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산김씨 상계 세계도 | |||||||||||||
|
| (1세) |
| (2세) |
| (3세) |
| (4세) |
| (5세) |
| ||
|
| 興光 |
| 軾 |
| 佶 |
| 峻 |
| 策 |
| ||
|
| 新羅45代 神武王의 셋째아들 | ═ |
| ═ |
| ═ |
| ═ |
| ═ | ||
|
| 金閼智23세 (839) |
| 角干 |
| 三重大匡司空 |
| 三重大匡左僕射 |
| 文貞公 |
| ||
|
|
|
|
|
|
|
|
|
|
|
| ||
|
| (6세) |
| (7세) |
| (8세) |
| (9세) |
| (10세) |
| ||
|
| 廷俊 |
| 良鑑 |
| 若溫 |
| 琁 |
| 正 |
| ||
| ═ |
| ═ |
| ╦ |
| ═ |
| ═ |
|
| ||
|
| 門下侍郞 平章事 |
| 文安公 | ║ ║ | 思靖公 |
| 兵府侍郞 |
| 戶府侍郞 |
| ||
|
|
|
|
| ║ |
|
|
|
|
|
| ||
|
|
|
|
| ║ | 義元 |
| 光中 |
| 蔕● |
| ||
|
|
|
|
| ╚ |
| ═ |
| ═ |
| ═ | ||
|
|
|
|
|
| 忠貞公 |
| 秘書監 |
| 順安縣令 |
| ||
|
|
|
|
|
|
|
|
|
|
|
| ||
|
| (11세) |
| (12세) |
| (13세) |
| (14세) |
| (15세) |
| ||
╔ ║ ║ ║ ══╣ ║ ║ ║ ╚
| 位 |
| 光世 |
| 鏡亮 |
| 須(1270) |
| 台一 |
| |||
皇追封 | ═ | 左僕射 | ═ | 贈門下平章事 | ╦ |
| ╦ |
|
| ||||
尙書令 |
| 中郞將 |
| 大將軍 | ║ | 監察御使 | ║ | 錄事參軍 |
| ||||
|
| 皇追封尙書 |
|
| ║ |
| ║ |
|
| ||||
|
|
|
|
| ║ | 周鼎 | ║ | 台鉉● |
| ||||
|
|
|
|
| ╚ |
| ╚ |
| ═ | ||||
|
|
|
|
|
| (文肅公派祖) |
| (文正公派祖) |
| ||||
|
|
|
|
|
|
|
|
|
| ||||
珠永 |
| 光存 |
| 大鱗 |
| 珪 |
| 仁元 |
| ||||
| ═ |
| ═ |
| ╦ |
| ═ |
|
| ||||
增戶部尙書 |
| 上護軍 |
| 贈門下侍郞 平章事 | ║ ║ | (郎將公派祖) |
| 郎署 |
| ||||
|
|
|
|
|
|
| ║ |
|
|
|
| ||
|
|
|
|
|
|
| ║ | 璉 |
| 士元 |
| ||
|
|
|
|
|
|
| ╚ |
| ╦ |
|
| ||
|
|
|
|
|
|
|
| (良簡公派祖) | ║ | 貞景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士亨 |
| ||
|
| (16세) |
|
| (17세) |
|
| ╚ |
|
| |||
|
| 光軾(摠部議郞公) |
|
|
|
|
|
| 參知政事 |
| |||
台鉉 | ═ | 光轍(文敏公) |
|
|
|
|
|
|
|
| |||
光載(文簡公)● | ╦═══ | 興祖(軍器監) |
|
|
|
|
| ||||||
|
| 光輅(嘉安府錄事公) | ╚═══ | 胤祖(禮部議郞) | : | 入島祖(1368)● |
|
|
| ||||
|
|
|
|
|
|
|
|
|
|
|
세(世) | 落鄕代 | 항렬(行列) | 세(世) | 落鄕代 | 항렬(行列) | 세(世) | 落鄕代 | 항렬(行列) |
30 | 13代 | 萬(만)○ | 40 | 23代 | ○中(중) | 50 | 33代 | ○坤(곤) |
31 | 14代 | 鎭(진)○ | 41 | 24代 | 善(선)○ | 51 | 34代 | 銖(수)○ |
32 | 15代 | ○澤(택) | 42 | 25代 | ○淳(순) | 52 | 35代 | ○洪(홍) |
33 | 16代 | 相(상)○ | 43 | 26代 | 東(동)○ | 53 | 36代 | 種(종)○ |
34 | 17代 | 箕(기)○ | 44 | 27代 | ○煥(환) | 54 | 37代 | ○憲(헌) |
35 | 18代 | 在(재)○ | 45 | 28代 | 奎(규)○ | 55 | 38代 | 重(중)○ |
