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시 |
견 학 지 |
목 적 |
비 고 |
9.22(금) |
김천시 전국체전시설 |
․ 전국체전대비 주요시설물 현황 ․ 직지사 주차장 및 주변 시설물 ․ 김천시 관광자원화 현황 |
|
9.25(월) |
서울마포 자원회수시설 |
․ 쓰레기 소각 처리 현황 ․ 폐기물 재활용 실태 |
|
서울 양재천 |
․ 하천둔치 관리상태 ․ 양재천 조성 현황 |
| |
9.26(화) |
구리시 자원회수시설 |
․ 재활용품 선별 처리 현황 ․ 소각장 폐열 이용 실태 |
|
대전광역시 금고동매립장 |
․ 생활폐기물 매립 실태 ․ 건축 폐자재 재활용 실태 |
|
◎ 주요내용
1. 김천시 전국체전 주요 시설
(단위:억원)
시 설 명 |
시설규모 |
추진상황 |
사업비 |
비 고 |
계 |
6개 경기장 |
|
1,254 |
|
종합운동장 |
․ 부지 : 207,699㎡ ․ 건축면적 : 14,840㎡ ․ 주경기장 : 지상3층 트랙 400m 8레인 ․ 보조경기장 : 트랙400m 4레인 ․ 관중석 : 25,000석 |
․ 사업기간 : ‘96. 12월 ~ ‘00. 12월 ․ 주 차 장 : 1,000면 ※ 준공 - ‘00. 12. 31 |
410 |
|
실내체육관 |
․ 부 지 : 43,020㎡ ․ 건축연면적 : 13,908㎡ ․ 경 기 장 : 1,247㎡ ․ 규 격 : 43×29m ․ 관 중 석 : 6,000석 |
․ 사업기간 : ‘01. 5월 ~ ‘05. 5월 ※ 준공 - ‘05. 5. 31 |
342 |
|
실내체육관 보조경기장 |
․ 건축연면적 : 1,728㎡ ․ 경 기 장 : 1,104㎡ ․ 규 격 : 46×24m ․ 관 중 석 : 500석 |
․ 사업기간 : ‘04. 9월 ~ ‘05. 5월 ※ 준공 - ‘05. 5. 31 |
38 |
|
실내수영장 |
․ 부 지 : 38,588㎡ ․ 건축연면적 : 12,578㎡ ․ 경 기 장 : 2,200㎡ ․ 관 중 석 : 1,510석 ․ 경영풀(50m) 10레인 다이빙장 1면 |
․ 부지매입 : ‘04. 5월 ․ 실시설계 : ‘04. 10월 ․ 사업기간 : ‘04. 11월 ~ ‘06. 5월 ※ 준공 - ‘06. 5. 15 |
332 |
|
로울러 스케이트장 |
․ 부 지 : 28,250㎡ ․ 건축연면적 : 2,000㎡ ․ 경 기 장 : 5,000㎡ ․ 규 격 : 100×50m (200mR)트랙 관 중 석 : 500석 |
․ 부지매입 : ‘05. 2월 ․ 실시설계 : ‘05. 5월 ․ 사업기간 : ‘05. 9월 ~‘06. 8월 ※ 준공 - ‘06. 9. 19 |
54 |
|
테니스장 |
․ 부 지 : 35,540㎡ ․ 경 기 장 : 15,000㎡ ․ 케미칼 20면(메인1면 포함) ․ 관 중 석 : 1,386석 (본부석 670, 메인코트 716) |
․ 부지매입 : ‘05. 2월 ․ 실시설계 : ‘05. 5월 ․ 사업기간 : ‘05. 9월 ~‘06. 9월 ※ 준공 - ‘06. 9. 19 |
78 |
|
사업개요
○ 위 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481-6
○ 시설규모 : 750톤/일(250톤 × 3기)
○ 사업기간 : 2001. 11. 5 ~ 2005. 5. 21 (3년 6개월)
○ 사 업 비 : 171,166백만원(국비지원 30%, 46,900백만원)
○ 부지면적 : 58,435㎡(17,677평)
○ 연 면 적 : 29,035㎡( 9,142평)
○ 건 설 사 : 한라산업개발, GS건설, 현대건설, 현대모비스
○ 처리권역 : 마포구, 중구, 용산구, 고양시 일부
주요시설
○ 소각 방식 : 스토카+로타리킬른 식
○ 방지 시설 : 반건식반응탑, 백필터, SCR촉매탑, 경찰필터
○ 재처리시설 : 재활용보도블록 제조설비, 용융설비
○ 테마전시관(2005.12 개관)
․ 위 치 : 마포자원회수시설내
․ 규 모 : 200평, 5개의 테마별 전시코너로 구성
․ 전시내용
- 전시관 소개(서울시의 자원순환정책)
- 자원순환의 이해(재활용과정 소개, 자원순환 체험장)
- 월드컵공원의 자원순환 환경(마포자원회수시설 소개)
- 자원순환과 자원회수 정보(재활용 기술산업 소개)
- 풍요로운 미래 환경선진국(21세기 환경선진국)
처리공정
주요설비 |
처 리 공 정 |
비 고 |
반입 공급설비 |
․ 쓰레기 반입 ․ 크레인으로 소각로 투입 |
|
연료화(PRF) 설비 |
․ 쓰레기 파쇄 및 선별 |
|
소각/열원 설비 |
․ 쓰레기 소각 ․ 폐열 회수(보일러) |
|
연소가스 처리설비 |
․ 반건식 반응탑 ․ 백필터, 촉매탑 ․ 경찰필터에서 오염물질 제거 |
|
소각재 재활용설비 |
․ 바닥재 : 소결 ⇒ 재활용벽돌 도로보조기층재 ․ 비산재 : 용융 ⇒ 도로보조기층재 |
|
3. 양재천(강남구)
기본현황
