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듣디어 금융계도 메타버스에 뛰어들었습니다. 메타버스와 금융기관의 변신에 대한 Krea Herald의 주말특집 기사입니다.
[Weekender] With an eye on the future, financial firms don VR goggles
(주말판) 금융기관들이 미래를 보는 눈으로 VR고글을 쓰다
From metaverse to digitalized financial products, bankers explore virtual world to woo future money makers
메타버스부터 디지털금융상품까지 금융계가 미래의 돈벌이를 위해 가상세계를 연구한다
By Byun Hye-Jin 변혜진 기자
Published : Jul 3, 2021 - 16:01 Updated : Jul 3, 2021 - 16:01
The emergence of the “MZ generation” -- those born in the 1980s and ‘90s --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 in South Korea’s financial landscape, pushing its conservative players to navigate uncharted territory in the technological era.
1980년에서 1990년에 태어난 MZ세대의 출현은 기술시대의 새로운 영역을 항해하는 기존 회사들을 밀어냄 으로서 한국의 금융산업판도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Financial institutions are embracing the technological shift from physical space to digital sphere with big-name bankers experiencing the virtual world via VR headsets and holding executive meetings in “metaverse” online settings.
금융기관들은 VR 헤드세트를 통해서 중요은행 임원들이 가상세계를 경험하고 메타버스에서 임원회의를 여는 등 물리적인 공간에서 디지털 공간으로 기술적 변동을 포용하고있다.
Financial companies are rolling out financial goods and services that are digitalized and tailored to the MZ generation, as they regard them as their future source of growth.
금융기관들은 MZ세대가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간주해서 MZ세대에 맞게 디지털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있다.
Woori Card launched “Today’s Debit Card” on June 23 that provides cash back to franchise stores frequently visited by the MZ generation. The franchise includes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service platforms, and subscription service platforms such as Netflix and Melon. 우리카드는 MZ세대가 자주 방문하는 프랜차이즈스토어에 캐시백을 해주는 “오늘의 데빗카드”를 6월 23일 출시했다. 프랜차이즈는 온라인쇼핑, 배달서비스 플랫폼, 넷프릭스와 멜론 등의 구독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Hana Bank on Tuesday showcased “Kid to Rich Application,” an app designed for parents to send allowance to their Z generation children. Children can save money and invest in stocks. Parents are given reports that analyze spending habits of their children. 하나은행은 화요일 부모가 Z세대 자녀에게 돈을 보낼 수 있는 “아이부자 앱”의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자녀들은 저축을 하여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부모들은 자녀의 지출습관을 분석한 보고서를 받는다.
Financial companies are also eyeing “metaverse” channels as a long-term strategy to target younger customers. Metaverses are virtual worlds shared by people in the real world. Zepeto, created by the country’s largest internet company Naver, is a Korean metaverse platform with over 200 million users. About 80 percent of them were aged under 18 as of February.
금융기관들은 또한 메타버스 채널을 장기적인 전략으로 보고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가상세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인터넷회사인 네이버가 만든 제페토는 2억명의 사용자를 가진 한국의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2월말 현재 약 80%의 사용자는 18세 이하이다.
Testing digital capability of executives, DGB Financial Group held an executive meeting in Zepeto on June 22, with its CEO Kim Tae-ho and other CEOs of five subsidiaries creating their personal avatars resembling their appearances.
6월22일 DGB금융그룹은 임원들의 디지털능력을 시험하기위해 제페토에서 임원회의를 열었고 CEO김태호씨와 5개 관계회사 CEO들은 자신과 닮은 아바타를 만들었다.
“It shows our commitment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digital culture. We are planning to open a metaverse bank where people can purchase financial goods and services in the near future,” a DGB Financial Group official said. “이것은 빠르게 바뀌는 디지털 문화에 적응하기위한 조치이다. 우리는 가까운 시일안에 고객들이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메타버스은행을 열 계획이다.” 라고 DGB그룹직원은 말했다.
IBK Securities is already picturing a rosy outlook to build their own metaverse branch. The company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June 22 with Meta City Forum. “Customers, mainly in the MZ generation, will be able to trade stocks in the metaverse branch. It will be just like trading stocks through Mobile Trading Systems,” an IBK Securities official said.
IBK증권은 이미 메타버스지점을 설립할 장밋빛계획을 세우고 있다. 회사는 6월22일 메타시티포럼과 MOU(양해각서)를 서명했다. “MZ세대가 대부분이겠지만 고객들은 메타버스지점에서 주식을 거래할 것이다. 모바일 거래시스템과 같을 것이다.” IBK증권 직원이 말했다.
Experts say financial companies’ big bets on targeting future key customers stems from Koreans’ remarkable adaptability, and of course, their “ppali ppali” (hurry hurry) DNA.
전문가들은 금융회사들이 한국인들의 월등한 적응력과 물론 “빨리빨리” DNA가 있는 중심고객의 미래를 목표로 큰 모험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South Koreans are highly adaptable to digital change. Since innovative technology makes their lives easier, they do not resist but quickly take it on board,” Hwang Se-un, a senior researcher at Korea Capital Market Institute, said.
“한국인들은 디지털 변화에 적응력이 높다. 혁신기술이 생활을 쉽게 한다면 저항하지 않고 신속하게 적응한다.”고 한국자본시장연구원의 황세은 선임연구원은 말했다.
“That’s why financial industry, once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industries reluctant to change, is betting big for the future,” he added.
“금융산업이 한때는 변화를 꺼리는 가장 보수적인 산업분야였지만 미래를 위해 큰 모험을 하는 것이다.” 그가 덧붙였다.
Hwang also said financial companies will win big by investing in younger customers. “One can argue that strategie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is somewhat ineffective to raise profit since the size of their personal assets or income is smaller than the older generation. But the MZ generation will step up as the companies’ main source of revenue one day. So the companies are going all in to win their loyal customers in advance.”
황연구원은 금융회사들이 젊은 고객에게 투자해야 큰 성과를 낼 것 이라고 말했다. “MZ세대를 목표로 하는 전략은 그들의 개인자산과 수입이 노년세대에 비해 적기 때문에 이익을 창출하기에 비효과적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MZ세대는 미래에 회사의 주수입원으로 성장할 것이다. 따라서 회사는 그들의 중요고객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다.
Still, concerns loom over one of the newest digital transformations. The metaverse can be exposed to security risk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nd data hacking. “Of course the metaverse has many challenges, however, it is not impossible to solve them. The financial market is adaptive enough to handle the digital innovation sparked by the metaverse,” Hwang said.
아직도 새로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 걱정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메타버스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데이터 해킹 등 보안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물론 메타버스는 문제가 많지만 해결이 불가능하지 않다. 금융시장은 메타버스로 점화된 디지털 혁신을 적응할 충분한 능력이 있다.”고 황연구원은 말한다.
2021. 7. 5.
김 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