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37~1922
국내
1883. 9. 16 부산-나가사키(長崎) 간 해저전선 부설 착공
1884. 2. 28 부산-나가사키 간 해저전선 개통
1884. 10. 1 우정총국, 최초로 우정사업 시작
1885. 8. 20 한성전보총국(漢城電報總局) 개국
1885. 9. 28 한성-인천 최초 전신시설 개통
1888. 6. 1 조선전보총국(朝鮮電報總局) 개국
1888. 6. 1 한성-부산간 남로전선(南路電線) 준공
1888. 9. 5 한성의 서·남 양 전선 접속
1891. 6. 22 한성-부산간 북로전선(北路電線) 준공
1895. 4. 8 덕수궁에 최초로 전등 등장
1898. 10. 최초의 영화 〈가스등〉 상영(미국인 이스트하우스, 서대문에서 단편영화 상영)
1900. 7. 경인간 시외전화 최초 개통
1901. 8. 17 서울시내 전등 점등식 거행
1915. 9. 15 경성우편국 준공
1915. 방송무선전화 송신시험 최초 실시
1919. 10. 13 경성악우회(樂友會) 창립 초연(初演)─홍난파, 김영환, 김형준 등 출연
1919. 10. 29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義理的) 구두(仇斗)〉 단성사에서 상영
해외
1837. 9. 4 미국, 모스 전신기 발명
1838. 프랑스 다게르(Louis Jacques Mand?Daqurre), 사진 발명
1839. 베크렐(Edmond Becquerel), 빛의 전기화학 효과 발견
1839. 프랑스, 사진술 등장
1840. 영국 헨리, 불꽃 방전(放電)의 진동성 발견
1842. 베인(Alexander Bain), 팩시밀리 전신 전송 제안
1844.5. 미국, 유선전신 실용화(워싱턴-볼티모어 간)
1847. 영국, 베이크웰(F. Bakewell) 사진 전송과 회전 원통(圓筒)의 사용 착상
1850. 일본 사쿠마(佐久間象山), 전신 실험
1859. 독일 물리학자 플뤼커(Julius Pl웒ker), 음극선 실험
1861. 독일 라이스, 전화 실험
1864. 영국, 맥스웰 전자파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예상
1865. 5. 17 만국전신연합, 파리에서 설립(ITU=국제전기통신연합의 전신)
1866. 대서양횡단 해저전선 부설
1870.1. 일본, 도쿄-요코하마 간 공중통신용으로 최초의 전신 업무 개시
1873. 영국, 과학자 미스(Mith)와 메이(May)가 셀렌(Selen)이라는 물질이 빛에 접촉했을 때 전기가 통한다는 사실 발견
1875. 미국 케리세덴, 전지 이용한 방열식 TV 착상
1875. 미국 톰슨, 전파신호 송신
1876. 3. 10 미국 벨, 전화기(電信機) 발명·실험에 성공
1877. 12. 19 미국 에디슨, 납관식(蠟管式) 축음기 고안
1877. 12. 19 영국 휴스, 카본 송화기 발명
1878. 센라크(M. Senlacq), 팩시밀리에 셀렌(Selen) 사용 제안
1878. 크룩스(William Crookes), 음극선 존재를 증명하는 관(Tube) 개발
1879. 미국·영국, 전등 발명
1880. 프랑스 루브랑, 영상 전송의 분해·조립법 착상─주사(走査) 개념의 시초
1881. 프랑스 아델, 입체 음감(音感) 전화 실험
1881. 영국, 광전지와 화학 작용을 이용한 사진전송 방식 개발
1884. 미국 에디슨(Edison), ‘에디슨 효과’ 발견
1884. 독일 니코프, 회전원반식 주사법(走査法) 발명
1885. 12. 25 일본, 체신청 설치
1885. 영국 톰슨, 음극선의 자기편향(磁氣偏向) 발견
1886. 스미스(Oberlin Smith), 자기방식의 레코딩 이론 발견
1887. 프랑스·벨기에, 파리-브뤼셀 간 최초로 국제전화 개통
1887. 독일 베르리나, 원판식 축음기(그라모폰) 고안
1887. 독일 헤르츠(Hertz), 전파송신 및 수신
1888. 독일 헤르츠, 전자파 실증(최초의 무선 실험)
1888. 프랑스, 생리학자 마레(E.J. Marey)에 의해 영화 등장
1889. 미국 이스트먼(Eastman)의 필름 개발과 에디슨(Edison)의 카메라 개발로 최초의 영화시스템 구성
1889. 독일 할바크스(Hallwachs)가 어떤 물질이 빛에 노출되었을 때 전자를 방출한다는 사실 발견
1893. 미국 에디슨, 영화 발명
1895. 5. 7 러시아 물리학자 포포프(A.S. Popov), 러시아물리화학협회에서 무선수신기를 처음으로 공개
1895. 12. 이탈리아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 무선전신 시험 성공(전파송신기 및 수신기 개발)
