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아케이로포이에토스(Acheiropoietos)
서방 교회에서도 이와 유사한 아케이로포이에토스 이콘이 전해지고 있다. 즉 십자가의 길에서 성녀 베로니카가 자신의 수건으로 예수의 얼굴을 닦아 주었을 때에 기적적으로 예수의 얼굴의 형상이 그 수건에 새겨 졌다는 것이 그것이다.
'손으로 만들지 않은(아케이로포이에토스)', 또는 '천 위에 주님의 이콘(만딜리온)'은 모든 그리스도 이콘들 가운데 가장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기본적인 그림이다.
이 유형의 그림은 단지 그리스도의 얼굴만 묘사하고 목, 어깨 등은 그리지 않는다. 그리고 긴 머리카락이 얼굴 양 측면으로 타래 모양으로 늘어져 있고 턱수염은 삼각형 모양으로 가지런히 늘어져 있으며 때로는 끝 부분이 2가닥으로 갈라져 있기도 하다. 얼굴의 균형 잡힌 용모는 도식적으로 묘사된다. 입의 아름다운 선은 육감적인 면을 조금도 볼 수 없으며 코는 매우 곧고 길며, 양 눈썹은 활처럼 굽어져 있어 야자 나무를 상기시킨다.
이 이콘은 에데사의 군주 아브가르의 이야기에서 기원된다. 에우세비오의 <교회사> 1권 13장 에 따르면 에데사의 군주 아브가르는 인간의 능력으로는 치유될 수 없는 병에 걸려 점점 죽어가 고 있었다고 한다. 그 때 아브가르는 백성들이 예수의 이름을 끊임 없이 입에 담으며 그의 기적 에 한결같이 찬사를 아끼지 않는 것을 듣고는 시종을 시켜 그리스도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질 병을 낫게 해 달라고 청하였다. 이에 예수는 답신을 보내어 나중에 자신의 제자들 중 한 명을 보 내 그의 병을 치유함과 동시에 그와 그의 가족들에게 구원을 안겨다 줄 것을 약속하였고 또 실제 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동방 교회의 주장에 의하면 이 때 예수는 자신의 얼굴을 한 조각의 아마포에 찍어 답신과 함께 보 냈다고 한다. 따라서 이 이콘은 신의 육화의 증거물이 되었다. 그러므로 787년, 제 2차 니카이아 공의회는 성화상을 존경하는 자는 그것을 통해 그에 표현되는 인물을 존경하고 있다고 가르친다.
지선하신 성자이시여, 당신의 성스러운 얼굴을 예배합니다. 하느님이신 그리스도이시여, 저희들의 죄를 용서해 주소서. 당신께서는 인간의 육체를 지니시고 십자가에 매달리셔서 피조물인 인간들을 적들의 손에서 구원하기를 원하셨나이다. 그 까닭에 저희들은 감사드리옵나이다. 세계를 구원하기 위하여 오신 주여, 부디 저희들을 구원해 주소서.
-8월 16일, 그리스도의 성포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봉헌한 축일의 트리파리온 찬가 중-
2. 전능자 그리스도(Pantocrator)
전능자 그리스도 이콘은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할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비잔티움식 성당의 중앙 돔에 거대하게 모자이크 또는 프레스코화로 그려진다.
이 유형은 반신상으로 묘사되는데 그리스도는 축복하기 위해 오른손을 올리고 있고 왼손에는 성서를 들고 있다. 그의 머리 뒤의 후광 안에는 십자가형이 있고 그 세 모서리에는 '존재자'라 는 헬라어가 씌어져 있으며 그리스도의 어깨 위 양 옆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헬라스어 약자인 IC, XC가 쓰여져 있다. 한편 이 이콘의 전체를 감싸는 원의 테두리에는 대개 <시편> 102장 19절이 쓰여지기도 한다.
야훼께서 저 높은 성소에서 굽어 보셨다. 천상에서 지상을 살펴 보셨다. 갇힌 자들의 신음 소리를 들으시고 죽음에 불린 자들을 놓아 주셨다.
