길이는 약 2만 5,000 km, 그 중 1만 3,700 km만이 우기에 통행이 가능하다. 항공은 국영기업이 양곤의 밍갈라돈 공항을 중심으로 국내․국제의 각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5. 사회, 문화
소승불교국으로 전국 각지에 탑이 있고, 남자는 일생에 1번 불문(佛門)에 들어가는 것을 명예로 여기고 있다. 또 영웅신앙이라 할 수 있는 나추트 신앙이 민중생활에 널리 뿌리박고 있다. 오랫동안의 식민지 경험과 그 이전의 오래된 전통에서 일반적으로 미얀마인은 전통을 준수하고 민족적 긍지가 높으며, 지금도 대부분의 국민이 민속의상(롱지)을 착용하고 서양문명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소수민족도 제각기 독자적인 종교․언어․전통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6. 한국과의 관계
한국과는 62년 영사 관계를 맺은 이후 75년 5월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64년 6월 무역협정을 체결하였고 이어 65년 체신협정, 66년 통신교환협정, 76년 항공운수협정이 체결되었다. 또 75년 10월 양곤 무역관이 설치되어 시장개척․입찰정보 수집 등 무역증진을 위한 가교역을 맡고 있다. 83년 10월 전두환 대통령의 미얀마 아웅산 묘소(墓所) 방문 때 북한의 테러로 수행원 17명이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그 해 11월 북한과는 단교하였다. 93년 현재 대한(對韓) 수입 3,741만 달러, 대한 수출 1,422만 달러이다. 한국은 각종 자원의 보고(寶庫)로 알려진 미얀마로부터 임산물 및 광산물 등을 정책적으로 수입하는 반면 각종 개발장비의 바터(barter) 무역을 도모하고 있다.
버마어 <Burmese language>
미얀마의 국어. 좁게는 이라와디강(江) 유역의 평야에 사는 미얀마인의 언어로서 미얀마 연방의 공용어이며 연방 내 여러 민족이 사용한다. 방언의 차는 많지 않으나 수도 양곤의 지식계급의 방언이 표준으로 되어 있다. 넓게는 아라칸 해안지방의 아라칸 방언, 테나세림 지방의 타보이․멜귀 방언, 샨주(州) 남서부의 타운요․인다․다누 방언, 북부 미얀마의 요 방언을 포함한다. 계통적으로는 미얀마 북부로부터 중국에 걸쳐서 분포하는 말․라시․아치․폰․아찬 제어(諸語)와 J군(群)을 이루고 미얀마․인도 국경지방의 나가․친 제어, 카친주의 카친어, 윈난성(중국)과 그 주변에 분포하는 롤로어․티베트어 등과 티베트버마어족을 형성하고, 다시 카렌주의 카렌어․중국어․타이 제어와 중국티베트어족을 형성한다고 하지만 그들 여러 언어의 친족관계는 충분히 증명되어 있지 않다. 버마어는 성조(聲調)가 있고 자음 중 파열음․파찰음․마찰음에 무성무기음(無聲無氣音)․무성대기음(無聲帶氣音)․유성음의 구별이 있으며 비음(鼻音)․촉음(促音)에 무성음․유성음의 구별이 있다. 문법적 기능은 주로 조사․조동사․접사를 첨가함으로 다할 수 있으며 유별사(類別詞)가 발달해 있다. 또한 팔리어와 영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고, 남인도계 파라와문자 계통의 몬문자를 이어받은 버마문자(팔리 글자)로써 필사(筆寫)되며 가장 오랜 문헌은 11세기의 비문이다.
버마 전쟁<Burmese wars>
영국과 미얀마가 전후 3회에 걸쳐 벌인 식민지 전쟁.
【제1차전(1824~26)】 19세기에 접어들자 미얀마의 알라웅파야왕조는 마니푸르․아삼 등지까지 세력을 뻗쳐, 아라칸(Arakan) 방면에서 국경을 둘러싸고 영국과 충돌하였다. 1824년 3월 영국이 선전포고를 하고 양곤에 상륙하여 수도 아바에 접근하자 바지도왕(재위 1819~37)은 굴복하였다. 26년 2월 얀다부 조약을 맺고, 100만 파운드의 배상금 지불, 테나세림․아라칸의 할양(割讓), 아삼․마니푸르 등에서의 권리포기 등을 인정하였다.