36 | 19代 | ○鉉(현) | 46 | 29代 | ○鏞(용) | 56 | 39代 | ○欽(흠) |
37 | 20代 | 영(永)○ | 47 | 30代 | 淵(연)○ | 57 | 40代 | 泰(태)○ |
38 | 21代 | ○洙(수) | 48 | 31代 | ○植(식) | 58 | 41代 | ○杰(걸) |
39 | 22代 | 容(용)○ | 49 | 32代 | 炯(형)○ | 59 | 42代 | 炳(병)○ |
♠광산김씨제주편
◈입도시조의 유래
문정공(文正公)과 문간공(文簡公)
○ 문정공 태현(1261년 원종 2년~1330년 충숙왕 17년)
자(字)는 불기(不器), 감찰어사(監察御使) 수(須)의 아들이며 문정공파의 파조(派祖)가 된다. 원종(元宗) 2년(1261)에 김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1275년(충렬왕 1년) 15세의 어린 나이에 감시(監試)에 수석(首席)으로 합격했고 이듬해 대과(大科)인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세상을 놀라게 했던 인물로서 시호(諡號)는 문정공이며 저서는 동국문감(東國文鑑)(고려사). 판도총랑(版圖摠郞)과 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한 뒤 밀직부사(密直副使)와 판삼사사(判三司使)를 거쳐 충숙왕때에는 그 벼슬이 평리(評理), 권정동행(權征東行) 성사(省
事)와 중찬(中贊)에 올랐으며 후에 문하시중(門下侍中)과 수문관(修文館) 대제학(大提學)등을 역임한 명신(名臣)으로 학문(學問)과 지절(智節)이 높았으며 슬하에 네 분의 아드님(광식=光軾, 광철=光轍, 광재=光載, 광로=光輅)을 두었는데 모두가 현달(顯達)하여 대과급제(大科及第)하고 두 분이 문자시호(광철=문민공<文敏公>,광재=문간공<文簡公>)를 받았으니 부자 양대에 문자시호가 세분이 나와 명문대가의 체통을 이어 나갔다. 유택인 묘소는 경기도 개풍군 중면 대룡리 덕운산에 안장되어 있으나 38선 장벽으로 부득이 후손들의 성금으로 전남 광산군 풍영정에 단소(壇所)를 마련하여 음력 3월 10일에 전국 각처에서 모인 자손들에 의해 엄숙히 단향제(壇享祭)를 지내고 있다.
○ 문간공 광재( ~1363년 공민왕2년)
자는 자흥(子興), 호는 송당(松堂), 대제학(大提學) 문정공의 셋째 아들
고려 충선왕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학관(成均學官)이 되고 충혜왕이 원나라에 갈 때 호종(扈從)한 공으로 사복시승(司僕侍丞)에 승진되고 이어 도관정랑(都官正郞)이 되었다. 신돈의 난이 평정된 후 원나라에 잡혀가는 왕을 모시고 갔다가 돌아와 군부총랑판전교사사(軍簿總郞判典校寺事)에 이르렀으나 간신들의 모함을 받아 파직당했다. 1344년 충목왕이 즉위하자 우부대언(右副代言), 지신사(知申事)<지금의 대통령비서실장격>, 판도판서(版圖判書)<지금의 장관>, 밀직부사(密直副使)등을 역임했으며 1348년 충정왕이 즉위한 해에 서연(書筵)이 설치될 때 그 사부(師傅)가 되었으나 사양했다. 뒤에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어 인사권을 맡았던 광재는 한때 벼슬을 그만 두는 시련을 겪기도 했으나 그후 삼사우사(三司右使)로 다시 등용되어 정방에서 문선(文選)과 무선(無線)을 총괄하는 폐단을 시정하고 전리판서(典理判書)를 겸직했고 뒤에 대제학(大提學)에 올랐다.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하자 은퇴했으며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노막(盧幕)에서 상(喪)을 마쳐 왕명에 의해 그가 사는 곳을 영창방효자리(靈昌坊孝子里)로 정표(旌表)되었다. 시호는 문간공(고려사)
○ 향락과정(鄕落過程)
문간공(文簡公) 광재(光載)는 슬하에 흥조(興祖)와 윤조(胤祖) 두 아들을 두었는데 차자(次子) 윤조가 낙향시조가 된다.
