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송정 푸른솔
“일송정 푸른솔은 늙어늙어 갔어도
한 줄기 해란강은 천 년 두고 흐른다
지난날 강가에서 말 달리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이 노래는 누구나 읊조려봤음 직한 가곡 “선구자”(윤해영 작사, 조두남 작곡)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일송정”은 어디에 있으며,
푸른솔도 그 곁에 있을까요?

그 내용이 중국 연변의 작가 류원무이 쓴
≪연변취담≫이란 책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중심도시가 연길인데
이 연길에서 용정이란 도시로 가다 보면
두만강 물줄기의 하나인 해란강 기슭에 비암산이 있습니다.
70여 년 전에만 해도 이 비암산 고갯마루 10여 m 깎아지른 벼랑 끝에
두 아름도 넘는 소나무가 바위에 뿌리를 박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 소나무의 모습이 마치 돌기둥에 푸른 청기와를 얹은 정자처럼 보여서
“일송정(一松亭)”이라고 불렀다지요.
그리고 그 일송정은 용주사 절에서 보면 꼭 바위 위에 버티고 앉은 호랑이 같아서
사람들은 신령한 나무라고 우러렀습니다.
그리고 가뭄이 들면 여기서 기우제를 지내고,
아들이 없는 여인네들은 여기서 아들을 점지해달라고 빌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이 일송정이 일본 영사관을 노려보는 듯하다 하여
일제는 밤중에 군인들은 보내
일송정 줄기에 구멍을 뚫고 후춧가루를 넣고 봉해버렸습니다.
그 뒤 시들시들하더니 일송정은 1938년에 말라죽고 말았습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1990년 용정시 인민정부와 각계 인사들이 힘을 모아
일송정이 자라던 자리에 일송정이란 정자를 짓고 기념비를 세운 다음
그 옆에 소나무도 한 그루 심었습니다.
가곡 “선구자”는 이런 우리 겨레의 가슴 아픈 사연이 담겨 있습니다.
연변이나 용정에 가거들랑 이것을 들러보면 좋을 일입니다.

선구자 / Song By : 지춘섭

첫댓글 용정에 갔을때 들었었습니다. 초등학교도 들러보구요.
건강과 행운을!!
댓글 감사합니다.
산마루님 귀한 자료 참 고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가곡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곡중의 하나이지요.아쉽게도 저는 그곳엘 가보진 못했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