【제2차전(1852)】 미얀마는 이 조약을 굴욕적인 것으로 보고 이행하지 않았다. 1851년 11월 양곤에 입항(入港)한 영국 상선(商船)을 가혹하게 취급한 데 대한 항의와, 배상금 지불을 청구하기 위하여 영국 함대가 양곤에 파견되었다. 바세인․마르타반․양곤의 세항구를 점령한 뒤, 52년 12월 일방적으로 페구의 병합을 선언하였다. 이렇게 되자 미얀마는 해안지대를 모두 빼앗기고 내륙국(內陸國)이 되었다.
【제3차전(1885)】 미얀마는 프랑스와 결탁하여 영국에 대항하고자 영국이 경영하는 봄베이․버마 무역회사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벌금을 과하였다. 85년 11월 영국은 군사행동을 일으켜 같은 달에 수도 만달레이를 점령한 뒤, 티보왕(재위 1878~85)을 인도의 봄베이로 보냈다. 86년 1월 1일 북(北) 미얀마 합병을 선언함으로써 버마는 이후 영국식민지인 인도의 한 주가 되었다.
버마 타이 전쟁
16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약 300년간에 걸쳐 미얀마와 타이가 싸운 단속적(斷續的)인 전쟁. 타이의 아유티아왕조(1350~1767)와 미얀마의 퉁구왕조(1531~1752)․알라웅파야왕조(1752~1883) 사이에 서로 공격과 반격을 되풀이하면서 계속된 민족전쟁이다. 전쟁의 원인은 타이의 북부 치앙마이에 대한 미얀마의 욕망과 미얀마 남부의 타라인족 지역에 대한 타이의 세력부식으로 빚어진 충돌이었다. 결국 두 나라의 쇠퇴를 가져왔으며 영국의 미얀마 점령으로 종결되었다.
미얀마 여행 정보
1. 비자
미얀마를 여행하려면 주한 미얀마 대사관에 비자를 신청해야 합니다. 비자를 신청하면 3일 이내에 나옵니다. 전에는 당일 받을 수 있는 급행이 있었는데 지금은 폐지되었습니다. 신청서에 본인이 서명하면 대리인도 가능합니다.
현재는 개인으로부터 접수하지 않고 미얀마 대사관에서 지정한 몇몇 여행사를 통해서 비자 발급을 대행합니다. 지정여행사는 코미투어, 으뜸 문화항공 등입니다.(아래 2번 항공편을 본시면 연락처가 나와 있습니다.)
또한 단체가 아닌 개인 관광비자는 내어 주지 않습니다. 개인은 비즈니스 비자만 가능합니다.
가. 미얀마 대사관 위치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 초등학교 앞 육교에서 하차하여 한남 초등학교 앞길로 올라가면 미얀마 대사관이 바로 보입니다. (전화 02-792-3341)
나. 비자 신청 서류
(1) 신청서 (2) 입국 신고서(대사관 양식) (3) 사진 3매 (4) 사업자등록증이나 재직증명서 또는 명함 중 한 가지
비즈니스 비자 신청을 위해서는 영문으로 된 출장 증명서(Travel Order)또는 영문 명함이 필요합니다.
2. 항공편
서울에서 미얀마로 직행하는 우리나라의 항공편은 없습니다. 태국의 방콕으로 가서 방콕에서 미얀마의 수도인 양곤(랑군)으로 갈 수 있습니다.
가격으로는 타이 항공이나 싱가폴 항공에서 저렴한 가격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여행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미얀마를 비롯한 인도차이나 여행은 으뜸문화항공(02-703-7031)에서 전문적으로 취급합니다. 그리고 미얀마 여행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여행사가 있습니다. 코미 투어(KOMY TOUR) 입니다. KOREA MYANMAR TOUR CO., LTD이지요. 전화번호는 (02)706-1631, FAX (02)706-1633 입니다. 참고가 되실것입니다.
3. 방문시기
미얀마를 방문하려면 개인 형편에 따르겠지만, 10월부터 2월에 이르는 시기가 가장 날씨가 좋습니다. 3월 이후가 되면 날씨가 무더워지기 때문입니다. 3월∼5월은 덥고 건조하며, 5∼10월은 우기입니다.
4. 입국절차
미얀마 공항에 도착하면 여권과 대사관에서 받은 비자서류를 제출합니다. 그러면 대략 일반 관광객에게 1개월을, 비즈니스의 경우는 10주 정도의 체류를 허가해줍니다.
