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갑목일의 조후용신
(1)甲日 寅月(丙, 癸)
인월은 병화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2)甲日 卯月(庚, 丙丁)
묘월은 경금과 병정화가 있어야 한다.
(3)甲日 辰月(庚, 丁壬)
진월은 경금과 정화와 임수를 필요로 한다.
(4)甲日 巳月(癸, 丁庚)
사월은 계수와 정화와 경급을 요하게 된다.
(5)甲日 午月(癸, 丁庚)
오월은 계수와 정화와 경금을 요한다.
(6)甲日 未月(癸, 丁庚)
미월은 계수 및 정화와 경금이 있어야 한다.
(7)甲日 申月(庚, 丁壬)
신월은 경금 및 정화와 임수를 요한다.
(8)甲日 酉月(庚, 丁丙)
유월은 경금과 정화와 병화가 있어야 한다.
(9)甲日 戌月(庚, 癸丁)
술월은 경금과 계수와 정화를 요하게 된다.
(10)甲日 亥月(庚, 丁丙)
해월은 경금 및 정화와 병화가 있어야 한다.
(11)甲日 子月(丁, 庚丙)
자월은 정화와 경금과 병화를 요한다.
(12)甲日 丑月(丁, 庚丙)
축월은 정화와 경금과 병화를 사용한다.
2. 을목일의 조후용신
(1)乙日 寅月(丙, 癸)
인월은 병화 및 계수를 요한다.
(2)乙日 卯月(丙, 癸)
묘월은 병화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3)乙日 辰月(癸, 丙戊)
진월은 계수와 병화와 무토를 사용한다.
(4)乙日 巳月(癸, 庚辛)
사월은 계수와 경금과 신금을 요하게 된다.
(5)乙日 午月(癸, 丙)
오월은 계수와 병화가 있어야 한다.
(6)乙日 未月(癸, 丙)
미월은 계수와 병화를 요하게 된다.
(7)乙日 申月(丙, 癸己)
신월은 병화와 계수와 기토를 요한다.
(8)乙日 酉月(癸, 丙丁)
유월은 계수와 병화와 정화가 있어야 한다.
(9)乙日 戌月(癸, 辛)
술월은 계수와 신금을 필요로 한다.
(10)乙日 亥月(丙, 戊)
해월은 병화와 무토를 요하게 된다.
(11)乙日 子月(丙)
자월은 병화가 있어야 한다.
(12)乙日 丑月(丙)
축월은 병화를 요한다.
3.병화일의 조후용신
(1)丙日 寅月(壬, 庚)
인월은 임수와 경금을 필요로 한다.
(2)丙日 卯月(壬, 己)
묘월은 임수와 갑목이 있어야 한다.
(3)丙日 辰月(壬, 甲 )
진월은 임수와 갑목이 있어야 한다.
(4)丙日 巳月(壬, 癸)
사월은 임수와 경금과 계수를 요한다.
(5)丙日 午月(壬, 庚)
오월은 임수 및 경금을 전용한다.
(6)丙日 未月(壬, 庚)
미월은 임수와 경금을 필요로 한다.
(7)丙日 申月(壬, 戊)
신월은 임수와 무토가 있어야 된다.
(8)丙日 酉月(壬, 癸)
유월은 임수 및 계수를 요한다.
(9)丙日 戌月(甲, 壬癸)
술월은 갑목과 임수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10)丙日 亥月(甲, 戊庚壬)
해월은 갑목과 무토와 경금과 임수를 필요로 한다.
(11)丙日 子月(壬,戊己)
자월은 임수와 무토와 기토가 있어야 한다.
(12)丙日 丑月(壬, 甲)
오월은 임수와 갑목을 사용한다.
4. 정화일의 조후용신
(1)丁日 寅月(甲, 庚)
인월은 갑목과 경금이 있어야 한다.
(2)丁日 卯月(庚, 甲)
묘월은 경금과 갑목을 요한다.
(3)丁日 辰月(甲, 庚)
진월은 갑목과 경금을 필요로 한다.
(4)丁日 巳月(甲, 庚)
사월은 갑목과 경금이 있어야 한다.
(5)丁日 午月(壬, 庚癸)
오월은 임수와 경금과 계수를 사용한다.
(6)丁日 未月(甲, 壬庚)
미월은 갑목과 임수와 경금을 요한다.
(7)丁日 申月(甲, 庚丙戊)
신월은 갑목 및 경금과 병화와 무토가 있어야 한다.
(8)丁日 酉月(甲, 庚丙戊)
유월은 갑목과 경금과 병화와 무토를 필요로 한다.
(9)丁日 戌月(甲, 庚戊)
술월은 갑목과 경금과 무토가 있어야 한다.