1896. 미국 Kodak, 프로젝션을 위한 첫 번째 영화필름 개발
1897. 12. 독일 브라운(Braun), 브라운관 발명
1897. 12. 일본 체신성 무선전신 실험 성공
1897. 독일 브라운, 최초의 브라운관(CRT 장치) 발명
1898. 파울슨(Poulson), 자기방식의 레코딩 특허 취득
1900. 페슨던(Reginald A. Fessenden), 무선으로 육성 전송
1901. 12. 12 이탈리아 마르코니, 대서양횡단 무선전신 시험에 성공(최초의 대륙간 전파 수신)
1903. 미국 에드윈 포터(Edwin S. Porter)의 영화 〈대열차 강도(8분)〉로 영화오락시대 도래
1904. 영국, 플레밍(Fleming)이 극(極)진공관 발명
1905.5. 일본 신노마루(信濃丸), ‘적함 발견’ 제1보 타전(일본해 해전)
1905. 독일, 닙코(Nipkow)가 Disk 및 CRT 시연
1906. 10. 3 독일, 베를린에서 제1회 국제무선회의 개최(국제무선전신조약 작성)
1906. 12. 24 미국 페슨던, 브랜트룩국에서 발전기식 무선전화로 독창과 바이올린 독주 방송(최초의 라디오방송 시험)
1906. 12. 독일, 텔레풍켄(Telefunken)이 무선전화 시험 성공
1906. 12. 미국, 디 포레스트(Lee De Forest) 라디오 시험방송 개시
1906. 독일 콜트(Max Diekmann Cold), CRT(Cathode Ray Tube) 발명
1906. 미국, 첫 음성방송 실시
1907. 러시아 로징, 브라운관을 이용한 TV 개발
1907. 미국, 디 포레스트가 3극진공관 발명
1908. 5. 일본 초시(金兆子)·덴요마루(天洋丸), 무선전신국 개설(최초의 무선전신 업무)
1908. 6. 일본, 일본-러시아 간 무선전신통신시험 성공 (최초의 국제무선통신)
1909. 미국 헤롤드(Herrold), 새너제이에서 최초의 라디오방송 성공
1911. 러시아 로징, 세계 최초의 TV송신 공개
1912. 8.13 미국 라디오방송 면허제에 관한 무선법 제정
1912. 미국 암스트롱(Armstrong), 재생장치 개발
1912. 미국 사노프(Sarnoff), 타이태닉(Titanic)호의 조난신호 최초로 수신
1912. 미국 디 포레스트, 재생장치 개발
1913. 미국 에디슨, 최초로 Amberola 축음기에 다이아몬드 바늘 사용
1914. 미국 랭뮤어(Langmuir), 진공관 개발
1915. 6. 19 일본, 무선전신법 공포(무선전신법 칙령 제186호로 조선에 시행)
1915. 7. 28 미국 AT&T, 미국-프랑스 간의 무선전화(진공관식) 실험에 성공
1915. 미국 Bell연구소에서 최초의 무선통신시스템 구축
1915. 이탈리아 마르코니가 보이는 전화 예언
1916. 11. 미국, 2ZK국(뉴로첼)라디오 정기 시험방송 실시
1917. 1. 일본 미시마마루 무선전신국장 가쓰하라가 ‘방송’이라는 문자 첫 사용
1917. 4. 독일, 서부전선에서 브래드와 마이스너 진공관식 송신기로 실험방송 실시
1918. 미국 암스트롱,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 개발
1919.10.17 미국, RCA 설립
1919. 12. 캐나다, XWA(몬트리올 마르코니무선전신회사) 라디오 정시방송 개시
1919. 혹시(Hoxie), 영화 필름에 음성녹음기술 개발
1920. 2. 23 영국 첼므스피드국(마르코니회사), 라디오 실험방송 실시
1920. 5. 네덜란드, 상업방송 단체인 헤이그국에서 음악 시험방송 실시(매주 일요일)
1920. 8. 31 미국, 8MK국(디트로이트뉴스사) 정기 시험방송 개시
1920. 10. 27 미국 KDKA국(피츠버그) 개국
1920. 11. 2 미국 KDKA국, 피츠버그에서 최초의 정규 라디오프로그램 정식 방송 개시(출력 100W, 세계 최초의 방송국, 종교방송의 기원)
1920. 핀란드, 아마추어단체 실험방송 실시
1920.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음악 실험방송실시
1921. 1. 2 미국, KDKA국 예배 실황중계(미국 최초의 상업방송국)
1921. 4. 11 미국 KDKA국 권투시합 실황중계 (스포츠방송의 시초)
1921. 5. 1 미국, AT&T의 WBAY국 상업방송 시험국으로 발족
1921. 6. 8 독일 부스타하우젠국 베를린 국립가극장에서 오페라 〈나비부인〉 중계
1921. 7. 19 소련, 모스크바 시내 광장에 스피커 설치 결정 발표(유선라디오의 시초)
1921. 8. 28 미국 WEAF국, 광고CM 방송시작
1921. 9. 21 미국 WEAF국 토지회사·석유회사·항공회사의 광고방송 실시
1921. 10. 9 멕시코 몬테레이시에서 멕시코 최초의 라디오 실험방송 실시