그러면 관광으로 입국하는 모든 외국인은 의무적으로 미화 $200을 미얀마 달러(FEC=Foreign Exchange Currency)로 바꾸어야 합니다. FEC는 미얀마 내에서만 달라와 같은 효력을 가지고 있는 화폐입니다. 물론 호텔 등 어디서나 다 달러 같이 취급을 해줍니다.
그러나 비즈니스 비자로 입국하는 분은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됩니다.
과세 품목은 물론 현금도 미화 $1,500 이상 가지고 입국할 때는 신고하게 되어있습니다.
5. 호텔과 교통
호텔은 서구에 비추어 보면 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괜찮은 호텔이 하루에 $30-60 정도합니다. (Yuzana Hotel 전화 549-600; Yangon City Hotel 전화 667-755) 물론 싼 곳도 많이 있습니다.
YMCA를 이용하면 시내에 있어서 시내에서 일보는 데는 편리하지만 시설이 형편없지만 에어컨 없고, 공동화장실을 사용하면 7-10불 정도로 묵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창문에 도마뱀이 끽끽거리며 붙어있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레인보우 호텔은 한국 사람이 운영합니다. 한국 식당도 같이 있습니다. 싱글인 경우 하루 18불(아침 식사제공), 아침 식사를 제공받지 않으면 15불입니다. 건물이 좀 현대식 건물은 아니고 시설은 그리 썩 좋지는 않지만 가격에 비하면 괜찮습니다. 특히 미얀마 정보에 어두운 분들은 소식도 들을 수 있습니다.
루비 인은 15불인데, 개인 집을 여관으로 사용하는 곳입니다. 가정 집 같이 아늑합니다. 공항에서 가깝지만 시내에서 멀어서 매일 택시타고 나가려면 그 값이 그 값입니다.
유자나 호텔 앞에 있는 Yellow Ribbon 호텔은 하루 15불인데 미얀마 자국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곳입니다. 그래도 교통이 편리한 편입니다.
공항에서 내리면 안내자가 없을 경우 택시를 탑니다. 택시 운전사는 영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얼마냐는 말 정도는 알아듣습니다. 공항에서 시내 호텔까지라면 택시요금이 약 600 kyat가 됩니다. 그러나 흔히 외국인일 경우 1,000 Kyat이상, 또는 심하면 외국인인 경우 5∼7달러까지 부릅니다. 이곳은 요금 메타가 없고 항상 타기 전에 흥정을 해야 합니다. 어디까지 얼마냐? 얼마에 가겠느냐? 이렇게 말입니다.
환율은 미화 $1에 미얀마 450 Kyat정도 됩니다. (2001. 2월 현재) 물론 정부 공식환율은 전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대중 교통은 열악합니다. 그러나 요금은 아주 저렴합니다. 택시를 사용하는 것이 싸고 편한데 영어할 줄 알고 믿을 만한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Yuzana호텔에 묵으시면 호텔 앞에 대우자동차의 티코로 택시를 운전하는 얼굴이 새카만 토니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 사람은 천주교인으로 속이지 않고 신뢰할 수 있으며, 또 영어를 잘 해서 통하기 쉽습니다.
Races and tribes in Myanmar (미얀마의 종족현황)
* 미얀마에는 135개의 종족이 있습니다.
(출처: 미얀마 공보부)
(1) Kachin 12개족
(2) Kayah 9개족
(3) Kayin 11개족
(4) Chin 53개족
(5) Bamar 9개족
(6) Mon 1개족
(7) Rakhine 7개족
(8) Shan 33개족
합계 135 개족
가. Kachin National Tribes
(1) Kachin (2) Kayo (3) Dalaung (4) Jainhpaw (5) Gawre
(6) Khasu (7) Duyin (8) Maru(Lawgaw) (9) Rawam
(10) Lashe(Lachit) (11) Azee (12) Lesu
1. Kachin 족의 총 인구: 672,177
2. main Kachin(Kayo, Dalaung, Gawre, Khasu, Duyin,Azee): 400,016
3. Jainhpaw: 32,909
4. Maru: 23,678
5. Rawam: 46,029
6. Lashe: 13,591
7. Lesu: 156,954
나. Kayah National Tribes
(1) Kayah (2) Zayaim (3) Kayan (Padaung) (4) Gaykho
(5) Gayba (6) Paye(Kayaw) (7) Manu Manaw (8) Yin Tale
(9) Yindaw
1. Kayah 족의 총 인구: 206,104
2. main Kachin(Zayaim, Gaykho, Yin Tale): 79,911
3. Kayan: 83,321
4. Paye: 14,758
5. Manu Manaw: 6,104
6. Yindaw: 12,122
다. Kayin(Karen) National Tribes
카렌 족은 타일랜드와 미얀마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의 본토인이다.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카렌 족은 미얀마에 살고 있는 카렌 족을 포함하여 1,400만에 이른다.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카렌족은 남부 미얀마와 동부 타일랜드지역의 비옥한 토지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카렌족의 종교는 상당수의 기독교인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정령숭배(Animism)과 불교이다. 기독교인은 약 30%정도 된다.