-<시편> 102, 19-
3. 구세주
그리스도의 가슴 정도까지 그려진 이콘을 구세주 이콘이라 한다. 예수의 얼굴의 표현은 화가나 그 시대의 화파의 정신성을 강하게 반영한다.
이 이콘에서 풍성한 머리카락은 불균형하게 좌우로 갈라져서 대담하게 늘어져 있고 넓은 이마와 얼굴에는 힘이 충만하고 부릅 뜬 눈은 정신의 깊이가 엿보이며, 굳게 닫힌 입은 의지의 강함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표정은 결코 엄격한 것만은 아니다. '전능자 그리스도', '손으 로 그리지 않는 그리스도의 얼굴'에 비해 우아함과 자비로운 깊이를 표시하는 그리스도로서 그려 져 있다. 그리고 왼손에 든 성서는 닫혀 있거나 열려 있는데 열려 있는 경우에는 대개 <마태오의 복음서> 11장 28절~30절(고생하고 무거운 짐을 지고 허덕이는 자는 다 내게로 오너라. 내 가 편히 쉬게 하리라)이 쓰여 있기도 하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양 어깨를 덮은 외의(히마티온)의 힘찬 표현과 내의(키톤)의 섬세함이 대비되고 있다. 이 이콘은 이코노스타시스나 날개의 성화상 또는 복음서의 표지에 그려진다.
아담이 창조주의 몸에 결합되었을 때 그 얼굴에는 슬픔이 없었습니다. 아담의 얼굴과 닮게 나타나신 주님은 신심이 깊은 이들의 모임을 인도하시며 그들은 또한 소리를 합하여 주님께 찬미의 노래를 합니다. 주여! 인류를 사랑하시는 분이시여! 당신께선 한 없는 축복과 영광을 받아 주소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축일 공통 성무일도 조과 중-
4. 옥좌에 좌정한 그리스도
이 유형은 세계의 운명을 능가하여 관장하는 구세주이며, 창조주의 신성한 위엄이 나타난다. 옥좌 의 좌정하여 그의 오른손으로 강복을 주며, 왼손에는 두루마리나 성서를 들고 있으며 데이시시 (Deisis)에서 성모 마리아와 세례자 성 요한 사이에 배치된다.
타원형의 후광과 2개의 굽은 정사각형이 교차된 팔각별(영원한 미래를 상징)로 주위를 장식한다. 그리스도를 둘러싼 첫 정사각형의 후광과 그것을 둘러싼 원형의 후광은 그리스도가 좌정한 옥좌를 둘러싸고 있으며 헤루빔들을 담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정사각형의 네 모서리는 4방향의 끝을 향 하고 있으며 4대 복음사가들의 상징 동물들이 그려져 있다. 그리스도가 왼손에 들고 있는 성서 구 절은 <요한의 복음서> 7장 24절의 "겉 모습만을 보고 판단하지 말고 공정하게 판단하라" 는 위엄에 가득 찬 말로부터 시내가 지남에 따라 <마태오의 복음서> 11장 28절의 "고생하며 무거 운 짐을 지고 허덕이는 자는 다 내게로 오너라. 내가 편히 쉬게 하리라" 는 위로의 말로 점점 변하고 있다.
우리 주 구세주이시여! 알 수도 없는 당신을 볼 수 있게 되었을 때 당신의 은혜는 저희들에게 부어져 암흑이 사라졌나이다. 당신의 얼굴이 비춰지는 중에는 당신의 가르침에 따라 생활하게 되나이다. 저희들 모두 가까이 하기 힘든 빛이신 당신을 숭배하게 해 주소서.
-주 예수 그리스도의 축일 공통 성무일과 조과 중-
5. 임마누엘(Immanuel)
임마누엘은 성모 마리아의 가슴에 품은 그리스도로 그려지는 '표상의 성모'와 불가분의 관계 에 있으며 노브고로드 화파에 의해서 그려져 왔으나 마리아 없이 독자적으로 그려진 것은 17 세기에 모스크바 화파에서 보여지기 시작한 새로운 주제였다.