1921. 미국, 아에리올라(Aeriola Jr.)가 최초로 RCA에서 가정용 라디오 디자인
1922. 2. 14 영국 마르코니회사, 방송 개시
1922. 2. 미국, 제1회 워싱턴무선회의 개최. 방송을 공식사업으로 인정
1922. 2. 프랑스 우정성이 에펠탑에서 국영라디오국 본방송(정시방송) 개시
1922. 6. 1 미국 AT&T가 세운 미국 최초의 유료방송국 WEAF 개국
1922. 6. 미국 D. 사노라가 라디오수신기세를 재원 기반으로 하는 비영리방송국의 설립 제안
1922. 6. 일본 체신성, 방송제도 조사에 착수
1922. 8. 19 칠레, 칠레대학에서 최초의 라디오방송 개시
1922. 8. 21 소련, 모스크바방송국 시험방송 개시
1922. 8.22 스위스, 로잔에서 라디오방송 개시
1922. 8.28 미국 AT&T 자회사인 웨스턴전기의 WEAF국 광고방송 개시
1922. 9. 1 소련 모스크바방송국 정기방송 개시
1922. 11. 7 소련, 코민테른기념중앙라디오 본방송 개시(소련 라디오방송 정식 개시)
1922. 10.18 영국 영국방송회사(현 BBC 전신)라는 사기업 평태 설립
1922. 11.14 영국 영국방송회사 2LO국 런던에서 본방송 개시
1922. 11. 프랑스 라디오전기협회 상업국 라디오방송 개시
1922. 미국 암스트롱, Invents Super Rege-neration System 개발
1922. 미국 젱킨스(Charles Francis Jenkins), 회전하는 각주형 디스크를 이용한 원형 TV시스템 특허 요청
1922. 미국 판스워스(Philo T. Farnsworth), 전자식 화상전송 연구
1922. 미국, 전미상업방송연맹(NAB) 설립
1922. 중국, 미국인이 상하이(上海)에 상업 라디오방송국 개설
1922. 캐나다, 라디오 수신료제도 실시
1922. 브라질, 라디오방송 개시
1922. 쿠바, 라디오방송 개시
1922. 루마니아, 라디오방송 개시
1923
국내
6. 11 경성무선전신국(京城無線電信局) 설치
해외
1. 4 미국 WEAF국(뉴욕)과 WNAC(보스턴)간 유선 동시방송 실시, 네트워크 방송의 효시
1. 프랑스 우정성, 라디오(파리 PTT) 중파 방송 개시
3. 15 미국 WEAF국, 최초로 음악 광고방송(1시간 프로그램)
4. 5 독일 베를린에 최초 라디오클럽 창설
4. 11 독일, 최초의 라디오잡지 〈라디오〉 발간
4. 오스트리아, 사영(私營)회사 실험국 설치
6. 7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방송회사 라디오저널이 프라하에서 방송 개시
7. 1 스리랑카, 라디오 실험방송 개시
7. 21 네덜란드, 일반방송협회 AVRO 설립, 방송개시
8. 22 미국 WEAF국, 최초의 축구시합(육·해군 대항) 방송
8. 영국, 방송위원회 위원장에 프레드릭 사이크스 경 임명
9. 1 일본, 간토(關東)대지진에서 무선전신이 위력 발휘
9. 28 영국, 「라디오타임스」 창간호 발행
10. 29 독일 베를린 라디오슈툰데회사 정시방송 개시
11. 23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라디오방송국 ‘2SB(현 2BL)’ 시드니에서 방송 시작
11. 24 벨기에 사설 라디오벨기에, 브뤼셀에서 방송 개시
12. 23 일본, 방송용 사설전화 규칙 제정(라디오방송에 관한 제도가 확립됨으로써 일본방송이 시작됨)
12. 29 미국, 웨스팅하우스 기사(技師) 브라디밀트하킹이 TV 카메라 진공관 아이코노스코프의 특허 신청
12. 29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라디오방송 개시
12. 30 영국, 파리에서 유선으로 최초의 대륙 프로그램 중계
12. 31 영국, 국회의사당의 탑시계(Big Ben)의 소리 첫 방송
12. 일본 체신성, 방송용 사설무선전화규칙 제정
12. 미국 쿨리지 대통령, 의회 교서를 AT&T 회선을 이용하여 7국(局)에서 동시 방송
1923. 미국 젱킨스(Charles F. Jenkins), Nipkow Disk를 이용한 움직이는 TV시스템 개발
1923. 미국 젱킨스, 전자식 촬상관 Iconoscope 특허 출원
1923. 미국 Westinghouse·General Electric·RCA·AT&T가 TV 연구에 착수
1923. 미국, 판스워스(Philo T. Farnsworth)가 13세에 Zworykin의 Kinescope와 유사한 전자식 카메라튜브 개발
1923. 미국, 새로운 촬상관 Kinescope를 포함한 완전한 TV시스템 시연
1923. 미국 RCA, 웨스팅하우스 소유의 라디오국 WJZ를 매수, 뉴욕·워싱턴에도 개국