카렌족이 다른 대규모 종족그룹에 비하여 다른 점은 각각 자기들의 고유한 언어를 가진 여러 개의 소규모 종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두 개의 그룹이 있는데 Sakaw(S'waw)족과 Po(Pwo)족이다.
카렌족을 잘 아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카렌족의 특징은 컬러풀한 전통복장과 활기차고 기쁨이 넘치는 댄스 축제이다.
특별히 카렌족은 모든 사람에 대하여 호의적이고 친밀하다는 점이다.
(1) Kayin (2) Kain Phyu (3) Pale Gyi(Ka Lay Chi)
(4) Monkayin (5) sakaw(kayin) (6) Tahlepwa (7) Pakuu
(8) Twe (9) Maw Ne Pwar (10) Hpo Pwar (11) Po (Kayin)
1. Kayin족의 총 인구: 2,949,868
2. main Kayin: 2,923,410
(Kayin, Pale Gyi, Monkayin, Tahlepwa, Pakuu,
Twe, Maw Ne Pwar, Hpo Pwar)
3. Sakaw: 9,790
4. Po: 16,668
라. Chin National Tribes
(1) Chin (2) Mehtai (3) Saline (4) Kalin Taw(Lushi)
(5) Khamyee (6) Auwa Khamyee (7) Kaw Noo, (8) Khaung So
(9) Khaumsi Chin (10) Khwa Sin Me (11) Khunli Sin Me
(12) Gam Be (13) Gway Te (14) Nyun (15) Sisna
(16) Sin Htan (17) Sine Tan (18) Zataung (19) Zotone
(20) Zope (21) Zo (22) Zo Hnyut(Zone Neyat)
(23) Tapaung (24) Tedim (25) Tezan (26) Ti Chun
(27) Ta boo (28)Tan (29) Dim (30) Dine (Yindoo)
(31) Maga (32) Mavin (33) Tandu (34) Pamm (35) Makan
(36) Mahu (37) Meyam 8 Msya (38) Me Air (39) Mun
(40) Lushi (41) Lemyo (42) Linte (43) Laut htu
(44) Li, (45) Lizo, (46) Pakum @ Mayo,(47)Hwa Hgo,
(48) Ahnuu (49) Ahnun (50) U Pu (51) Lyin Tu
(52) Asho Chin (Low Land Chin) (53) Yaung Htu
1. Chin족의 총 인구 : 970,393
2. main Chin : 836,001
3. Asho : 7,244
4. Lushi : 16,955
5. Naga : 104,573
마. Bamar National Tribes
(1) Bamar (2) Dawe (3) Myait (4) Yaw (5) Ra Dain
(6) Ka du (Khone Too) (7) Ganan (8) Salone (9) Phoun
1. Bamar 총 인구 : 31,307,693
2. main Bamar(Dawe, Myait, Yaw, Ra Dain, Salone, Phoun): 31,271,691
3. Kadu : 23,114
4. Ganan : 12,888
바. Mon National Tribes
몬족은 남부 버마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살아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들은 제국을 건설하고 문자와 불교를 버마에 전하였다.
573년에 두 사람의 몬 형제, Samala왕자와 Wimala왕자가 현재의 Pegu지역에 몬 왕국을 수립하였다. 이 왕국은 버마왕조가 점령하기까지 수세기 동안 평화와 번영을 누렸다.
1757년에 버마의 통치자 U Aungzeya가 침략하여 몬족의 사제(성직자)들과 아이 밴 부녀자와 어린이들을 포함한 수 만 명의 몬족 사람들을 죽이고, 몬 왕국을 황폐화하였다. 3,000명이 넘는 사제들이 수도에서만 버마 침략자들에 의하여 학살당하였고 지방에서도 천 명 정도의 사제들이 살해되었다.