◎ 흥조( ~1368년 공민왕 17년)
정의의 칼을 들었던 흥조는 일찍이 군기감(軍器監)을 거쳐 수원(水原)과 해주(海州)의 수령(守令)을 지냈다. 홍건적(紅巾賊)의 침입때 남행하는 왕을 호종(扈從)한 공로로 1363년(공민왕12년) 호종공신(扈從功臣) 2등에 책훈되었다. 1368년(공민왕17년) 이 해는 괴승(怪僧) 신돈(辛旽)이 영도첨의사사사(領都僉議使司事)에 오른지 4년째 되는 해로 어지러운 정세를 틈타 모든 권력이 그의 수중에서 농락되고 있을 때였다. 사랑하는 왕비 노국공주(魯國公主)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진 공민왕은 그 영특하던 품성(品性)이 온데 간데 없이 사라져 방종(放縱)의 나날을 보내는 가운데 5백년 고려사직(高麗社稷)이 뿌리 채 흔들리고 있었다. 흐트러진 기강을 바로 잡기 위해 이존오(李存吾), 정추(鄭樞)등 대신들이 상소를 올리는 등 신돈을 몰아내기 위한 숙정운동이 전개되었으나 역부족으로 오히려 모함을 받아 원지에 유배되거나 죽임을 당하는 등 충신(忠臣)들의 수난이 끊이지 않았다. 우부대언(右副大言) 김정(金精), 조사공(趙思恭), 유사의(兪思義), 김제안(金齊顔)등과 함께 간신 신돈을 죽이기로 하고 그 준비를 서둘다가 모의가 탄로되어 순군옥(巡軍獄)에 긷혔다가 장류(杖流)되는 도중 신돈이 보낸 하수인에게 피살(被殺)되었다.(고려사)
◎ 윤조
제주에 오게 된 것은 형의 참화를 목격, 멸문지화(滅門之禍)를 면하고 고려조정에는 더 기대해 볼 것이 없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이 1368년의 일이다. 구좌면 김녕리에 기착하여 훈학(訓學)에 힘쓰는 한편 예의와 효도를 숭상하여 그 덕이 높았으며 만년에 한동쪽으로 옮겨 조씨와 같이 지금의 한동웃쪽 속칭 감남굴에 개촌하여 그 곳에서 별세하였다고 하며 제자들이 안장(安葬)시켜 주었다고 전한다. 묘소는 구좌면 서김녕리 359-2 고살뫼(화산악)에 위치하며 고려 양식인 석랑방묘(石廊方墓)(605평). 묘제는 음3월 15일에 많은 자손들이 참배하여 거행된다.
묘;구좌면김녕리화산록건좌쌍폄(墓;舊左面金寧里花山麓乾坐雙窆)
입도조묘역---묘산봉
광산김씨 입도조인 김윤조의 묘역은 서김녕리 고살미오름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고살미오름형국자체가 마치 고양이가 꼬리를 사려 누운 모습이다. 그런 연유에서인지 괴살메, 묘악(描岳), 묘악산(描岳山), 묘산오름, 또는 화산악(花山岳), 꽃살메등으로 불린다. 최근에는 3개 관광단지․10개 관광지구의 하나인 묘산봉으로 이름나 있다. 풍수서를 보면 날짐승, 들짐승등의 유형을 갖춘 용맥의 경우 정혈(定穴)장소로서 날개, 둥우리, 머리, 이마, 벼슬, 꼬리등이 출중하다고 한다. 김윤조의 묘는 바로 고양이 꼬리 부분에 정혈돼 있다. 가히 고살미오름의 명당을 차지한 것이다. 이에 대해 풍수연구가 지창룡(池昌龍)씨는 후손들의 초청을 받아 이곳의 지형지세등을 논산(論山)한바 있다.
이 내용은 언급한바 있기에 생략하고 다만 필자가 이를 풀어 요약 소개해보면 다음과 같다.(註=지맥 연재28~29회 참조) 「입도조묘는 좌청룡, 우백호에 휘둘러 감싸져 있다. 그러나 청룡 맥보다는 백호맥이 힘차다. 이는 청룡맥이 고살미오름뒤 마을쪽으로 돌아오면서 끊어질 듯 하다가 다시 맞은편에 있는 입산봉으로 이어져 있는 반면, 백호맥은 중산간일대의 형제봉, 웃바메기오름, 알바메기오름, 체오름 등으로 이어져 오면서 둔지봉까지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이어진 맥의 모습등이 마치 구슬이 연이어 꿰맨 듯 정혈을 향하여 마주하고 있다. 다시 혈처로 돌아와 정북서 방향에서 정혈 5~6보 못 미쳐 입수하니 좌향이 건좌손향(乾左巽向=북서방향에 앉아 동남쪽을 바라봄)이다. 여기서 곧바로 내려다보게 되면 저 멀리 둔비봉이 안산으로서 역할을 톡톡이 한다. 산봉우리가 위로 뾰족 나왔다는데서 이름 지어진 둔지봉은 이름 그대로 책상에 붓을 세운 듯 문필봉의 형국을 이뤄 가문에 문장가가 많이 배출된다는 것이 풍수적 해석이다.(중략)」
<제주신문 1996년 1월 12일자 5면 지맥 123호>
◈문정공파계통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세) |
| (15세) |
| ||
|
|
|
|
|
| 須(1270) |
| 台一 |
| ||
|
|
|
|
|
|
| ╦ |
|
| ||
|
|
|
|
|
| 監察御使 | ║ | 錄事參軍 |
| ||
|
|
|
|
|
|
| ║ |
|
| ||
|
|
|
|
|
|
| ║ | 台鉉● |
| ||
|
|
|
|
|
|
| ╚ |
| ═ | ||
|
|
|
|
|
|
|
| (文正公派祖)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세) |