양재천은 과천시 및 서초구 강남구의 도심지 내를 통과하는 하천으로 양재천 정비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1995년도 이전에는 도시 하수도 기능을 하는 하천으로 악취가나고 물고기나 조류 등의 서식이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현재는 양재천의 수질이 2~3급수 수준으로 개선되어 잉어, 붕어, 피라미, 자라 등이 대량으로 서식하며 두루미, 청둥오리 등 철새들이 찾아오는 환경으로 개선되었으며, 하루에 1만 여명 이상이 찾아와 즐기는 친수 위락공간을 가진 자연생태 공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복원 및 정비현황
자연형하천공법이란 하천의 치수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하천고유의 생태적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아름답고 건강한 하천본래의 환경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친자연적 하천정비방식을 의미하는데 양재천을 비롯한 관내 모든 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도심지 하천의 중요한 기능인 친수 위락기능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하천정비 기본방향을 설정, 복원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 자연생태하천으로 정비
․ 하천내 인공구조물 설치 최소화
․ 자연친화적 식생호안으로 정비(갯버들 군락조성 등)
․ 물고기, 조류, 곤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정비
․ 수질개선(2급수 수준으로 개선)
○ 주변 공원과 연계 친수 휴식공간 및 생태학습공간으로 정비
․ 고수부지 주차장을 철거 후 하천기능으로 원상복구
․ 생태학습장 및 물놀이 시설 설치
․ 주변녹지에 쉼터조성 쉘터설치 등으로 휴식공간 제공
○ 지역별 이용도에 따른 특색있는 정비(지역별 특성화)
․ ZONE-1(영동2교~영동1교) : 수변시설이용 및 체육활동지역
- 수변무대, 체육시설, 마라톤훈련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 ZONE-2(영동1교~우면교) : 휴식 및 친수활동, 학습지역
- 시민의 숲과 연계 물놀이 시설, 생태학습장, 쉼터조성
․ ZONE-3(우면교~무지개다리) : 생태연구 및 환경보존 지역
- 수질정화 웅덩이, 샛강, V자여울등 G7프로젝트에 따른 시험 시공구간으로 환경보존
․ ZONE-4(무지개다리~과천시계) : 수질정화 및 하천변 피크닉지역 - 수질정화시설, 피크닉장 설치
․ ZONE-5(영동1교~양재IC) : 경관보존 및 관찰 지역
- 시민의 숲과 연계 경관보호 및 관찰지역으로 유지
○ 유지관리비가 최소화 되도록 정비
인공구조물 설치 억제로 정비후 시설물관리, 청소, 홍수시 복구 등 유지관리비가 최소한으로 소요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비
3. 재활용품선별장(구리시)
사업개요
○ 위 치 :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9-1(구리자원회수시설내)
○ 시설개요
․ 규모(용량) : 10톤/일
․ 부지면적 : 756㎡(건물면적 972㎡)
․ 처리방식 : 반자동화선별방식
․ 주요설비 : 선별콘베어 1식, 압축기 5기, 자력선별기 1기
○ 사업기간 : 1998. 9. 17 ~ 2001. 9. 10 (3년)
○ 사 업 비 : 1,078백만원(국비 339, 도비 250, 시비 489)
○ 연 면 적 : 29,035㎡( 9,142평)
○ 건 설 사 : 삼성중공업(주)
처리공정
투입 호퍼 |
⇒ |
선 별 콘베어 |
⇒ |
선 별 |
⇒ |
압 축 |
⇒ |
반 출 |
처리방법 및 분류품목
○ 잔재물 처리방법
․ 불연성(도자기류) : 수도권매립지
․ 폐종말품 : 자체 소각처리
○ 재활용품 분류품목 : 총 56종(매각 26종)
․ 플라스틱( 5종) : PE, PP, PS, PET, 요구르트병
․ 병 류( 3종) : 흰색, 갈색, 녹색
․ 고 철 류( 6종) : 고철, 철캔, 알루미늄, 양은, 스텐, 모터
․ 기 타(42종) : 필름류 포장재(EPR,PVC), 비닐, 스티로폼
파지(종이, 우유팩), 전자제품(핸드폰, 오디오, 기타), 장난감
도자기, 건전지, 화장품용기류 등
관리현황
○ 관리인원 및 장비
․ 인 력 : 삼성중공업(주) 직원 14명, 공공근로 6~12명
․ 장 비 : 9대
- 선별콘베어 1식, 압축기 5대, 자력선별기 1대
- 지게차 1대, 스키로더 1대
○ 재활용품 순수익 : 6백만원(2005년 기준)
․ 운 영 비 : 408백만원
․ 매각수입 : 414백만원