살아남은 사제들은 태국으로 도망쳤고 버마의 사제들은 사원들을 점거하였다. 종려나무 잎에 적어 놓았던 많은 기록물들을 버마인들이 파괴하였다. 몬족의 언어사용이 금지되고 버마어가 가르쳐졌다.
몬족 사람들은 박해당하고, 억압당하고, 도살당하고, 그리고 헤일 수 없는 사람들이 마치 나치에 의해 학살당한 유대인들처럼 불태워져 학살당했다.
몬족의 재물과 소유물들은 약탈당하고 불타버렸다. 몬족은 더 남쪽 버마의 Tenasserim 지역과 동쪽 타이랜드로 도망쳤다.
불행하게도 더 몬족에 대한 압제는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1) Mon 몬족의 총인구: 2,337,000
사. Rakhine National Tribes
(1) Rakhine (2) Ka Man (3) Kha Myee (4) Dine Net
(5) Mara ma gyj (6) Myo (7) Thet
1. Rakhine족의 총 인구: 1,974,976
2. main Rakhine: 1,853,235
3. Ka Man: 7,352
4. Kha Myee: 35,092
5. Kine Net: 19,899
6. Mara Ma Gyi: 7,110
7. Myo: 52,285
아. Shan National Tribes
(1) Shad (2) Yun (Lao) (3) Khye (4) Phyin
(5) Tha 0 (6) Sa naut (7) Pa Lay (8) Enn
(9) Sone (San) (10) Kha mu (11) Kaw (Ahkha Eekaw)
(12) Ko Kant (13) Khamti Shan (14) Gon (Khun)
(15) Taung yo (16) Danu (17) Palaung (18) Myaung Zee
(19) Yin Kyar (20) Yin Net (21) Shan Galay (22) Shan Gyi
(23) Lahu (24) Lwe La (25) In Tha (26) Aik Twe
(27) Pa-O(Taung Thu) (28) Tai Lwe (29) Tai Shan
(30) Tai Lone (31) Tai Lai (32) Mine Tha (33) Maw Shan
1. Shan족의 총인구: 4,132,456
2. main Shan: 2,314,743
3. Khye: 7,701 4. Enn: 4,532
5. Kaw(Ahkha): 106,756 6. Ko Kant: 149,516
7. Khamti Shan: 4,011 8. Gon(Khun): 13,770
9. Taung yo: 38,601 10. Danu: 206,688
11. Palaung: 340,321 12. Myaung Zee: 5,444
13. Yin Kyar: 3,618 14. Yin Net: 8,878
15. Lahu: 187,859 16. Pa-O(Taung Thu): 607,186
17. Tai Lai: 3,867 18. In Tha: 128,969
미얀마 선교회의 선교 방식이야 말로 가장 효율적이고 투자에 비하여 확실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선교 방법이라는 호응을 받고 있기에 더욱 많은 분들이 저희 미얀마 선교에 참여하고 있음을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이번호에서는 지난 7월25일에 옥천동성교회의 미얀마 선교의 밤에 오셔서 설교하신 미얀마 Thi Moi 목사님의 설교 본문을 요약하여 게재합니다. 미얀마를 이해하고 선교에 참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Thi Moi 목사님의 설교>
미얀마 선교와 지상명령의 실천
마태복음 28:16∼20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문안을 드립니다. 저는 미얀마 선교에 관하여 은혜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주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미얀마는 태국, 라오스, 중국, 인도 그리고 방글라데시 5개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습니다. 저의 나라의 공식 이름은 미얀마 연방입니다. (본래 버마라고 불렸지만 버마는 135개 종족가운데 한 종족을 대표하는 이름이기 때문에 1989년에 미얀마로 바꿔 부르게 되었습니다.)
미얀마는 평지지역과 산간지역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운 계절과 비가 많이 오는 계절과 차가운 계절, 세 계절이 있습니다.
1월이 1년 중 가장 서늘한 달이고, 4월은 가장 더운 달입니다. 미얀마의 총 면적은 67만 1천 평방 Km 이며, 인구는 4천 6백 80만 정도가 됩니다. 수도는 랑군이고 종교는 87%가 불교이며, 5%가 기독교인, 4%가 무슬림, 4%가 미신을 믿습니다. 미얀마는 탑의 나라라고 알려질 만큼 4백만 개의 불탑이 있습니다.