1923. 영국 베어드(John L. Baird), 개선된 해상도 Nipkow Disk를 이용한 TV 시연
1923. 캐나다, 국유철도(CNR)열차 대상 라디오방송 개시(1923∼31까지)
1923. 독일 Radio Hour Company(베를린 소재)에서 첫 면허를 얻어 방송 시작
1923. 멕시코, 상업라디오국 인가
1923. 터키, 이스탄불대학 강당에서 실험방송 실시
1923. 핀란드, 라디오방송 개시
1923. 필리핀, 라디오방송개시
1924
국내
2. 총독부 체신국에서 방송용 무선전화에 관한 조사연구 최초로 착수(10W, 50W로 시험)
7. 시험방송용으로 50W 송신기 및 외국제 수신기 등을 일본에서 도입, 체신국 내에 임시 스튜디오 설치
11. 라디오 최초 시험방송 성공
11. 시험방송 성공으로 여러 민간단체에서 사설방송국 설립허가원 제출
해외
2. 8 미국, 대륙횡단 방송시설 완료, 태평양-대서양 양안을 연결
3. 8 유고슬라비아, 류블랴나에서 사설 라디오국이 실험방송 개시
4. 4 영국, 영국방송회사 〈라디오학교방송〉 개시
5. 25 우루과이, 최초의 상업라디오방송국 방송 개시
7. 17 오스트레일리아, 수신국지정제도 폐지, 자유로운 수신 가능
8. 이탈리아, 라디오방송연맹 설립
9. 6 일본, 조선총독부령 제48호로 방송용 사설무선전화 규칙 제정(1915년 무선전신법에 의거)
10. 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방송회사(RAVAG) 빈에서 방송 개시
10. 6 이탈리아, 주식회사 이탈리아방송연합(URI =Unione Radiofomic Italiana) 로마에서 방송 개시
10. 미국, 쿨리지 대통령 선거 연설을 동서의 26국(局)을 연결하여 방송
11 . 7 스페인, 최초의 상업방송국 EAJ-1 바르셀로나에서 방송 개시
11. 29 일본, 사단법인 도쿄방송국 설립
12. 독일, 라이프치히·뮌헨 등 9개 방송회사설립 및 방송 개시(9개 방송회사에 면허 승인)
12. 멕시코, 최초의 국영라디오 개국
1924. 미국, 젱킨스가 Iconoscope 전자식 카메라 공개
1924. EIA 전신이 라디오제작사협회(RMA) 설립
1925
국내
4. 조선일보 주최 무선전화방송 공개 시험
7. 방송국 설치 신청을 한 12개 단체 일원화, 남대문통의 조선식산은행 내에 사단법인 경성방송국 창립사무소 설치
8. 국내 수신기 5대 보유
8. 조선총독부 체신국 무선시험실에서 매주 4회 시험방송 실시(마르코니 UB 400W기, 호출부호 JOAA, 시험파장 400m, 750㎑)
8. 우리말 시험방송 매주 목요일(종일), 일요일(반나절) 실시(조선극우회 복혜숙, 무대극대사 낭독 방송 및 국악방송 실시)
11. 17 조선일보, 조선일보사-우미관 간 무선전화방송 공식시험 실시
해외
1. 1 스웨덴, 라디오방송사업회사 방송 개시
3. 1 일본, 사단법인 도쿄방송국 개국(라디오방송 실험방송 개시)
3. 22 일본, 최초의 방송인 도쿄방송국이 출력 220W로 실험방송 개시
4. 1 덴마크, 국영방송 설립 및 방송 개시
4. 3 국제방송연맹(UIR), 제네바에서 발족
4. 29 노르웨이, 노르웨이방송회사가 라디오 정시방송 개시
4. 영국 존 L. 베어드, 세계 최초의 30라인 텔레비전 공개시험 유선으로 실시
5. 독일, 독일제국방송협회 설립(1926년 전 방송국 총괄)
6. 1 일본, 사단법인 오사카방송국(JOBK) 시험방송 개시
6. 20 페루, 최초의 상업방송 OAX국 방송 개시
7. 12 일본 도쿄방송국 아타고야마(愛宕山)에서 본방송 개시 (출력 1㎾)
7. 15 일본, 사단법인 나고야방송국(JOCK) 본방송 개시
8. 영국, 방송위원회 위원장에 크로퍼드 임명
8. 중국, 만주 다롄(大連)방송국 방송 개시
10. 2 영국, 기계식 TV 실험에 성공
10.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라디오방송 개시
10. 미국, 전미교육방송연맹(NAEB=National Associ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ers) 설립
10. 알제리 민간 라디오국 설립
11. 미국, 제4회 워싱턴무선회의 개최(제1회 회의에서 채택된 ‘방송을 공익사업으로 운영하는 안’을 철회)
12. 1 헝가리 텔레폰 필몬드방송회사, 부다페스트에서 방송 시작(출력 3㎾)
12. 16 스리랑카, 라디오 본방송 개시
12. 미국 젱킨스, 기계식 TV장치 실연
12. 소련, 유선방송 개발에 착수
12. 필리핀, 마닐라에서 단파방송 개시
1925. 라이스(Rice)와 켈로그(Kellogg), 최초의 스피커 제작
1925. 스웨덴 알렉산데르손(Ernest Fredrik Werner Alexanderson), 동영상의 무선전송연구 개시