| (16세) |
|
| (17세) |
|
|
| |||
|
| 光軾(摠部議郞公派) |
|
|
|
|
|
| |||
台鉉 | ═ | 光轍(文敏公派) |
|
|
|
|
|
| |||
光載(文簡公派)● | ╦═══ | 興祖(軍器監) |
|
|
| ||||||
|
| 光輅(嘉安府錄事公派) | ╚═══ | 胤祖(禮部議郞) | : | 入島祖(1368)● |
| ||||
|
|
|
|
|
|
|
|
|
▶ 기 섭(基燮)
1868년∼1940년, 73歲, 애월읍 동귀태생(東貴胎生)이며 치홍(致弘)의 차남으로 33世이다. 애월풍헌(涯月風憲)을 지냈으며 사재(私財)로 제주향교 外성(城)을 重修한 바 있으며, 상수(庠洙), 기문(基汶) 宗人과 더불어 임술보(壬戌譜: 1922年)를 편찬 발간 계해년(癸亥年: 1923年)에 이르러 비로소 합보(合譜)할 수 있었다. 효행이 남과 달랐으며 儒學에 조예가 깊었던 그는 시종일관 和와 信으로 종가(宗家)의 수범(垂範)이 되었다. 다호(多好)에 살았으므로 多好金風憲이라 稱하였다. 계리사(計理士)였던 달관(達寬)이 그의 장남이다.
◈광산김씨28세통덕랑휘복석공파문중회회칙
제1장 總 則(총칙)
제1조(명칭) 본회는 광산김씨(光山金氏) 28세 복석공파(福錫公派)문중회(이하 “본회“라 함)라 칭한다.
제2조(목적) 본회는 조상의 유지를 숭상하며 회원 간 돈독하고 바른 예절의 인성을 함양하여 본회의 현양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사업) 본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한다
1. 선영의 재산 관리사업
2. 묘제봉행 및 숭조에 관한 사업
3. 문중회의 현양과 회원 간 친목사업
4. 기타 본회의 목적에 관한 사업
제4조(회원)
1.정회원은 국내에 거주하는 광산김씨 28세조 복석공파(福錫公派) 만20세 이상의 후손으로 한다.
제5조(권리와 의무)
1.정회원은 본회의 선거권 및 피선거권과 기타 소정의 발언권, 의결권을 가진다.
2.회원은 본 회칙을 준수하여야 하며 사업수행에 적극 참여할 의무를 갖는다.
제6조(사무실)본회의 사무실을 제주시에 둔다.
제2장 會 議(회의)
제7조(회의종류)본회는 1.정기총회 2.임시총회 3.이사회를 둔다.
제8조(총회)
1.총회는 최고의결기관으로 다음의 기능을 갖는다.
⑴ 임원선출 ⑵ 회칙제정 및 개정
⑶ 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⑷ 사업계획의 승인
⑸ 예산 및 결산 승인 ⑹ 기타 중요한 사항
2.총회소집
⑴ 정기총회는 매년 1회 2월에 회장이 소집한다.
⑵ 임시총회는 필요에 따라 회장 또는 이사 1/3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회장이 소집한다.
⑶ 총회의 의결은 재적회원 과반수이상의 참석과 참석회원 과반수이상의 찬동으로 의결 처리한다.
제9조(이사회)
1. 이사회는 본회의 집행기관으로 회장, 부회장, 및 이사로 구성하여 다음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⑴ 회비부담에 대한 심의 ⑵ 총회에 부의할 안건 심의
⑶ 총회의 의결사항의 처리 ⑷ 기타 제반 안건의 심의
2.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회장이 소집하고 2/3이상의 참석과 참석이사 과반수이상의 찬동으로 의결 처리한다.
제3장 任員 및 機構(임원 및 기구)
제10조(임원 )
1.본회는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다음의 임원을 둔다.
⑴ 회장 1인 ⑵ 부회장 2인 ⑶ 이사 5인
⑷ 감사 2인 ⑸ 고문 약간 명
제11조(임원선출)
1. 회장, 부회장, 이사,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한다.
2. 부서담당자는 이사회에서 선출 임명한다.
3, 고문은 본회 육성발전에 공이 있는 자 또는 덕망이 있어 본회 자문에 기여할 자를 회장이 위촉 승인을 받는다.
제12조(임원의 임기)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단 연임 할 수도 있다.
제13조(임원의 임무)
1. 회장은 본회를 대표하며 회무를 총괄하고 각종 회의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은 회장을 보좌하고 회장이 유고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3. 감사는 본회의 회무일체를 감사하고 회의 시 보고하며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단 필요시 수시 감사 할 수도 있다.