이 아기 예수는 '세상에 짝 없이 아름다운 임금'이라 칭한 <시편> 45장에 비롯된다. 결코 늙지 않은 영원한 젊음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영원한 권세를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영지의 깊음, 청순을 구비한 임마누엘의 얼굴을 신의 지혜, 영원한 말씀을 나타낸다.
이 모든 일들로써 주께서 예언자들을 시켜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신 말씀이 그대로 이루어졌다. 임마누엘은 '하느님께서 우리들과 함께 계시다' 는 뜻이다.
-<마태오의 복음서> 1, 22~24-
주재자이신 그리스도 그리스 이콘, 1600년 그리스도(The Saviour) Andrey Rublev 1409, Tretyakov Gallery, Moscow 대자대비하신 그리스도 비잔틴 미술, 12세기 시리아의 그리스도 부활하신 그리스도 엄위하온 그리스도(Christ in Majesty) Andrey Rublev 1408, Tretyakov Gallery, Moscow 창조주 그리스도(Christ Pantocrator) 15th centry
창조주 그리스도(Christ Pantocrator) Late 15th ~ early 16th, Novgorod school, Tretyakov Gallery, Moscow
창조주 그리스도(Christ Pantocrator) 15th, st. Catherine's Monastery, Mount Sinai Egypt. 창조주 그리스도(Christ Pantocrator C) 6th St. Catherine's Monastery, Mount Sinai Egypt. 현존하는 6세기의 비잔틴 이콘(목판성화상)은 가장 오래된 것이며, 복음서를 왼손에 받들고 오른손의 중지와 약지를 구부려서 엄지 손가락에 붙여 축복의 형태를 나타내고 계신다. 둥근 후관에 십자가가 장식적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후대의 것에 반드시 첨가되는 OΩN(존재하는 자) IC,XC(예수그리스도)와 같은 신성을 나타내는 네개의 문자는 없고 대신에 건축물이 그려 넣어져 있다. 옆ㅂ은 오렌지 색과 백색으로 완성한 얼굴은 고귀하고 위대하지만 대단히 사실적이다. (이콘.신비의 미에서) 주여, 주의 백성을 구원하시고 주의 후사에 강복하시고 믿는 자에게 원수에 대한 승리를 주시고 십자가로 보호하소서. 창조주 그리스도(Christ Pantocrator) 12th century 엄위하온 주님(Lord in Majesty) 1664, Athens
만딜리온[거룩한 성면)](Mandylion[The Holy Face]) Simon Ushakov, 1677, Treyakov Gallery, Moscow. 왕좌에 계신 구세주(The Saviour Enthroned)
15th century 그리스도의 성면이 찍힌 수건(The Venicle)
First half of 12th century, Novgorod school, Tretyakov Gallery, Moscow
창조주 그리스도(Christ Pantocrator)
1548, Valaam Monastery, Meteora, Greece. [이콘] 구세주 그리스도. Cristo "Salvatore e Fonte di Vita" 1393년 혹은 1394년. 131 x 88.5 cm [이콘] 이 세상의 심판자 그리스도 모스크바 화파. 1800년경. 31 x 27 cm 이 성화(Icon)는 이 세상의 통치자 중의 통치자이며 심판자인 그리스도(Christus Pantokrator)의 정면 반신상으로, 그는 오른손을 축복하며 올리고 있고 왼손에는 펼쳐진 복음서를 들고 있다. 그는 손가락으로 그리스도라는 글자를 모방하여 그의 이름을 표시하는 축복의 손을 올리고 있는데, 그의 존엄하고 엄한 얼굴 모습을 통하여 관람자들은 존경심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이 세상의 통치자이며 심판자인 그리스도를 묘사한 성상제작은 특히 동방교회에서 성행하였다. 후광속에는 과거, 현재, 미래 등 영윈한 시간을 상징하는 글자들과 그림의 윗 모서리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약자인 ICXC가 보인다. 이 성화(Icon)는 채색이 장식적이다. [이콘] 왕좌의 구세주. 러시아. 19세기. 31 x 26.5 cm 이 성화에는 왕좌에 앉아있는 구세주가 묘사되어 있다. 오른손으로는 축복을 내리며 왼손에는 펼쳐진 복음서를 들고 있다. 이 세상의 지배자 뒤 첫줄에는 성 요한, 베드로, 바울, 니콜라이가 그려졌고, 그 아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성모, 성 미카엘, 성 가브리엘과 세례 요한이 보인다. 구세주의 발아래 성 게오르기오스와 성녀 파라스케바가 그리스도를 향해 무릎꿇고 앉아있다. 그들 앞에는 성녀 조시마(Zosima)와 사바티 (Savatij)가 고개를 깊이 숙이고 역시 무릎 꿇고 앉아있다. 그림의 윗 가장자리에는 축복을 내리는 성부가 구름속에 떠 있다. 배경과 그림와 가장자리는 여유있게 비워두었다.