1926
국내
2. 15 경성방송국 창립준비위원회, 총독부 체신국에 사설방송국 설치 출원
4. 18 조선일보 주최 부녀자견학단, 체신국 무선시험실 시험방송 견학
4. 30 경성방송국, ‘창립준비위원회의’ 개최
6. 7 경성방송국 사옥 기공
6. 경성방송국, 라디오극연구회 발족(이경손, 김영팔, 최승일 등)
10. 5 경성방송국, 체신국 시험방송 주파수 750㎑(파장 450m)를 860㎑(파장 350m)로 변경(도쿄·오사카국과의 혼신으로)
10. 27 경성방송국 상량식 거행
11. 1 경성방송국, 체신국 단파장 시험방송 매일 2회 실시
11. 30 사단법인 경성방송국 설립(발족) 및 방송무선전화시설 인가
12. 5 경성방송국 사옥 준공
12. 9 조선총독부고시 제380호로 경성방송국 청취규약 제정, 청취료 월 2원(圓) 징수키로 결정
해외
1. 1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2RN국이 라디오방송 개시
1. 27 영국 존 L. 베어드, 런던과 글래스고 간 전화선 이용, 영상전송에 성공, 본격적인 TV시대 오픈
3. 2 영국 크로퍼드방송조사위원회, 방송은 공공기업체에 의해 실시되어야 함을 정부에 권고
4. 18 폴란드, 라디오방송 개시
4. 미국 일리노이연방지방재판소, 상무장관에게 방송시간의 지정, 주파수할당, 출력 제한, 면허기간 제한의 권한이 없다고 판결
4. 국제라디오연맹 설립
5. 15 유고슬라비아 민영 자그레브(Zagreb)방송국 방송 시작
5. 29 네덜란드 방송단체 VPRO 설립
7. 미국 AT&T, 네트워크 회선망의 독점부설권을 조건으로 방송사업에서 철수할 것에 합의
7. 미국 법무장관, 방송기간의 지정, 주파수 할당, 출력제한, 면허기간 제한의 권한이 없다고 판결한 내용을 지지하는 의견서 공표
8. 20 일본, 도쿄·오사카·나고야 3개 방송국 합동 공익법인화 추진
8. 20 일본, 사단법인 일본방송협회 설립
9. 9 미국 NBC 설립
9. 9 핀란드, 헬싱키에서 민영방송 시작
11. 5 미국 NBC, 라디오네트워크 첫 방송 개시
11. 15 국제방송연맹, 최초의 파장할당 효력 발생
11. 5 미국 NBC, AT&T로부터 매수한 WEAF를 키국(局)으로 NBC 레드네트워크 운용 개시
11. 미국, 전미국의 수신기 대수 약 600만 대 및 방송국 700개사 돌파
12. 미국, 최초의 「라디오 드라마 이론서」 간행
12. 중국 북양(北洋) 정부, 하얼빈에 관영라디오국 개설(중국인에 의한 최초의 방송국)
1926. 미국 Bell연구소, 뉴욕과 워싱턴DC간의 유선전송 실시
1926. Television 용어 사용 시작
1926. 독일, NBC(National Broadcasting Com-pany) 설립 (우정성이 51%의 주식 보유)
1926. 일본 사단법인 도쿄방송국 월간 「조사시보」 창간
1927
국내
1. 20 경성방송국, 시험방송 개시
2. 16 경성방송국, 개국축하 방송
2. 16 경성방송국, 개국 및 본방송 개시(호출부호 JODK)
2. 22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1,440대(일본인 1,165대, 한국인 275대)
2. 27 경성방송국, 강순정의 〈적벽가〉·강옥도의 〈무녀가〉 창(唱) 방송
3. 18 경성방송국, 경성극장의 무대공연 실황을 시험 중계 (최초의 중계방송)
3. 경성방송국, 경자(庚子)유치원·중앙유치원 어린이 동요 프로 출연
3. 경성방송국, 왕복엽서 사용 청취자 취향 여론조사 실시
3. 경성방송국, 청취자 가입 권유 위해 임시선전부 설치(책임자 노창성)
4. 5 경성방송국, 경부선열차 식당차에서 여객위안용 라디오설치
4. 7 경성방송국, 최초로 명예훼손 피소─일본인 오이가와 교자부로(乃川京三郞)가 뉴스방송으로 명예훼손 당했다고 고소
5. 5 경성방송국, 청취자 팬의 날 설정. 취향 여론조사의 통계에 표시된 특별 프로그램 작성
5. 20 경성방송국, 최초의 지방의 날로 <인천의날〉 현지방송 및 현지라디오강습회 개최
5. 23 경성방송국, 노르웨이 극작가 입센(Henrik Ibsen) 백년제 기념방송(라디오방송극연구회, 입센 작 〈인형의 집〉 방송)
5. 26 경성방송국, 베토벤 백년제 기념방송
6. 1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2,649대 기록
6. 15 경성방송국, 일반라디오 팬을 위한 제1회 라디오강습회 개최
6. 18 경성방송국, 최초로 마르코니 더블버튼형(탄소입자형) 마이크 사용(일본씨름 지방 순회 경기)
6. 25 경성방송국, 최초로 무선중계방송 실시
6. 경성방송국, 수신기 보급 부진으로 경영난 해결을 위한 이사회 개최