4. 이사는 회원 간 연락 및 제반회무의 의결권을 갖는다.
5. 고문은 회장의 자문에 응하며 각종 회의 시 참석 의견을 진술 할 수 있다.
제14조(기구)본회의 회무를 실무 처리하기 위하여 기구를 다음과 같이 둔다.
1. 총무부는 본회의 재산관리 및 사업추진과 서무일체 업무를 집행한다.
2. 재무부는 본회의 회계에 관한 업무를 집행한다.
3. 섭외부는 숭조사업 및 현양사업을 집행한다.
제4장 財 政(재정)
제15조(재정 )본회의 재정은 회원의 회비와 재산상의 수입, 헌성금과 이자로 충당한다. 단 현금은 회장명의로 은행에 예치한다.
제16조(회계연도) 본회의 회계연도는 매년 2월1일부터 익년 1월말까지로 정한다.
제5장 附 則(부칙)
제17조(비치문서)본회는 다음의 문서 및 장부를 비치 보존한다.
1. 문중회칙철 2. 예규철 3. 재산관리대장
4. 비품관리대장 5. 헌성금자대장 6. 도서대장
7. 회원명부 8. 금전출납부 9. 수입 및 지출결의서철
10. 각종문서철 11. 문서대장 12. 각종 회의록철
제18조(미비사항)본 회칙에 미비된 사항은 통상관례에 준한다.
제19조(시행)본 회칙은 총회의 인준을 받은 날로(2005년 2월 1일)부터 시행한다.
2005년도 임원 : 고문 : 동규, 회장 : 상규, 부회장 : 형규, 병옥
이사 : 판규, 수웅, 봉효, 병희, 윤석 감사 : 병훈, 형희
총무부 : 판규 재무부 : 봉효
섭외부 :
◈문중회예규
광산김씨28세 통덕랑 복석공파 문중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예규를 제정하여 실행토록 한다.
1. 명절
(1) 명절은 전례에 준하여 지낸다.(음력으로 국가지정 설날)
(2) 설 및 추석명절은 음력으로 지낸다.(국가제정에 준함)
(3) 조상명절의 참례(집안 도제로 가름)는 시대의 변천에 따라 33세 조상님의 순서에 의거 순번제로 참례한다.
2.기일제
(1) 기일제는 점차 양력으로 정하여 당일제(20:00 술시;戌時)를 권장한다.
(2) 제례시 지방게시가 원칙이나 사진으로 대신하여도 무방하다.
(3) 3대 조상까지 기일제를 봉행함을 권장한다.
3.묘제
(1) 식목일이 국가 공휴일에서 삭제됨에 따라 2007년부터 4월 첫째 일요일 10시에 묘제를 지낸다.
(2) 초헌관은 장종손이 원칙이나 묘제 제수 제공한 가정을 초헌으로 정함도 가능하다.
(3) 묘 제수 제공은 33세 조상님의 순서에 따라 순번제로 책임진다.
(4) 묘 제수 비용은 (3)항에 준하나 문중회에서 염출한다.
4.벌초
(1) 직존속 및 비속의 벌초를 원칙으로 한다.
(2) 모듬 벌초는 2008년부터 음 8월 1일 이후 첫 일요일로 정한다.
(3) 벌초 예초기는 4개를 구비 33세 조상님 직계가족이 관리한다.
(4) 모듬벌초의 주식 및 저녁비용은 문중회에서 지출한다.
(5) 33세 조상님의 순서에 따라 순번제로 다음 사항들을 시행한다.
(ㄱ) 32세 조상님의 벌초(어승생 및 궤묘악묘)
(ㄴ) 모듬 벌초 때 각묘의 제수진설
(ㄷ) 모듬 벌초 때 간식 및 식음료제공
5.회원
(1) 회원은 회칙 4조 (회원) 1항으로 하되 회비납부회원으로 한다.
(2) 해외거주 복석공파 후손도 회칙을 찬동하면 회원으로 인준한다.
(3) 선거권, 피선거권, 의결권은 전 (1)항 및 (2)항의 회원과 세대주(비회원)에게 각 한 표의 권한을 부여한다.
6.회비
(1) 회칙 제1장 총칙 제4조(회원) 및 제4장 재정 제 15조(재정)에 의거 회비를 매년 징수하여 문중회 재원으로 삼는다.
(2) 회비액수는 이사회를 거쳐 총회의 승인을 받는다.
7.부칙
(1) 본 예규는 2006년 4월 1일부터 시행하며 미비된 사항은 통상관례에 준한다.
(2) 2항 (1), 3항 (1)을 2007, 4, 1 묘제때 개정 시행한다.
(3) 3항 (2), 4항 (2)을 2009, 9, 9 벌초때 개정 시행한다.