(10)丁日 亥月(甲, 庚)
해월은 갑목 및 경금을 사용한다.
(11)丁日 子月(甲, 庚)
자월은 갑목과 경금을 필요로 한다.
(12)丁日 丑月(甲, 庚)
축월은 갑목 및 경금을 요한다.
5. 무토일의 조후용신
(1)戊日 寅月(丙, 甲癸)
인월은 병화와 갑목과 계수를 요한다.
(2)戊日 卯月(丙, 甲癸)
묘월은 병화와 갑목과 계수가 있어야 한다.
(3)戊日 辰月(甲, 丙癸)
진월은 갑목과 병화와 계수를 필요로 한다.
(4)戊日 巳月(甲, 丙癸)
사월은 갑목과 병화와 계수를 사용한다.
(5)戊日 午月(壬, 甲丙)
오월은 임수와 갑목과 병화가 있어야 한다.
(6)戊日 未月(癸, 甲丙)
미월은 계수와 갑목과 병화를 요한다.
(7)戊日 申月(丙, 甲癸)
신월은 병화와 갑목과 계수를 전용한다.
(8)戊日 酉月(丙, 癸)
유월은 병화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9)戊日 戌月(甲, 丙癸)
술월은 갑목과 병화와 계수를 필요로 한다.
(10)戊日 亥月(甲, 丙)
해월은 갑목과 병화가 있어야 한다.
(11)戊日 子月(丙, 甲)
자월은 병화와 갑목을 사용한다.
(12)戊日 丑月(丙, 甲)
축월은 병화와 갑목을 요한다.
6. 기토일의 조후용신
(1)己日 寅月(丙, 癸甲)
인월은 병화와 계수와 갑목을 사용한다.
(2)己日 卯月(甲, 丙癸)
묘월은 갑목과 병화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3)己日 辰月(丙, 甲癸)
진월은 병화와 갑목과 계수를 요한다.
(4)己日 巳月(癸, 丙)
사월은 계수와 병화가 필요로 한다.
(5)己日 午月(癸, 丙)
오월은 계수와 병화를 전용한다.
(6)己日 未月(癸, 丙)
미월은 계수와 병화가 있어야 한다.
(7)己日 申月(丙, 癸)
신월은 병화와 계수를 요한다.
(8)己日 酉月(丙, 癸)
유월은 병화와 계수가 있어야 된다.
(9)己日 戌月(甲, 丙癸)
술월은 갑목과 병화와 계수를 필요로 한다.
(10)己日 亥月(丙, 甲戊)
해월은 병화와 갑목과 무토를 사용한다.
(11)己日 子月(丙, 甲戊)
자월은 병화와 갑목과 무토를 전용한다.
(12)己日 丑月(丙, 甲戊)
축월은 병화와 갑목과 무토가 없어야 한다.
7.경금일의 조후용신
(1)庚日 寅月(무, 갑임병정)
인월은 무토와 갑목, 임수, 병화, 정화를 요한다.
(2)庚日 卯月(丁, 甲丙庚)
묘월은 정화와 갑목, 병화, 경금이 있어야 한다.
(3)庚日 辰月(甲, 丁壬癸)
진월은 갑목과 정화, 임수, 계수를 필요로 한다.
(4)庚日 巳月(壬, 戊丙丁)
사월은 임수와 무토, 병화, 정화를 사용한다.
(5)庚日 午月(壬, 癸)
오월은 임수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6)庚日 未月(丁, 甲)
미월은 정화와 갑목을 필요로 한다.
(7)庚日 申月(丁, 甲)
신월은 정화와 갑목을 전용한다.
(8)庚日 酉月(丁, 甲丙)
유월은 정화와 갑목과 병화를 요한다.
(9)庚日 戌月(甲, 壬)
술월은 갑목과 임수가 있어야 된다.
(10)庚日 亥月(丁, 丙)
해월은 정화와 병화를 필요로 한다.
(11)庚日 子月(丁, 甲丙)
자월은 정화와 갑목과 병화를 요한다.
(12)庚日 丑月(丙, 丁甲)
축월은 병화와 정화와 갑목이 있어야 한다.
8.신금일의 조후용신
(1)辛日 寅月(己, 壬庚)
인월은 기토와 임수와 경금을 필요로 한다.
(2)辛日 卯月(壬, 甲)
묘월은 임수와 갑목이 있어야 한다.
(3)辛日 辰月(壬, 甲)
진월은 임수와 갑목을 사용한다.
(4)辛日 巳月(壬, 甲癸)
사월은 임수와 갑목과 계수를 요한다.
(5)辛日 午月(壬, 己癸)
오월은 임수와 기토와 계수가 있어야 한다.