7. 4 총독부 체신국, 경성방송국의 재정보조 요청을 거절
7. 경성방송국, 시보를 중심으로 우리말·일어 교차방송 실시
7. 경성방송국, 방송편성비율 재조정
9. 22 경성방송국, 소련 스라비양스카야 코러스단을 맞아 임시방송
9. 경성방송국, 동화현상모집(당선자에게 광석수신기 1대씩 증정)
9. 경성방송국, 당선 동화 연속 4일간 방송
10. 1 경성방송국, 청취료 월 2원(圓)에서 월 1원으로 인하(청취료 인하 광고전단을 비행기로 서울 상공에서 살포)
10. 경성방송국, 〈국민체조시간〉 신설
11. 16 경성방송국,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미하일 엘덴코의 연주 방송
11. 19 경성방송국, 경성공회당에서 한·일 여자중고등학교 음악대회 중계
12. 31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5,260대
12. 경성방송국, 경성보육학교 아동극연구회 워커 작 〈콩이 삶아질 때까지〉 아동극 방송
12. 경성방송국, 라디오극연구회 방송극 〈현해탄〉(이경손 작), 〈은행수(銀杏樹)〉, 〈춘향전(옥중막)〉, 〈여성〉, 〈베니스의 상인〉, 〈기야(其夜)〉 등 방송
해외
1. 1 영국, 영국방송협회(BBC=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발족
1. 1 미국, 뉴욕의 WJZ를 키국(局)으로 하는 NBC 블루네트워크 운용 개시
1. 15 독일, 쾰른방송국 개국(출력 15㎾)
2. 23 미국, ‘1927년 무선법’ 제정
3. 11 네덜란드 필립연구소시험국(PCJJ), 유럽 최초의 단파 시험방송 시작
3. 미국, 1927년 무선법에 따라 FRC(연방무선위원회) 발족
4. 5 미국, 컬럼비아축음기방송회사(현 CBS) 설립
4. 7 미국 벨전화연구소, 워싱턴-뉴욕간 유선TV 실험 공개
5. 중국, 국민당이 운영하는 톈진(天津)방송국 개설
8. 13 일본, 최초의 스포츠 중계방송 실시─고시엔(甲子園) 전국 중등학교 야구대회
8. 일본 다카야나기(高柳健次郞), TV방송 실험에 성공 (주사선 40본으로 TV 실험방송 개시)
8. 스위스 제네바국제방송연맹, 전세계 대상 시험방송 개시(국제방송의 시초)
9. 25 미국, 컬럼비아축음기방송시스템회사 방송 개시(CBS 라디오네트워크 16국을 연결하는 방송 개시)
10. 6 미국, 최초의 유성영화 〈재즈 싱어〉 개봉
10. 미국, ‘NBC 뉴욕방송회관’ 개설(최초의 근대적 방송회관)
11. 19 미국 컬럼비아축음기방송시스템회사, 컬럼비아방송회사(CBS)로 개칭
1927. 미국 판스워스(Philo T. Farnsworth), 이미지분리 픽업튜브 발명(최초의 전자식 TV 화상 송신, 전자식 TV에 대한 특허 출원)
1927. 미국 Bell연구소, 무선TV 시연
1927. 미국 FCC, 최초 TV면허를 젱킨스(Jenkins)의 W3XK방송국에 부여
1927. 미국, 북미대륙 횡단전화 개통
1927. 인도 인도방송회사(사영), 봄베이(지금은 뭄바이)와 캘커타(지금은 콜카타)에서 방송 개시(1930년에 중지)
1927. 터키, 상업국 라디오방송 개시
1927. 국제가톨릭방송연맹(UNDA) 설립
1928
국내
1. 경성방송국, 소학교 방학 이용 〈학습의 시간〉 개설
2. 16 경성방송국, 개국 1주년 기념방송(1주일간 실시)
3. 21 경성방송국, 경성부 연합청년단 웅변대회 중계
4. 11 경성방송국, 〈에스페란토 강좌〉 개설
4. 13 경성방송국, 전속관현악단 초연(지휘 홍난파)
4. 경성방송국, 우리말·일어 〈야간 연예방송〉 격일제 편성 실시(홀수날 우리말, 짝수날 일본어)
5. 1 경성방송국, 〈가정강좌〉 개설
5. 20 경성방송국, 〈에스페란토 강좌〉 중지
6. 1 경성방송국, 〈영어강좌〉 방송 시작
6. 30 경성방송국, 정동교회 내 파이프오르간연주 실황중계
7. 경성방송국, 최초로 한국 고유의 무대예술공연 실황 〈춘향전〉을 광무대(光武臺)극장에서 중계
7. 경성방송국, 일본방송협회와 중계연락 실험 방송에 성공
7. 경성방송국, 소사에 수신중계소 가설치
8. 1 경성방송국, 〈어린이학습시간〉 개설
8. 10 경성방송국, 전국 중고등학교 야구대회 조선예선대회 중계
8. 20 경성방송국, 전조선야구쟁패전 중계
8. 총독부, 구내 무선실험실에서 단파무선 실험 실시
9. 경성방송국, 극단 토월회 박승희 작 방송극 〈혈육〉, 〈이 대감 망할 대감〉 방송(출연 이소연, 윤성묘, 서월영, 석금성, 전옥)
11. 4 경성방송국, 경성소학교 연합학예회 연속방송
11. 6 경성방송국, 이왕직 아악의 밤 일본 전역에 중계(한국 아악 최초의 중계)
11. 8 경성방송국, 〈라디오 실연의 밤〉 경성부 공회당에서 중계
