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 수문관측소 현황
낙동강유역의 홍수 예·경보 및 수자원 기초자료 조사를 위해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위, 우량을 관측하는 T/M시설과 경보시설을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다. <표3>에는 낙동강유역에서의 T/M수위관측소, T/M우량관측소, 경보시설 설치 개소수를 나타내었다. |
|
|
구분 |
수량수질
|
수위 |
우량 |
경보시설 |
개소 |
39 |
31 |
73 |
27 | |
자료 : 한국수자원공사(2003) 낙동강하구둑관리연보 2002
|
|
|
시설명 |
시설위치 |
유역면적(㎢) |
하구로부터거리(㎞) |
도천 |
경북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
652.0 |
437.0 |
도산 |
경북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
1,163.0 |
395.0 |
안동댐 |
경북 안동시 성곡동 |
1,584.0 |
343.0 |
안동댐방수로 |
경북 안동시 성곡동 |
- |
- |
안동댐조정지 |
경북 안동시 법흥동 |
1,636.0 |
340.0 |
안동 |
경북 안동시 당북동(안동대교) |
3,590.0 |
335.0 |
지보 |
경북 예천군 지보면 마전리(풍지교) |
4,516.9 |
307.7 |
달지 |
경북 문경시 영순면 이목리 |
6,375.3 |
283.3 |
사벌 |
경북 상주시 사벌면 매호리(사벌양수장) |
7,247.9 |
281.9 |
낙동 |
경북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낙단교) |
9,369.0 |
247.1 |
일선교 |
경북 구미시 도계면 신림리(일선교) |
9,510.0 |
231.4 |
구미 |
경북 구미시 임수동(구미대교) |
10,886.1 |
212.7 |
왜관 |
경북 칠곡군 약목면 과호3리(구왜관철교) |
11,074.4 |
194.0 |
성주 |
경북 성주군 선남면 선원리(성주대교) |
11,642.8 |
180.4 |
화원 |
대구시 달성군 화원면 설화리(사문진교) |
13,730.7 |
165.5 |
고령교 |
경북 고령군 성산면 상대리(고령교) |
14,034.3 |
157.4 |
현풍 |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
14,000.9 |
149.4 |
적포교 |
경남 합천군 청덕면 초곡리(적포교) |
16,449.6 |
112.4 |
진동 |
경남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 |
20,311.3 |
84.3 |
임해진 |
경남 창녕군 부곡면 청암리 |
20,685.3 |
74.9 |
수산 |
경남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수산교) |
20,996.7 |
63.0 |
삼랑진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삼랑진교) |
22,891.9 |
49.7 |
구포 |
부산시 북구 구포동(구포대교) |
23,288.7 |
17.2 |
하단 |
부산시 사하구 하단동 |
23,326.3 |
0.0 |
명지 |
부산시 사하구 신평동 |
- |
- | |
자료 : 한국수자원공사(2003) 낙동강하구둑관리연보 2002 |
낙동강유역에 설치된 T/M수위관측소는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낙동강 본류에 25개소, 반변천, 내성천 등 11개 지천에 55개소가 운영 중에 있다.
|
|
가. 지방상수도
낙동강유역에 설치된 지방상수도의 취수시설은 <표 Ⅴ-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01년 12월 기준으로 126개소에 총 6,126,640㎥/일 규모로 설치되어 있다. 지역적으로는 강원에 태백 혈리, 원동취수장 등 5개소에 총17,000㎥/일 규모의 취수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경북에 포항 영천댐, 구미 생곡취수장 등 74개소 총 503,150㎥/일 규모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에는 강정, 매곡취수장 등 6개소에 총 1,596,000㎥/일 규모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경남에 김해 창암, 마산 칠서취수장 등 37개소 총 지방상수도의 정수시설은 <표 Ⅴ-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01년 12월 기준으로 130개소에 총 5,438,780㎥/일 규모로 설치되어 있다. 지역적으로는 강원에 태백 혈리, 원동정수장 등 5개소에 총 17,000㎥/일 규모의 정수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경북에 포항 양덕, 구미 생곡정수장 등 76개소 총 512,150㎥/일 규모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에는 두류, 매곡정수장 등 6개소에 총 1,460,000㎥/일 규모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경남에 김해 삼계, 마산 칠서정수장 등 38개소 총 1,093,130㎥/일 규모의 정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산에 덕산, 화명정수장 등 3개소에 총 2,355,000㎥/일 규모의 정수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전북 남원에 운봉정수장이 일 500㎥ 규모로 설치되어 있다. |
|
|
구분 |
취수장 |
정수장 |
상수원보호구역 |
시설수(개수) |
시설용량(㎥/일)
|
시설수(개소) |
시설용량(㎥/일) |
지정수(개소) |
지정면적(㎢) |
총계 |
126 |
6,126,640 |
130 |
5,438,780 |
100 |
242.780 |
강원 |
5 |
17,000 |
5 |
17,000 |
3 |
0.427 |
경북 |
74 |
503,150 |
76 |
512,150 |
67 |
115.025 |
대구 |
6 |
1,596,000 |
6 |
1,460,000 |
4 |
53.822 |
경남 |
37 |
1,128,930 |
38 |
1,093,130 |
26 |
73.516 |
부산 |
3 |
2,880,000 |
3 |
2,880,000 |
- |
- |
전북 |
1 |
1,560 |
1 |
500 |
- |
- | |
주) 광역상수도로 취수·정수되는 시설 및 용량은 제외하였음 자료 : 환경부(2002) 상수도통계 2001
|
낙동강유역의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은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개소 242.780㎢의 면적에 지정되어 있고 지역적으로는 강원도 태백시에 3개소 0.427㎢이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경북에는 67개소 115.025㎢의 면적이 지정되어 있고 대구에는 4개소 53.822㎢의 면적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경남에는 26개소 73.516㎢의 면적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부산과 전북 남원시는 상수원보호구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았다.
