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XP 파티션, 포맷, 설치하기
우선 하드디스크의 중요한 데이터를 시스템 드라이브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나 CD롬, 외장하드 등으로 백업해 둔다. 그리고 인터넷 선을 컴퓨터와 분리해 둔다. 또는 모뎀의 전원을 꺼둔다.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때문에 다 설치하고도 다시 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 비디오, 오디오, 랜, 기타 장치의 드라이버들을 미리 구해서 시디나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을 다른 드라이브에 저장해 둔다. 제어판 - 시스템 - 하드웨어 - 장치관리자 에서 어떤 장치들이 있는지 알 수 있다. 비디오, 사운드, 특히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만큼은 반드시 구해둔다.
●파티션(Partition) :: 하드디스크 전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드라이브로 나누는 작업이다다. 교무실이나 사무실을 보면 부서별로 개인별로 또는 기능별로 파티션을 나눈것을 볼 수 있다. 하드디스크도 이와 마찬가지로 시스템드라이브, 데이터 드라이브, 작업용 드라이브 등으로 나눠서 사용할 수 있다.
●포맷(Format) :: 파티션작업을 했으면,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하는 과정이다. 봄에 밭에 작물을 심기 위해서 밭은 갈아 엎는 것과 비슷하다. 파티션을 변경했으면 반드시 포맷을 해 주어야 하고, 변경하지 않았으면 빠른 포맷으로 해도 무방하다.
부팅이 가능한 엑스피 설치 윈도우 시디를 넣고 재부팅을 한다.
절대 윈도우가 구동된 상태에서 설치를 하지 않는다. 이럴경우 포맷, 파티션 작업을 할 수 없다.
시스템을 켜면 처음에 아주 잠깐 셋업 하려면 del키(또는 f2)를 누르세요. 라는 메세지가 나온다. 이때 해당하는 키를 누르면 시모스(cmos) 설정으로 들어간다.
부팅관련 메뉴를 찾아서 첫번째 부팅디바이스를 CD롬으로 변경하고 저장한다. 요즘의 컴퓨터들은 거의 처음 부팅디바이스가 시디롬이다. 본인이 변경한 경우가 없으면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시디롬으로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엔 설정하기 바란다.
저장하고 종료하면 다시 부팅된다. 위의 단계를 지난 다음
"press any to boot from CD-ROM~~" 이런 메세지가 나온다. 이때 아무키나 눌러주면 설치가 시작된다. 윈도우 정품이 아닌 경우 시디에 따라 위의 단계를 건너뛰고 윈도우 버전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설치하고자 하는 버전을 선택해 주면 된다.
다름과 같이 시디롬으로 부팅을 한다.

윈도우 라이센스 화면이 나오면 f8키를 눌러 다음으로 넘어간다.
윈도우 설치가 시작되었다. 파티션(partition)작업을 하는 부분이다. 아랫부분에 드라이브에 대한 설명이 있다. 드라이브가 여러개이면 반전된 부분을 위아래로 움직여서 작업하고자 하는 드라이브를 선택할 수 있다.
화면을 잘 읽어보면 파티션 작업을 하지 않고 그냥 설치하려면 엔터키를, 분할되지 않은 공간에 파티션을 만들려면 C키를, 파티션을 지우려면 D키를 누르라면 설명이다.
전체를 C드라이브로해서 시스템을 설치하려면 엔터키를 누르면 된다.
그러나 수십~수백에 이르는 용량을 모두 C드라이브로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낭비이다.
C키를 눌러서 본인이 원하는 용량만큼 C드라이브를 생성한다. 10기가를 할당하려면 10*1024식으로 계산하면 된다.
파티션 작업을 완료했으면 다음은 드라이브를 포맷하는 과정이다.
새로 파티션 작업을 했으면 아랫부분의 ntfs나 fat로 포맷을 선택하고(엑스피의 모든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ntfs로), 파티션 변경없이 새로 설치할 경우는 위쪽의 빠른 포맷으로 한다. ntfs나 fat중 본인이 원하는 것을 골라서 포맷하면 된다.
포맷이 진행중이다.
포맷을 완료하면 설치에 필요한 파일들을 하드디스크로 복사한다.
복사가 완료되면 다음을 거쳐 시스템이 다시 시작된다.
시스템이 다시 시작되는 화면이다.
윈도우가 구동되고 설치 화면이 시작되었다. 약간의 시간이 경과된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윈도우 설치마법사를 시작하는 화면이다. 그냥 다음을 클릭
국가 및 언어를 선택하는 부분이다. 다음을 클릭하고 다른 국가와 언어를 선택하려면 사용자지정을 눌러서 원하는 언어로 변경한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한다. 원하는 대로 입력하면 된다. 소속은 안 넣어도 무방.
네트워크에서 내컴퓨터가 사용할 이름이다. 네트웍에 중복되지 않는 이름으로 입력한다. 설치후 변경할수도 있다. 아랫부분은 관리자(administrator)용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본인이 사용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절대 잊어버리지 않도록 잘 기억한다. 시스템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날짜와 시간을 설정한다. 맞으면 다음을 클릭
윈도우가 설치중이다. 그냥 기다리면 된다.
설치가 거의 완료되었다. 잠시후에 다시 시스템을 시작한다.
윈도우가 시스템에 맞는 화면 해상도를 찾는다. 확인을 클릭
글씨가 제대로 보이면 확인을 누른다.
윈도우 처음 시작화면이다. 멋지게 애니메이션된다.
윈도우 sp2가 설치되었을 경우의 화면이다. 오른쪽 아래부분의 다음을 클릭.
나중에 다시 알림을 누르고 다음을 클릭
윈도우 사용자를 입력한다.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을 누른다.
설치과정이 끝났다. 마침을 누르면 위에서 입력한 사용자로 로그인한다.
모든 설치가 끝나고 사용자로 로그인 했다. 이제 비디오, 사운드,기타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된다.. 드라이버를 모두 설치했으면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인터넷을 연결한다.
윈도우 설치가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몇번 해보면 가이드 없이도 혼자서 얼마던지 설치할 수 있다.
=============================================================================
===============================================================================
설치를 다 했고, 드라이버, 각종 프로그램들도 설치했고, 딱 이상태가 쓰기 좋다 싶을땐
고스트를 이용해서 현재의 상태를 백업해보자.
고스트를 이용하면 이렇게 복잡하고 오래 걸리지 않고 단 몇분으로 포맷하고 재설치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