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닌봉 원정기_#2 출국 - 카라반[ Day 1 ~ Day 3]
[회차별 목차]
#1 : 원정준비 및 개요
#2 : 출국 - 카라반[ Day 1 ~ Day 3]
#3 : 베이스캠프 - 고소 훈련 - 휴식[ [ Day 4 ~ Day 5]
#4 : 제1차 상승[Day 6 ~ Day 11]
#5 : 하강 - 휴식 [ Day 12 ~ Day 15]
#6 : 제2차 상승 - 정상공격 [ Day 16 ~ Day 20]
#7 : 캠프3,2,1 철수 - 베이스캠프 철수 - 귀국 [ Day 21 ~ Day 26]
# 원정 일정 | ||||
일자 | 기간 | 내용 | 기타1 | 기타2 |
7/22~7/26 | 5Day | 출국[인천-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BC] | 비슈케크 1박, 오시 1박, BC 3박 | 출국 및 상행 카라반 |
7/27~8/3 | 8Day | 상승[BC-C1-C2-C3-C2-C1-BC] | C1 5박, C2 2박, BC 1박 | 상승과 하강 훈련 및 캠프 구축 |
8/4~8/5 | 2Day | 휴식[BC] | BC 2박 | 장비 점검과 패킹 |
8/6~8/9 | 4Day | 상승[BC-C1-C2-C3] | C1 2박, C2 1박, C3 1박 | 정상공격을 위한 상승 |
8/10 | 1Day | 정상[C3-정상-C3] | C3 1박 | 정상공격 |
8/11 | 1Day | 철수[C3-C2-C1-BC] | BC 1박 | 캠프 철수 |
8/12~8/13 | 2Day | 휴식[BC] | BC 2박 | 장비 점검과 패킹 |
8/14~8/16 | 3Day | 귀국[BC-오시-비슈케크-알마티-인천] | BC 1박, 비슈케크 1박, 알마티 1박 | BC 철수 및 귀국 |
원정기간 | 26Day |
* 위 표는 원정 일정 26일간 상·하행 카라반과 위치별 숙영기간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한 표이다.
7/22. D1
대한민국 인천(ICN) - 카자흐스탄 알마티(ALA)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FRU)
05:30 기상
전날은 김미곤 대장님 지인의 배려로 공항 인근 1, 2층 단독주택에서 마지막 패킹을 준비하면서 숙박과 출국을 준비할 수 있었다.
주택에서는 백두대간과 블랙야크 100명산을 완주하신 산악인께서 손수 만들어주신 능이백숙과 산나물로 든든하고 건강한 저녁을 함께할 수 있었다. 그리 간단하지 않은 전야를 마치고, 늦은 밤 취침을 준비한다.
08:30 공항 도착
약간의 긴장과 설레는 마음으로 공항에 도착한 후 개인 배낭과 카고백를 김대장님의 지시하에 가지런히 정렬하고 손님맞이를 준비한다. 예상대로 여러 관계자분이 공항에 오셔서 환송해주신다. 수많은 분과 기념사진을 촬영하다 보니 어느덧 항공기 탑승 시간이 임박한다.
10:40 항공기 탑승
11:30 탑승 후 대기 중
12:25 항공기 이동
12:45 이륙(항공기 출발 지연)
떠나는 항공기 자리 배치는 미리 인터넷으로 지정해 두었다. 두 대장님은 약간의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자리의 여유가 있는 비상구 좌석으로 배치하고, 대원들은 오가기 편한 통로 쪽으로 배치했다. 모두 기분이 좋아 보인다, 나도 좋고….
기내식을 기다리면서 앞으로 펼쳐질 설산 등반을 상상하며 이런저런 얘기를 나눈다. 기내식은 생각보다 괜찮았고, 앞으로 BC부터는 금지될 기내식 주류를 기다리고 있었다. 기대한 바와 같이 맥주는 무제한 보충에 위스키 & 와인도 추가해서 마실 수 있었다. 연수형의 지도?에 상국형과 나는 위스키에 맥주를 섞어 2~3잔을 들이킨다. 전일 먹은 해장술이라 생각하니 나름대로의 명분도 생긴 것 같다. 게다 설렘 때문인지 잠도 오지 않는다. 맛있는 기내식에 약간의? 음주를 즐긴 후 각자 영화 또는 게임을 즐긴다(상국형은 이 와중에도 스도쿠를 한다).