11월26일(이동축일) 26 novembre (celebrazione mobile) 그리스도 왕 대축일(성서 주간) 하느님 나라를 이루고자 온 힘을 다하는 신앙인들은 인간을 구원하시려고 이 세상에 오신 그리스도를 왕으로 받들어 모신다. 오늘은 우리가 세례로 그리스도의 왕직(봉사직)에 참여하게 됨을 기념하고, 온 세상이 그리스도의 다스림에 따라 새롭게 되도록 온 힘을 기울이며, 이를 위해 기도하는 축일이다. 교황 비오 11세는 1925년에 연중 마지막 주일을 ’그리스도 왕 대축일’로 제정하였다. 또한 한국 교회는 1985년부터 연중 마지막 주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성서 읽기 운동과 함께 성서 보급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성서 주간을 맞아 모든 신자는 성서를 늘 가까이하고 생활 속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실천하도록 더욱 힘써야 한다. 전례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주일인 오늘은 하늘과 땅의 주재자이신 주님 앞에서 우리의 모든 삶을 셈하여 바치는 날입니다. 주님께서 오시는 그 마지막 날의 운명은 오늘의 자그마한 일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그리스도의 다스림은 절대 권력의 행사가 아니라, 바로 이웃을 섬기는 일입니다. 누구든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기를 바라는 사람은 지금 세상에서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바로 주님으로 모셔야 합니다. 또한 교회는 오늘부터 한 주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나날의 삶에서 하느님 말씀을 실천하도록 격려합니다. (가톨릭홈에서) [Russian Icon] The Savior XIV c., Cathedral of the entombment, Cremlin, Moscow 1. 그리스도왕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왕국을 다스리는 왕이심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께서 죽기까지 순명하셨으므로 성부께 들어 높임을 받으시고 당신 왕국의 영광을 차지하셨다. 그리스도왕께서는 그 왕국을 확장하시고 모든 것을 당신께 복종시킬 것이며, 마침내 당신 자신과 이 모든 피조물을 성부께 복종시킴으로써 하느님을 모든 것에 있어서 모든 것이 되게 하실 것이다(1고린 15,27-28). 그리스도왕은 구약에서 예언되고 준비되었다. 가나안 정착시기에 왕정의 필요를 느낀 이스라엘은 야훼의 이름으로 기름부음을 받은 왕을 탄생시켰고 왕조의 존속을 약속 받았다(2사무 7장). 그러나 다윗 왕조가 무너지자 종말의 왕인 메시아의 약속이 있었다(에제 34장). 왕이신 메시아에 대한 백성들의 기대는 인간적인 희망과 현세적인 왕권 관념으로 가득 차 있었으나 예수는 지상 생활 동안 그 기대에 부응하지 않았다. 예수는 헤로데의 권위도, 로마황제의 권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예루살렘 입성 때 당신을 이스라엘 왕으로 찬양하는 백성을 묵인하고 빌라도 앞에서 당신이 이스라엘 왕임을 부인하지 않았으나 당신의 왕국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니라 하였다(요한 18, 36-37). 그 왕국의 성격은 십자가에 달린 예수께 군사들이 조롱한 행위에서 드러난다. 예수의 왕위는 십자가에서 빛나고 있으며, 왕의 영광은 부활 후에, 그리고 재림 때 나타나는 것이다. 2. 그리스도왕 대축일 비오 11세는 1925년 그리스도왕 대축일을 제정하면서 모든 성인의 대축일 전 주일에 지내도록 정하였다. 교회는 이 축일 이전에도 그리스도의 왕권을 기념하였었다. 공현, 빠스카, 승천이 바로 그리스도왕 축일인 것이다. 