(6)辛日 未月(壬, 庚甲)
미월은 임수와 경금과 갑목을 요한다.
(7)辛日 申月(壬, 甲戊)
신월은 임수와 갑목와 무토가 있어야 한다.
(8)辛日 酉月(壬, 甲)
유월은 임수와 갑목이 있어야 된다.
(9)辛日 戌月(壬, 丙)
술월은 임수와 병화를 사용한다.
(10)辛日 亥月(壬, 丙)
해월은 임수와 병화를 요한다.
(11)辛日 子月(丙, 戊壬甲)
자월은 병화와 무토, 임수, 갑목이 있어야 된다.
(12)辛日 丑月(丙, 壬戊己)
축월은 병화와 임수, 무토, 기토를 필요로 한다.
9.임수일의 조후용신
(1)壬日 寅月(庚, 丙戊)
인월은 경금과 병화와 무토를 필요로 한다.
(2)壬日 卯月(戊, 辛庚)
묘월은 무토와 신금과 경금이 있어야 된다.
(3)壬日 辰月(甲, 庚)
진월은 갑목과 경금을 요한다.
(4)壬日 巳月(壬, 庚辛癸)
사월은 임수와 경금과 신금, 계수를 사용한다.
(5)壬日 午月(癸, 庚辛)
오월은 계수와 경금과 신금이 있어야 한다.
(6)壬日 未月(辛, 甲癸)
미월은 신금과 갑목과 계수를 필요로 한다.
(7)壬日 申月(戊, 丁)
신월은 무토와 정화를 요한다.
(8)壬日 酉月(甲, 庚)
유월은 갑목과 경금이 있어야 된다.
(9)壬日 戌月(甲, 丙)
술월은 갑목과 병화를 사용한다.
(10)壬日 亥月(戊, 丙庚)
해월은 무토와 병화와 경금을 필요로 한다.
(11)壬日 子月(戊, 丙)
자월은 무토와 병화가 있어야 한다.
(12)壬日 丑月(丙, 丁甲)
축월은 병화와 정화와 갑목을 사용한다.
10. 계수일의 조후용신
(1)癸日 寅月(辛, 丙)
인월은 신금과 병화가 있어야 한다.
(2)癸日 卯月(庚, 辛)
묘월은 경금과 신금을 필요로 하게 된다.
(3)癸日 辰月(丙, 辛甲)
진월은 병화와 신금과 갑목을 요한다.
(4)癸日 巳月(辛, 庚)
사월은 신금과 경금을 사용한다.
(5)癸日 午月(庚, 辛壬癸)
오월은 경금과 신금, 임수, 계수가 있어야 한다.
(6)癸日 未月(庚, 辛壬癸)
미월은 경금, 신금, 임수, 계수를 필요로 한다.
(7)癸日 申月(丁, 甲)
신월은 정화와 갑목을 사용한다.
(8)癸日 酉月(辛, 丙)
유월은 신금과 병화가 있어야 된다.
(9)癸日 戌月(辛, 甲壬癸)
술월은 신금과 갑목, 임수, 계수를 요한다.
(10)癸日 亥月(庚, 辛戊丁)
해월은 경금과 신금, 무토, 정화를 필요로 한다.
(11)癸日 子月(丙, 辛)
자월은 병화와 신금을 사용한다.
(12)癸日 丑月(丙, 丁)
축월은 병화와 정화가 있어야 한다.
진상관 가상관이란?| 眞傷官이란 월지가 식상으로 身弱 사주를 말하는데, 原命에 인수가 중요한 용신이고 行運에서 인수운을 만나면 크게 發하고 상관운을 行運에서 재차 만나면 必死라하였고 관살운을 만나면 禍害가 百出한다. 假상관이란 비겁이 많아 신강 사주에 洩氣神인 식상으로 용신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사주에 인수가 있으면 용신의 病이고 行運에서 인수운을 만나면 필사한다. 이것을 子平書에서는 眞之傷官에 傷官傷盡이면 最爲奇요, 假之傷官에 破了상관이면 損壽元이라 하였고, 명리정종에서는 가상관이 行 인수운이면 必死하고 진상관이 行 상관운이면 必滅이라 하였다. 다시 말하여 상관이 용신인자가 인수운을 만나면 반드시 패한다는 의미이고 상관이 강하여 상관이 忌神인 자는 상관을 깨트리고 일간을 돕는 인수운에 大發한다는 의미이다. 월지가 상관이 있어도 가상관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變化傷官이라한다. 즉 비록 월지에 상관이 있다하여도 일지와 세력을 득하여 신강일때 월지 상관을 용신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사주가 이와 같다면 비상한 재주가 있는 사람임에 분명하다, 탈랜트 예술인 검사등 변화무상한 재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