18:00 카자흐스탄 알마티(ALA) 공항 도착(경유지, 현지 시각 16:00)
항공기에 내려 TRANSFER 공간에 대기해야 하는데 대기 초반에는 어수선하다. 여기서 대기하는 것이 맞는지, 행렬을 따라 줄을 서야 하는지 등…. 잠시 대기하니 공항 직원의 안내에 따라 대기 공간으로 이동한다(이하 현지 시각으로 기재함_알마티 -2시간, 비슈케크 -3시간)
17:30 비슈케크행 항공기 탑승
17:45 항공기 출발
18:25 비슈케크 공항 도착
날이 밝다. 한국시간이라면 21:25이지만, 키르기스스탄은 한국보다 3시간이 느리다. 멀리 설산이 보여서 아름다운 풍경이란 생각에 고도 표를 보니 약 700m 정도로 표시된다. 장비 담당자와 대원들은 카고를 정리하고, 회계는 현지 화폐로 환전을 한다. 현지 화폐는 COM(솜)이라 부른다. 환율 차이는 100 솜=1,500원(100 솜이면 현지에서 수박 7통을 살 수 있는 돈이다). 대원들은 카고백 등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주차장으로 카고백을 옮긴다(대원 카고백 7개, 공동장비 카고백 4개 합 11개).
공항 주차장에는 벤츠 18인승 흰색 밴이 기다리고 있다.
19:35 숙소 도착
아뿔싸, 모두 같은 색의 배낭과 같은 색의 카고백이 원인이라고 핑계를 대지만, 실수로 내 배낭을 밴에 놓고 내려버렸다. 다행히 밴 기사가 다시 갖다주었지만, 만약 찾지 못했다면 시작부터 난처한 상황이 펼쳐질 뻔했다.
호텔 방 배정은 자연스럽게 알아서 정해진다.
* 원정대장 장세종
* 등반대장 김미곤 & 기록 엄재원
* 행정 곽노성 & 회계 김성은
* 식량 성연수 & 장비 이상국
20:30 'ARZU'라는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를 했다, 우리는 관광객을 상대로 하는 적절한? (음주도 가능한) 저녁을 먹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나갔지만, 적당한 식당을 찾기는 어려웠다. 게다 간판 등에는 영어가 아닌 '키르기스어'로만 표시되어 어떤 메뉴를 판매하는지도 제대로 알 수 없었다. 결국 우리가 선택한 레스토랑에서는 술은 팔지 않았고, 나중에 알게 된 것이지만 대부분의 키르기스스탄 레스토랑에서는 종교적인 이유로 술을 판매하지 않는다고 한다.
비슈케크의 첫 이미지는 깨끗한 중소도시의 이미지였다. 다만, 오래된 경유차가 많은 원인이었는지 공항을 나서자마자 매캐한 냄새가 코를 찔렀다. 기온은 영상 40도 정도 되었지만, 습하지 않고 건조한 기후와 높은 고도 때문인지 후텁지근한 한국 날씨와 다르게 그리 덥지 않고 저녁엔 시원했다(한국의 깊은 가을 느낌).
7/23. D2
비슈케크(Bishkek) - 오시(Osh)
04:50 기상
05:00 조식
05:30 밴 도착 카고백 상차
05:45 비슈케크 공항으로 출발
06:15 비슈케크 공항 도착
07:50 항공기 탑승, 08시 이륙 예정
08:45 오시(Osh) 공항 착륙
09:20 밴 도착. 오시 호텔로 이동
오시 시내는 비슈케크와 마찬가지로 차량은 에어컨을 켜지 않는다. 이곳의 차량은 대한민국에서 수출한 차량이 많다. 1t 트럭의 대부분은 현대 포터가 주를 이뤘고, 승용차는 모닝, 마티즈 등 국산 스틱 차량이 많이 보였다. 우리는 장비 및 식량을 구매하기 위해 걸어다니며 재래시장을 찾아보았으나 위치를 찾기 어려웠다. 오시에 도착하면 대행사에서 밴으로 시장까지 픽업이 되었어야 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기대만큼은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았다.
몇 시간의 장을 보고 현지식 식사를 마쳤다. 어렵게 샤슬릭(Shashlik) 집을 찾아 들어갔지만, 이곳 역시 술을 팔지 않았다. 중식을 마치고 대원 중 일부는 숙소로 일부는 이발소에 들러 머리카락을 정리했다. 바버샵 같은 느낌인데 커트가 200솜(COM) 밖에 하지 않는다(한화로 약 3천 원 정도). 엄청 저렴하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공산품 단가는 한국과 별 차이 없었다.
저녁은 우연히 만난 한국분의 소개로 가성비 좋은 곳에서 볶음국수 같은 메뉴의 저녁을 먹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요리명은 '라그만'이었다. 그분들께 어떻게 감사의 인사를 해야 할지 고민도 하면서 호텔에 돌아와 호텔 앞 파라솔에서 간단한 다과와 회의를 마친 후 모두 잠자리에 들었다.
# 3에 계속...
첫댓글 아... 중앙아시아.. 어떤 목적으로 방문하던 매력적인 여행지 일듯 합니다..
식당에서 술 못마신거 넘 아쉬웠겠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