◈문중회연혁
(35세 상규회장님작성)
차례 | 년 월 일 | 연 혁 | 비고 |
1 | 71년 1월18일 | 35세 동규님께서 집안의 결속을 위해 집안의 대표 겸 총무 및 재무 등을 모두 맡아 솔선수범, 경비를 염출하기에 이름 |
|
2 | 73년 1월 일 | 35세 명규님, 동규님, 36세 병익님의 모친님 등 세분께서 가족공동묘지를 매입하자는 논의와 합의하에 친족들이 찬조금을 조성하여 현 묘지를 매입하기에 이르다. |
|
3 | 73년 3월21일 | 35세 동규님이 주동이 되어 묘지를 매입하여 묘지조성, (9필지 9인 명의)등기(제주시오라2동3639번지, 임야 17,409㎡ (5,266평)) 제비용(₩1,208,066) |
|
4 | 73년 4월20일 | 일본 친족님의 찬조금(₩760,371+₩23,500) |
|
5 | 73년 5월 6일 | 36세 병익님 모친 찬조금(₩240,500) |
|
6 | 73년 7월17일 | 35세 성규님 찬조금(묘지대 희사:₩150,000) |
|
7 | 73년 9월22일 | 선조님(28세복석조부님,34세달삼조부님)이묘(₩107,940) |
|
8 | 74년 4월 5일 | 36세 병만님 알선으로 묘지 울타리에 3년 간 방풍림조성(삼나무:2회, 편백:1회) |
|
9 | 74년 8월11일 | 34세 달삼님묘 이묘보조금(₩20,000) |
|
10 | 71년 ~74년 | 여러 친족 찬조금(₩350,000) |
|
11 | 75년 7월30일 | 34세 달희님 찬조금(₩170,000) |
|
12 | 75년........ | 36세 병익모(박진상님) 광산김씨대종회장의 효부상 받음 |
|
13 | 80년 8월 5일 | 벌초기 기증(병익님:1대, 일본친족님:1대) |
|
14 | 80년 9월 5일 | 35세 용욱님 부친 장례시 묘지조성찬조금(₩500,000) |
|
15 | 80년 9월16일 | 35세 상규님 집안 총무 밎 재무 담당 |
|
16 | 84년 8월 2일 | 35세 장안님 모친 입묘 찬조금(₩500,000) |
|
17 | 85년 7월15일 | 36세 옥화님(출가) 모친 입묘 찬조금(₩500,000) |
|
18 | 87년 8월 3일 | 36세 병익님 모친 입묘 찬조금(₩500,000) |
|
19 | 87년 9월14일 | 벌초기 구입(36세 병희님 관리:₩270,000) |
|
20 | 89년 8월24일 | 벌초기 구입(36세 병옥님 관리:₩260,000) |
|
21 | 91년 8월 5일 | 35세 인규님 알선으로 가족묘지 옛진입로 복원 및 매입확장후 포장(새마을사업 ₩2,200,000) |
|
22 | 91년 9월22일 | 36세 희철님 모친 찬조금(₩500,000) |
|
23 | 92년 8월24일 | 34세 달희님 자 35세 문규님 찬조금(₩307,000) |
|
24 | 93년 9월 3일 | 벌초기 구입(36세 수웅님 관리:₩290,000) |
|
25 | 95년 4월 5일 | 기계톱 구입(상규님 관리:₩300,000) |
|
26 | 96년 봄 | 우리 집안 가승 초판 제작(35세 판규님) |
|
27 | 96년 2월22일 | 35세 형규님 부친 찬조금(₩5,000,000) |
|
28 | 96년11월 7일 | 35세 동규님 찬조금(₩10,000,000) |
|
29 | 97년 8월 5일 | 35세 인규님 알선으로 가족묘지 진입로 매입 및 포장(새마을사업;₩2,200,0000) |
|
30 | 97년 8월23일 | 35세 은규님 찬조금(₩10,000,000) |
|
31 | 97년12월31일 | 비행장 밭 보상금(₩41,119,542) |
|
32 | 98년 3월13일 | 36세 옥화님(출가) 찬조금(₩1,500,000) |
|
33 | 98년 5월11일 | 가족묘지 정지작업(₩2,888,000) |
|
34 | 98년 9월 2일 | 벌초기 구입(장안님 관리:₩370,000) |
|
35 | 99년 4월 9일 | 외도절뒤묘(29세은행 조부모님) 2기 보상금(₩4,910,000) |
|
36 | 99년 4월 9일 | 외도 조상묘 2기 이묘(도시계획상:₩3,628,600) |
|
37 | 00년 8월29일 | 벌초기 구입(병희님 관리:₩360,000) |