○ 기타사항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쓰레기도 자원이라는 것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장으로 활용
4. 금고동 위생매립장(대전광역시)
사업개요
○ 위 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금고동 산 21번지
○ 사업규모
․ 조성면적 : 608천㎡(183,997평)
․ 매립면적 : 404천㎡(122,255평)
․ 매립용량 : 8,762천㎥
○ 사업기간 : 1994. 8. 29 ~ 1996. 8. 1 (2년)
○ 사 업 비 : 1,542억원(국비 80, 시비 478, 지방채 984억원)
○ 건 설 사 : 동아건설(주), 계룡건설, 금성건설
주요시설
○ 침출수 처리시설 : 450톤/일
○ 침출수 이송관로(12.8km)
금고동 매립장 → 상서동 매립장 → 하수처리장
○ 매립가스 발전소
․ 발전용량 : 3MW(사업비 64억원)
․ 사업방식 : 사업자가 사업비를 선 투자한 후 시설운영
수익금으로 상환
․ 사업기간 : 2002. 6 ~ 2003. 6
․ 시설운영 : 2003. 7 ~ 2013. 7(10년간)
․ 사 업 자 : (주)효성, 토탈이엔에스(주) 컨소시움
○ 음식물광역자원화시설
․ 부지면적 : 6,630㎡(2,006평) / 건축면적 : 2,694㎡(845평)
․ 시설규모 : 100톤/일(호기성 퇴비화공법)
․ 공사기간 : 2004. 3 ~ 2005. 3
․ 퇴비생산 : 7톤/일
○ 건설폐재 파쇄시설
․ 부지면적 : 9,917㎡(3,006평)
․ 처리능력 : 150톤/시간
․ 시설장비 : 파쇄기, 로우더, 굴삭기, 세륜대, 계근대 각1대
관리현황
○ 폐기물반입 : 생활폐기물, 사업장 생활계폐기물, 건설폐기물
○ 위탁 관리 : 대전광역시 도시개발공사
○ 운영 인력 : 72명(사무직 27, 현업직 45)
※ 매립장 51명, 음식물광역자원화시설 6명, 건폐장 15명
○ 건축 면적 : 3,848㎡(관리동 외 14개동)
견학결과
ㅇ 김천시 전국체전 시설물은
종합운동장 외 5개 시설물은 전국 체전을 소화하기에 충분한 시설로 여겨졌으며 종합운동장의 잔디조성, 실내수영장과 테니스장 등 훌륭한 시설을 갖추고 있어 우리시의 도민체전과 향후 전국체전 유치 등의 모델로 손색이 없었으나, 체전 이후 각종 시설물의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음
ㅇ 서울시 마포자원회수시설(소각장)은
171,166백만원이 소요된 대형 시설물로서 쓰레기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한 인근 지역의 난방용 연료 공급과 소각 후 발생하는 약10%의 슬러시로 벽돌 등 건축자재를 생산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었으며, 난지도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전력을 생산 한국전력공사에 판매하여 수익 및 자원 이용의 극대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어 향후 우리시의 생활폐기물 위생매립장 가동 시 검토되어야 할 사안이라고 판단되었음
ㅇ 서울시 양재천은
1995년 이전에는 생활하수 등의 영향으로 악취가 심한 하천이었으나 자연형 하천공법으로 하천의 치수적 안전성을 확보한 자연친화적 정비로 인하여 지금은 수질이 2~3급 수준으로 개선되어 잉어, 붕어, 피라미, 자라, 청둥오리 등이 서식하고 있는 도심속의 시민 휴식공간으로 거듭난 아름다운 공간으로서, 우리시의 남천 종합 개발 계획수립 시 검토 반영되어야 할 사안으로 판단되었음
ㅇ 구리시 자원회수시설은
나쁜 환경의 우리지역에는 안된다는 님비현상에서 좋은 시설은 우리지역으로의 핌비현상의 전환을 유도한 대표적인 시설로 성공한 자원 재활용 시설로서 폐열을 이용한 시설내 대형 수영장과 축구장을 비롯한 각종 생활 체육시설을 단지 내에 갖추어 주민들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망대를 설치 시민들의 삶을 질을 한층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어 우리시의 남천면 종합 개발계획 수립시 반드시 연구 검토되어야 할 사안으로 판단되었음.
ㅇ 대전광역시 금고동 위생매립장은
타 지역의 매립장과 유사하였으나, 건설폐기물을 직접 처리 재활용하는 것은 민간 업체의 폐자재 처리 비용의 폭리와 처리시 제 규정위반 등으로 발생하는 민원을 원천적으로 없애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었으며, 우리시에서도 장기적인 차원에서 연구 검토되어야 할 사안으로 판단되었음.
건의사항
ㅇ 타 지역 비교견학 수시 실시
ㅇ 외국 우수사례 비교 견학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