12. 경성방송국, 가정고문계 설치(팬의 엽서문의에 전문가의 해설로 해답방송 실시)
12. 경성방송국, 라디오극연구회 〈유모레스크〉, 〈복면의 의사〉 방송
12.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8,550대
12. 경성방송국, 조선미술전람회에 대한 합평좌담회 방송
12. 경성방송국, 특제 염가 수신기 제작 판매─4구식 70원(圓), 5구식 80원(圓)
해외
1. 1 독일, 라디오 가입자 200만 명 돌파
2. 미국, E.암스트롱 FM 방식 발명
2. 영국, 존 L. 베어드가 스틸사진(정사진)의 TV실험 방송
5. 독일, 중파로 최초의 사진전송실험 성공
6. 1 미국 WGA국, TV 실험방송 개시(TV드라마의 실험방송)
6. 홍콩, 라디오방송 개시
7. 영국, 존 L. 베어드가 최초로 원판을 사용하여 주사선 30본의 컬러TV 실험에 성공
8. 1 중국, 중앙방송국 난징(南京)에서 개국
8. 31 독일 베를린의 제5회 방송대전람회에서 최초의 TV실험 송신 공개
8. 케냐, 라디오방송 개시
9. 미국 W. 페일리가 재정 위기의 CBS 경영을 인수
10. 13 영국 다벤트리에서 프트그래프식에 의한 화상만의 TV실험 방송 정식으로 시작
11. 1 일본 다이레이(大札)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라디오체조〉 방송 시작
11. 5 일본, 전국 중계방송 개시
12. 24 네덜란드, PHOHI 단파 정기방송 시작
12. 미국 암스트롱, FM 방식 발명
12. 미국 WGY, 최초의 TV드라마 실험방송
12. 덴마크, 라디오 교육방송 개시
12. 모로코, 라디오 방송 개시
12. 아프가니스탄, 라디오 방송 개시
1928. 플로이머(Pfleumer), 자기 테이프의 특허 취득
1928. 미국, FRC(Federal Radio Commission, FCC의 전신) 설립
1928. 미국, 최초의 실험방송국 주 정부 허가
1928. 미국 Bell연구소, 컬러TV 공개
1928. 미국 AT&T가 동화상을 시카고에서 뉴욕까지 전송(전화선을 이용한 최초의 비디오 전송실험)
1928. 미국 WGY-TV가 알렉산데르손(Alexan-derson)의 TV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초의 TV 드라마 실험방송(40분간 무대제작 전송)
1929
국내
1. 1 경성방송국, 〈신년 축하방송〉을 닭울음소리로 개시
2. 16 경성방송국, 개국 2주년 자축프로그램 주간 설정, 기념방송 실시
2. 경성방송국, 방송국 전사원에 청취자 모집수 할당, 청취 보급운동 실시
3. 1 경성방송국, 방송시간 및 방송편성 대폭 개정
4. 19 경성방송국, ‘꽃(花)의 주간’ 설정, 특집방송 실시
4. 경성방송국 경성라디오드라마연구회, 방송극 〈밤주막(夜酒幕)〉 방송
5. 13 경성방송국, 9월 12일 개장 예정인 ‘조선박람회’ 선전방송 실시(총독부 경비 전담)
6. 10 경성방송국, 인정·풍속·화제를 담은 윤백남 작 〈한국 고담(古談)〉 방송 시작
6. 30 경성방송국, 소사(素砂) 수신중계소 설치
7. 30 경성방송국, 일본방송협회와의 중계연락방송 정식으로 승인받음
8. 19 경성방송국, 독일 비행선 체펠린호 일본 착륙실황 중계방송
9. 12 경성방송국, 조선박람회 개장으로 경복궁에 JODK특설관 및 임시방송실 개설(9.12∼10.30, 공개방송 실시)
12. 경성방송국, 1929.4.1~1930.3.31까지의 총방송시간 2,474시간 25분 기록
해외
1. 16 영국 BBC, 주간지 〈리스너(Listener)〉 창간
2. 1 영국 버드 소장, 남극 비행시 최초의 단파송신
2. 이탈리아, TV 실험방송 개시
4. 미국 NAB, 프로그램과 광고에 관한 윤리코드(윤리강령)를 작성
5. 11 룩셈부르크, 상업방송을 목적으로 ‘룩셈부르크방송기술연구회사’ 설립
6. 27 미국 벨연구소, 뉴욕에서 컬러TV 유선실험(영상송신) 성공
9. 30 영국 BBC, 첫 TV 실험 방송
9. 미국 뉴욕에서 3마일간 TV극 전송에 성공
10. 소련, 국제방송 ‘라디오 모스크바’ 공식 업무 개시(러시아어·독어·프랑스어·영어로 첫방송 시작)
11. 1 불가리아, 라디오방송 개시
12. 25 미국·영국·독일·네덜란드, 크리스마스축하 국제 실험방송 실시
12. 스웨덴, 라디오학교 방송 시작
12. 이탈리아, TV 실험방송 시작
12. 오스트레일리아, A급방송국을 정부가 매입, 국영방송국이 됨(국영국의 시설 운영은 우정성이 하고 프로그램은 오스트레일리아방송회사가 제공)
12.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라디오국(사영) 방송 개시