비오 11세가 이 축일을 제정한 것은, 그 자신 교서"Quas primas"에서 명백히 말하고 있듯이 영적 교육의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무신론과 사회의 세속화가 널리 퍼지던 상황 아래에서 그는 인간과 제도에 대한 그리스도의 주권을 확언하고 싶었던 것이다. 1970년 교회는 그리스도 왕권의 우주적, 종말론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 축일을 "우주의 왕이신" 그리스도의 축일로 만들면서 마지막 연중 주일에 지내도록 하였다. 이렇게 됨으로써 대림절은 주님의 영광 중에 오시는 시기로 드러나게 되었다. 고쳐진 본기도의 두 번째 부분이 이 축일의 주제가 바뀌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죄로 인하여 상처를 입어 갈려진 모든 인간 가족이 예수의 어진 통치권에 복종하게 하소서"(1925년 본기도). 개정된 본기도는 하느님께 다음과 같이 청한다. "온갖 창조물이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당신을 섬기며 끝없이 당신을 찬미하게 하소서."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홈에서)
두른 예수 그리스도가 왼손에는 진리의 말씀이 담긴 성경을 그리고 오른 손으로는 본인이 구세주 그리스도 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집트 콥트 화가가 그린 이 이콘 양식은 널리 알려진 경직되고 양식적인 비잔틴 양식 과 달리 중동의 이슬람 양식으로 그려졌는데 여기서 이슬람 수사본의 그래픽하고 섬세한 표현이 돋보인다. 특히 성안의 섬세한 이목구비와 아래로 날렵하게 그려진 콧수염과 턱수염 등 곡선의 부드러움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현존하는 중세 이집트의 콥트 이콘으로 매우 귀한 것으로 오늘날 성 카타리나 수도원에 소장되 어 있으나 본래는 개인 기도용 이콘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박혜원 소피아). <예언자, 제자들과 함께 있는 판토크라토르 이콘>, 14세기 전반경,
Christ the King ◎ 주님께서는 임금님, 위엄을 차리셨도다. ○ 주님께서는 임금님, 위엄을 차리시니, 주님께서 차리시어 권능을 띠 띠시니. ◎ ○ 누리가 굳건하여 흔들림이 없나이다. 당신의 어좌는 예로부터 견고하니, 영원부터 당신께서는 계시나이다. ◎ ○ 당신의 증거는 너무나도 미더운 것, 당신의 집안에는 거룩함이 제 것이니, 길이길이 주님, 그러하리이다. ◎ 주 하느님 말씀을 내 듣고 싶사오니 정녕 평화를 말씀하시나이다, 당신의 백성과 성도들에게, 그 마음 당신께 돌아오는 이들에게. 당신을 두려워하는 자에게는 구원이 정녕 가까우니 당신의 영광이 우리 땅에 계시게 되리라. 자비와 충성이 마주 서로 만나고 정의와 평화가 함께 입맞추리라. 땅에서 충성이 움터 나오면 정의가 하늘에서 굽어보리라. 주께서 행복을 내려주시면 우리 땅은 열매를 맺어주리라. 정의가 당신 앞을 걸어나가면 구원은 그 걸음을 따라가리라." 시편 84(85),9 이하 제왕이자 귀한 존재임을 상징하는 자주빛 옷에 짙은 군청색 망토를 두른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그는 판토크라토르(pantocrator : 전지전능한 창조주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왼손에는 진리의 말씀이 담긴 성경을 펼쳐보이고, 오른손으로는 신자들에게 축복을 내리며 동시에 성경을 가리키고 있다. 근엄함과 진지함이 느껴지는 그의 성안은 신자를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동시에 깊은 생각에 잠긴 모습이다. 그의 뒤에는 은세공된 작은 조각들로 가득 채워져 화려하고, 내면으로부터 은은한 빛을 발하는 예수의 얼굴은 천상의 신비로 충만하다(박혜원 소피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