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후란] 감동을 캐는 광부
시가 써지는 날이 있다. 그것도 기분좋게 한 편의 시가 써지고, 며칠을 덮어두었다가 다시 보아도 별로 손댈 곳이 없는 듯 여겨질 때 정신적 충족감을 느낀다.
그렇지 않을 때가 더 많다. 시가 가슴에 고여 잘 풀려나갈 때도, 혹은 문득 떠오른 한 구절에 매여 한 걸음도 앞으로 나가지지 않을 때도 낯선 길을가듯 조심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시의 첫구절은 신의 선물이요. 그 다음은 스스로 열어가야 한다고 말한 발레리의 명언대로 한 편의 시가 쓰여지기까지에는 어떤 심정적인 계기가 있고 그 상(想)은 내부에서 오래 익혀가는 과정이다.
그 전에 무딘 동경(銅鏡)을 오래오래 문질러 반짝이는 거울로 만들었듯이 평소 시인으로서의 잠재의식으로 부단히 시를 생각하고 시의 생활화를 체질화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반인이 무심히 보아 넘기는 평범한 대상도 시인에게는 신선하게 수용될 수 있고, 마치 베일을 벗겨낸 듯 새롭게 보이도록 작품화하는 것이 그 시인의 능력이라 할 것이다.
그런 능력을 지니기 위해서 시인은 본능적으로 끊임없이 감성을 녹슬지 않게 연마하게 된다. 마치 음악가가 손이 무디어지지 않도록 쉬임없이 악기를 다뤄야 하고 화가는 매일 캔버스 앞에서 붓을 들어야 하듯이.
그러다가 바람이 확 불어 나뭇잎들이 현란하게 뒤척이듯이 어떤 시상이 살아 꿈틀거릴 때가 있다. 나는 그런 때 가슴이 뜨거워지는 경험을 하게 되고 언어로 형상화된 구절을 메모한다. 물론 그렇게 얻어진 첫구절이 완성된 시의 첫머리에 살아 있기도 하지만 다른 행 속에 바뀌어 들어가기도 하고 퇴고 과정에서 슬그머니 소멸되기도 한다.
나의 70년대 작품인 [鑛夫들]은 앞의 경우에 해당되며 주제가 선명한 만큼 비교적 한달음에 쓰여진 시였다.
지구 저 안쪽/가장 깊숙한 말씀을 찾아서/어둠을 캐는 사람들//어둠 속에 잠든 돌을/흔들어 깨워/두드리고 쪼으고/ 함께 검은 숯으로 일어나서//너는 나를 위해/나는 너를 위해/다시 한번 지상의 눈물이 되기 위해//밤의 어둠을 캐내어/ 불꽃을 피우는/선량한 광부의/뜨거운 눈길
강원도 어느 탄광에서 붕괴 사고로 광부들이 사망하고 한 사람이 여러 날만에 구출되었다는 보도가 세간을 놀라게 한 적이 있다.
그 광부는 매몰된 지하에서 쇠파이프를 두드려 생존 사실을 알렸고, 그 파이프를 통해 마실 물을 공급받다가 마침내 담요에 싸여서 구출되는 장면을 TV 화면으로 보게 되었다. 뻐근한 가슴으로 감격스럽게 바라보던 중 문득 나도 모르게 중얼거렸다.
"지구 저 안쪽 어둠을 캐는 사람들"
그 한구절이 며칠 동안 줄곧 나를 사로잡고 있었다. 사로잡혀 상(想)을 익혀가는 동안에 그들(광부들)의 작업은, 곧 우리(시인들)의 작업과 공통된다는 공감지대에서 새롭게 조명되었고 비로소 한 편의 시가 탄생하였다. 퇴적된 석탄을 캐내는 광부야말로 시인이 언어로 대상에 생명감을 부여하는 일과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다만 셋째연의 경우는 갈등이 없지 않았다. "너는 나를 위해 나는 너를 위해"라는 표현이 그 자리에 있을 수 밖에 없는데 써놓고 보니 어쩐지 다른 시에서 쓰였던 것 같은 감이 들어 피하고 싶었다. 그러나 한번 자리잡고 앉은 그 구절 이외에 다른 표현은 합당치 않았다.
땅 속에 묻혀있던 석탄이 광부에 의해 지상으로 나온 것은 열을 내어 인간에 기여하는 데에 그 존재가치가 있다. 그것은 곧 다시 살아난 생명으로서의 ‘눈물’에 이르는 길이어서 무기물인 석탄과 피가 도는 인간과의 만남은 숙명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너아 나의 상호 교감을 도저히 다른 표현으로는 살릴 수가 없었다.
광부가 잠자던 시커먼 석탄을 캐내어 불꽃을 피우듯이 우리들 시인은 한편의 시로 읽는 이의 가슴에 불을 켜주는 어떤 고차원적의 사명 같은 것이 공통분모로 창출되어 이 시의 주제를 이루게 되었다고 하겠다.
나는 대체로 간결한 문장으로 다듬어진 시가 좋다. 나 자신 잔가지를 모두 쳐서 최소한의 문장으로 정리하되 깊이 있는 사상이 은은히 배어 나오는 시로 탄생되기를 바란다.
세월이 침적된 동경이나 진주처럼 내부에 깊은 숨결을 간직한 시, 그런 생명력을 지닌 작품을 쓰고 싶다. 이런 욕구 때문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하기까지엔 여러 번 퇴고하는 시간이 주어지며, 한동안 잊고 지내고자 덮어두었다가 전혀 다른 시각으로 재검토하기도 한다.
좋은 시를 쓴다는 건 어려운 일임에 틀림없으나 시를 생각하고 시를 쓰는 시간은 나에게 기쁨이 되고 소중하다.
근래에 나의 관심사는 생명의 존재 가치에 쏠려 있다. 작은 풀꽃 하나에게서도 진솔한 생명력을 발견하고 그것을 존중해 줄 필요를 느낀다. 새삼 우리 인간세계의 모든 생명체와 무한한 생명성에 연민을 가질 때 시가 갖는 세계는 무언가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료발췌:포엠토피아 시창작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