나. 광역상수도
광역상수도는 유역간 또는 유역내 지방자치단체간의 수자원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에 원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수도 형식이다. 이는 가용수자원이 많은 지역에서 대규모의 취수원을 확보함으로써 가뭄시에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고 수질이 나쁜 하류에서 취수하는 지역에도 댐의 깨끗한 원수로 대체 공급할 수 있어 송수관로를 통해 주변지역에 대해서도 포괄적인 급수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낙동강유역에서는 ’83년에 구미, 칠곡 등 2개 시·군에 공급하는 구미권(Ⅰ단계) 광역상수도를 시작으로 <표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 5개 권역 15개 시·군에 일 1,202천㎥의 용수 공급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서부경남의 하동, 남해, 거제 등 7개 시·군에 265천㎥/일 규모의 남강댐계통 Ⅱ단계사업을 건설 중에 있다. |
|
|
구분
|
시설용량 (천㎥/일) |
급수지역 |
취수원 |
사업기간 |
비고 |
구미권 |
Ⅰ단계 |
200 |
구미,칠곡 등 3개시·군 |
낙동강 |
’79~’83 |
- |
Ⅱ단계 |
200 |
’92~’98 |
- |
남강댐계통 |
Ⅰ단계 |
121 |
사천,통영 등 7개시·군 |
남강댐 |
’85~’89 |
- |
Ⅱ단계 |
265 |
’96~’06 |
건설중 |
금호강계통 |
370 |
대구,경산 등 4개시·군 |
운문댐 |
’85~’96 |
- |
밀양댐계통 |
150 |
밀양,양산 등 3개시·군 |
밀양댐 |
’94~’01 |
- |
포항권광역 |
161 |
포항,경주 2개 시·군 |
영천댐 |
’95~’01 |
영천댐도수로 | |
자료 : 한국수자원공사인터넷홈페이지 http://www.kowaco.or.kr
|
다. 공업용수도
낙동강유역의 공업용수도 현황은 <표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울산, 창원, 포항공업용수도를 통해 일 2,050천㎥의 공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 가동 중에 있다. |
|
|
구분 |
시설용량 (천㎥/일)
|
급수지역 |
취수원 |
비고 |
울산 |
1,445 |
온산석유화학단지,비철금속단지 등 |
낙동강 |
낙동강일부취수 |
창원 |
285 |
마산수출자유지역,창원기계공업단지 등 |
낙동강등 |
생활용수일부공급 |
포항 |
320 |
포항제철공업단지 |
영천댐 |
| |
자료 : 한국수자원공사인터넷홈페이지 http://www.kowaco.or.kr |
울산공업용수도는 낙동강하류 원동지역에서 취수한 용수와 울산지역의 사연·대암·선암댐의 용수로서 일 1,445천㎥(시설용량 기준)의 공업용수를 온산석유화학단지, 비철금속단지 등에 공급하고 있다. 창원공업용수도는 시설용량 285천㎥/일 규모로 낙동강 하류 본포지역에서 취수한 용수를 마산수출자유지역, 창원기계공업단지, 진해화학공업단지 등에 공업용수로 공급하고 일부는 생활용수로도 공급하고 있다. 포항공업용수도는 영천댐과 안계댐에서 320천㎥/일(시설용량 기준)의 공업용수를 취수하여 포항제철공업단지에 공급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