|
38 | 01년 1월24일 | 35세 상규님 부친 찬조금(₩10,000,000) |
|
39 | 01년 3월23일 | 연동 동산묘(2기)이묘 찬조금(36세 수웅님 37세 형백님 모친 :₩1,000,000) |
|
40 | 01년 9월10일 | 벌초기 구입(상규님 관리:₩330,000) |
|
41 | 02년 4월 5일 | 제단비문초안작성(35세 동규님, 상규님, 판규님) |
|
42 | 02년 4월13일 | 가족묘지 주차장 정지작업(₩2,895,000) |
|
43 | 02년 5월 7일 | 36세 희철님 찬조금(₩1,000,000) |
|
44 | 02년 5월 | 36세 희탁님 흙 20트럭 매립(₩1,500,000상당) |
|
45 | 02년 8월19일 | 벌초기 구입 2개(병옥님, 수웅님관리:₩740,000) |
|
46 | 02년 8월19일 | 36세 병익님부인(일본거주 정자여사찬조금(₩10,000,000) |
|
47 | 03년 4월 5일 | 가족묘지 제단 조성(₩12,249,860)(상규님, 병옥님) |
|
48 | 04년 2월 6일 | 문중회칙 초안 작성(동규님, 상규님, 판규님, 봉효님) |
|
49 | 04년 3월10일 | 가족묘지 정문 공사(₩1,900,000) |
|
50 | 05년 1월27일 | 문중회 창립 고문:동규, 회장:상규, 부회장:형규,병옥, 감사:병훈,형희 이사:판규, 수웅, 봉효, 병희, 윤석 총무부:판규, 재무부:봉효, 섭외부:형희, |
|
51 | 07년 1월22일 | 광산김씨28세복석공파후손문중회 등록필:제주시장 (부동산등기용등록번호:111120-9111040) |
|
52 | 07년 3월23일 | 정기총회에서 2대 임원 전원 유임 |
|
53 | 07년 4월26일 | 오라동 가족공동묘지를 문중회로 이전등기 (37세형백도움) 소요경비:₩5,325,040 |
|
54 | 08년 3월13일 | 다호밭(도두2동 110-2 및 104-2 : 5,651㎡ )을 문중회로 이전등기(형백도움) 소요경비:₩1,141,590(3,831㎡) |
|
55 | 09년 3월19일 | 정기총회에서 3대 임원 전원 유임 |
|
56 | 09년 | 우리 문중회 가승 2판 제작(판규님) |
|
♠32세 휘 치홍공 직계 실제편
한란지치용파통덕랑휘복석공(漢蘭旨致鎔派通德郞諱福錫公)편
*윤조(胤祖);17世-제주입도1世
예부의랑(禮部議郞)
墓所:구좌읍 김녕리 화산악(고살뫼)
*견노(堅老);18世-입도2世
천호(千戶)
墓所:구좌읍 김녕리 화산악(고살뫼)
*치남(致南);19世-입도3世
천호(千戶)
배(配); 玄氏 父는 천호(千戶) 덕의(德義)
墓所:구좌읍 한동경 둔지오름
*계충(繼忠);20世-입도4世
어모장군충무위중부부사직(禦侮將軍忠武衛中部副司直),
예조정랑(禮曹正郞)을 겸직했다.
墓所:구좌읍 종달경 존옥이
*귀천(貴泉);21世-입도5世---州派
성종 20년(1489년)생, 어모장군(禦侮將軍)
配; 趙氏, 父는 병절교위의흥위부사용호인(秉節校尉義興衛副司勇好仁)
墓所:구좌읍 세화경 개역이머루
*세응(世應);22世-입도6世
어모장군(禦侮將軍),
配; 高氏 父는 계광(繼光)
墓所:구좌읍 세화경 개역이머루
*수진(守珍);23世-입도7世
명종 11년(1556년) 생, 전력부위(展力副尉) 일작(一作) 어모장군(禦侮將軍)
配;梁氏, 父는 어모장군(禦侮將軍) 자양(自洋), 祖는 현신교위(顯信校尉) 순선(舜善),
曾祖는 창신교위(彰信校尉) 윤학(胤鶴), 外祖는 慶州 金乙宗
墓所:구좌읍 세화경 개역이머루
*경봉(景鳳);24世-입도8世
선조20년(1587년)생, 子는 봉지(鳳之)
시복거괴리금구좌면한동리시야(始卜居槐里今舊左面漢東里是也)
配;高氏, 父는 어모장군(禦侮將軍) 수문장(守門將) 효언(孝彦), 祖는 어모장군(禦侮將軍) 중절(仲節), 外祖는 남평문씨 시봉(時鳳)
墓所:성산읍 시흥경 두산봉
*치용(致鎔);25世-입도9世---제주 향낙 치용파로 분파
광해14년(1622년) 생~숙종22년(1696년) 졸
부친 경봉할아버지의 본가인 구좌읍 한동집을 물려받아 사셨다.
치용할아버지의 묘소가 할라니머루에 있기 때문에 후손인 우리 가문은 제주입도 중시조의 파를 한란지파로 불리어 지게 된 것이다.
