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강에서 정해드린 진도 범위를 읽어보셨는지요!
초자는 초자 자체로써 이해하려한다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서체가 발전하면서 점획의 생략과 대체가 이루어져 추상적으로 변하였기 때문입니다. 특히 초서는 전서·예서·행서·해서의 영향 하에서 생략되어 일정한 부호로 대체되었으므로, 일정한 부호를 규명하여 장악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각자가 이미 소개한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초서입문 34쪽 좌방 (1) 人字符의 원리를 규명해 보시기 바랍니다.
좌방 인자부의 대표부호 형태와 같은 초법은 이 외에 水부, 言부와 須자의 삼(터럭삼)부, 豫자의 予부, 頃자의 匕부, 露자의 足부, 張자의 弓부 등도 그러하니, 참고하시고 왜 좌방 인자부의 대표부호와 같게 쓰였는지 규명하여보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아래의 6가지 내용은 이미 올린 [초서의 자법]에 있는 내용이니, 다시 한번 읽어보시고, 초자법의 원리를 규명하고자 할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筆畫과 結體 일부분의 생략
2) 점획의 代替
3) 邊防 병합
4) 한 글자의 여러 사법
5) 錯位와 揖讓
6) 筆順 변화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어렵네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