미얀마는 인구의 약 2/3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유엔의 발표에 따르면 미얀마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10개의 나라에 속합니다.
미얀마는 102년간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3년간은 일본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그 동안 많은 고통과 손실을 입었습니다. 1962년도부터 군사 독재 정부가 들어서서 오늘에 이르기 까지 37년간을 통치하고 있습니다.
1988년에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학생들이 전국에서 들고 일어났습니다. 이때에 불행하게도 군인들이 3,000명 이상의 학생들을 총으로 쏘아 죽였고, 수천 명의 학생들이 체포되었으며 모든 대학은 폐쇄되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인도와 태국과 방글라데시로 도망쳤습니다.
기독교 선교사의 미얀마 도착
미얀마에 기독교가 처음 들어온 것은 지금부터 186년 전인 1813년입니다. 미국 침례교의 아도니람 저드슨 선교사 부부가, 미얀마에 들어온 최초의 선교사였습니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별로 늘어나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미얀마에는 수많은 종족이 있고, 종족마다 다른 말을 사용하고 있으며 교통도 나쁘기 때문입니다. 한 곳에서 다른 곳 사이에 언어나 교통이 제대로 통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수도인 양곤시에서 저의 고향까지 가려면 트럭을 타고 4일 내지는 일주일이나 걸려야 됩니다. 그러므로 지역적인 조건으로 인하여 복음을 전파하는 일이 상당이 어렵습니다.
현재는 군사정부가 불교를 국교로 정하였습니다. 어떤 지역에서는 기독교 기념비가 파괴되고 대신 그 자리에 불교의 탑을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미얀마의 기독교 상황은 마치 바벨론에 의하여 성전이 파괴되고 백성들이 포로로 잡혀가던 것과 비슷한 실정입니다. 지금 미얀마 백성들은 울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리로 건너와서 우리를 도우라고 바울에게 호소하던 마게도냐 사람처럼 여러분에게 우리를 도우라고 외치고 있습니다. 정말로 추수할 것은 많으나 가서 복음을 전할 일꾼이 적습니다. 미얀마 백성들은 여러분의 후원과 기도의 도움을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기독교 선교사의 친 산지에 도착
저의 종족인 친의 산간지역에 기독교 선교사가 처음 도착한 것은 100년 전 그러니까 1899년이었습니다. 지금 북부 친 산지에는 총 기독교인이 90%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남부 친 산지에는 1944년에야 기독교가 들어왔습니다. 기독교인은 아직도 미미합니다. 대부분의 남부 친 산지 사람들은 아직도 미신과 정령 숭배에 빠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으며 문맹자들입니다. 그러므로 먼저 젊은 사람들이 기독교를 믿게 되고, 후에 그들의 부모들이 젊은이들을 따라 기독교에 들어오고 있습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한 마을에서 다른 마을 사이에 서로 소통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숲에는 무서운 맹수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디든지 삼림지역을 여행할 때는 무장을 해야 합니다.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피를 빨아먹는 거머리들이 많습니다. 독사도 많습니다. 목회하는데도 지역의 소통과 교통사정에 따라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시간에 맞추어 일 하기가 어렵습니다. 목사는 교구 안에 한 마을에서 다른 마을로 가기 위해 자기 짐을 짊어지고 한 주일에서 두 주일동안 도보로 걸어서 가야 합니다.
목사들이 아직 얼마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목사 한 사람이 3개 또는 5개의 교구의 넓은 지역을 맡아서 돌보아야 합니다.
현재 군사정부는 기독교를 믿는 사람이 불교로 돌아오면 얼마간의 돈을 줍니다. 군대는 어떤 식으로든지 기독교를 말살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친족의 기독교인들은 구원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힘써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희들의 선교지역은 다이, 쿠미, 메오족 사람들입니다.
그 사람들의 생활형편은 매우 느리고 거의 빨가벗은 채로 생활하고 있으며 무당 같은 마법사들에게 위압당하여 놀라며 살고 있습니다. 야만족과 같이 사냥하면서 미개인으로 살고 있습니다. 그 사람들은 아무 것에나 귀신이 있다고 믿는 정령숭배 신앙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문명과 동떨어져 있고 행정기능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는 2000년까지 그들의 10%만이라도 기독교인이 되도록 여러분이 미얀마 선교와 기도에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