墓所:구좌읍 종달경 東巨門岳下 한란지머루
묘비명:선략장군충무위부사과김공지묘(宣略將君忠武衛副司果金公之墓)
配:軍威吳氏 父는 선략장군(宣略將君) 성(晟)
墓所:종달경 두산봉
*계흥(繼興);26世-입도10世
1647년(仁祖25년) 생-1701년(숙종27년) 5월17일 졸
치용의 차남. 계륭(繼隆)의 사촌(四寸)으로 효도와 우애가 남달리 두터웠는데 1675년(숙종元年) 3월에 제주의 흉년을 구하고자 조정에서는 구호곡과 부호군(副護軍) 이선(李選)을 순무어사(巡撫御史)로 보내었다. 李選은 과장(科場)을 설치하여 문과에 김계흥, 고기종(高起宗)을 시취(試取)하여 전시(殿試)에 직부(直赴)토록 하였다. 1676년(숙종2년) 1월(正月) 전시문과(殿試文科)에 급제(及第)하여 벼슬을 권지성균관학유(權知成均館學諭)로 있다가 후에 성균관 전적(典籍)을 역임하고 통정대부(通訓大夫)에 서(敍)하였다. 자는 성경(盛卿), 남학교수(南學敎授)역임. 세화리(細花里)에서 살기 시작함.
配;慶州金氏 父는 흥덕현감번(興德縣監磻)
墓所;성산읍 시흥경 두산봉(斗山峯)에 쌍묘(雙墓)
*택우(澤雨);27世-입도11世
1694년 4월 25일 졸, 계흥(繼興)할아버지의 次男, 윤우의 동생. 통덕랑(通德郞)
墓所;구좌읍 종달리 3217번지 소재 두산봉
配;濟州梁氏 父는 무과사숙(武科師淑)
墓所;조천읍 선흘리 1866 부대악(富大岳)
*복석(福錫);28世-입도12世
통덕랑(通德郞), 택우할아버지의 四男, 창석(昌錫), 정석(鼎錫), 운석(雲錫)의 동생
외도에 경주 이씨집안에 장가들어 우리 친척들이 하귀와 외도에 많이 살게 되었음
가족사항;1남(은행)
墓所;제주시 오라동 3639번지 가족묘지내
配;慶州李氏 父는 무과지발(武科枝發)
墓所;애월읍 광령리 3505번지 퐁낭굴(陽田員) 淑夫人(비석엔 宜人)
*은행(殷行);29世-입도13世
통덕랑(通德郞), 복석할아버지의 외아들
가족사항;1남(익상)
墓所;외도 절뒤(외도리 1755번지)- 외도택지정리구역에 포함이 되어 1999년 5월18일 오라가족공동묘지로 이묘했음,
配;濟州高氏 父는 대유(大裕)---早失
墓所;절뒤-쌍묘로 있다가 같은 이유로 1999년 5월18일 오라가족공동묘지로 이묘, 宜人
配;密陽朴氏
墓所;애월읍 하귀경 선머루(先旨), 宜人
*익상(益相);30世-입도14世
은행할아버지의 외아들
墓所;애월읍 광령리 3531번지 퐁낭굴(서쪽)
가족사항;2남(만록, 만수)
配;濟州梁氏
墓所;제주시 오라동 가족묘지내
配;濟州高氏 父는 인태(仁泰)
墓所;애월읍 고성리 618번지 새미산동산(泉味山)
*만록(萬祿);31世-입도15世
익상할아버지의 장남(長男), 만수(萬守)의 형, 슬하에 자식이 없어 동생 만수의 장자 치홍(致弘)을 양자로 맞음
墓所;애월읍 광령리 3507번지 퐁낭굴, 양전동산(陽田同山)
配;南陽洪氏 父는 수헌(守軒)
墓所;제주시 외도동 2106번지 돌콤쟁이 연대남쪽(박서방밭)
*만수(萬守):31世-입도15世
1817년(丁丑) 생-1849년(己酉) 4월 12일 졸.
익상할아버지의 차남. 만록의 동생. 슬하에 세 아들(致弘,明松,義松)과 두 딸이 있었는데 그중 장남인 치홍이 만록의 양자로 입적이 되어 오늘 날 우리가 있게 되었고 두 사위 이름은 홍재평(洪在平)과 양종하(梁宗河)다(비문참조)
墓所;애월읍 고성리 새미산동산(泉味山員) 胤階下巳坐
配:全州李氏 父는 종하(宗夏), 1817년丁丑생- 己酉 10월 16일 卒---비석발췌
墓所;제주시 외도동 2106번지 조부포(藻腐浦)윗 쪽 南巳坐-하귀와 외도의 경계가 되는 다리 동쪽 옛 술공장터 위 속칭 듬북개
◆32세 휘 치홍공 직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