1929. 미국 CAB(Cooperative Analysis of Broadcasting), 전화에 의한 방송 청취율 조사 개시
1929. 미국 판스워스(Farnsworth), 완전한 전자식 TV시스템 공개(1931년 Philco전자 합류)
1929. 미국 RCA 합류
1929. 미국 젱킨스, Kinescope CRT 특허 출원
1929. 미국 젱킨스, 전전자식 TV카메라와 TV시스템 공개
1929. 영국 존 L. 베어드, BBC 라디오타워에서 전송 개시
1929. 영국, 학교방송중앙위원회 개설
1930
국내
1. 1 경성방송국, 파장을 주파수로 개정
2. 16 경성방송국 1주일간에 걸쳐 개국기념프로그램 편성, 〈JODK 어린이대회〉, 현상 연속 기담(奇談) 〈백란당(白蘭堂)의 사(死)〉(윤백남 작) 등
3. 1 경성방송국, 〈조선연예방송〉 일본방송 종료 후 실시
3. 20 경성방송국, 방송국 간부 일행 일본방송협회산하 방송국 시찰
6. 경성방송국, 유럽 원정학생단의 육상경기실황 중계(중계시간 3시간 45분)
7. 경성방송국, 단가(短歌) 〈조선 고유음악〉 일본에 중계─민요 해설 김영팔
7. 경성방송국, 일본 6개 대학 야구리그의 패자 게이오대(慶應大)팀 내한경기 중계
10. 27 경성방송국, 〈국제교환방송〉 일본으로부터 첫 중계(일·영·미 방송)
10. 31 경성방송국, 4월부터 10월 30일까지 야구중계 70회 방송
12. 31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10,971대 기록
12. 경성방송국, 1930년도 총방송시간 2,943시간 50분 기록
12. 경성방송국, 수원에 임시 수신중계소 신설 ─수원·소사·본국 사이 유선 연결 교대방송 실시
12. 경성방송국, 조선극장에서 ‘계림8도(鷄林八道) 명창대회’ 중계
해외
1. 29 포르투갈, 방송에 관한 법률 공포
4. 1 일본, 주식회사 도쿄방송(TBS) TV 개국
6. 1 일본 NHK기술연구소(일본방송협회기술연구소) 설립
7. 1 이탈리아, 국제방송 개시
7. 30 미국 NBC, 뉴욕에서 TV실험국 ‘WIXBS’ 개설
7. 세계 라디오 청취자수 약 2,630만 명 돌파
11. 21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대전력국(60㎾) 운영 개시(대전력국 운영개시 이후 3년간에 6 방송국이 60㎾로 증강)
11. 인도 정청(政廳)이 인도방송회사 인수, 라디오방송 재개
12. 멕시코, 〈라틴아메리카의 소리(XEW)〉 방송 개시
12. 미국 NBC, RCA 소유가 됨
12. 브라질 라디오방송국, 전국에 16국
12. 오스트레일리아, 상업방송국연맹 설립
12. 튀니지, 라디오방송 개시(프랑스보호령 시대)
1930. 미국 판스워스(Farnsworth), Image Dissector 픽업튜브 특허 취득
1930. 미국 NBC, 블루네트워크 15분 뉴스방송 개시(월∼금, 18:45분부터)
1931
국내
2. 경성방송국, 이중방송 실시계획 착수
11. 경성방송국, 주안(朱安)수신소 설치─10구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 2대, 일본 고쿠라(小倉), 구마모토(熊本)국의 프로그램 일부를 정기 중계
12. 26 경성방송국, 경성방송극협회(비전속 단체) 발족
12. 31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14,733대 기록
12. 경성방송국, 1931년부터 1945년까지 국악·아악 프로그램 편성을 이왕직 아악부에 전담시킴
12. 경성방송국, 국악·아악 방송은 이왕직 아악부 연주실에서의 연주를 유선으로 중계─담당 아나운서 김동익
해외
1. 독일, ‘베를린방송회관’ 개관
2. 12 라디오 바티칸(Radio Vatican), 마르코니(G. Marconi) 설계에 의해 첫 전파 발사
2. 24 스위스, ‘스위스방송협회(SRG)’ 설립
2. 25 타이, 라디오 본방송 개시
2. 일본, 「NHK라디오연감」 창간
2. 노르웨이, 학교방송 개시
4. 1 일본,(주)일본방송출판협회(NHK출판) 설립
4. 14 프랑스, 파리에서 첫 TV 공개실험 실시
4. 6 일본 도쿄중앙방송국, 라디오 제2방송 개시
4. 소련 모스크바에서 TV 실험방송 시작
6. 15 스위스 제네바에 국제연맹 방송국 ‘라디오네이션’ 설치
8. 1 독일, 역사상 최초로 고선명도 야외 중계방송시작
9. 18 일본, 만주사변 발발을 임시뉴스로 방송
10. 6 미국, 단엽기(單葉機) 미스 비도르호 태평양 무착륙 비행 성공
10. 미국 NBC TV실험국,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에서 방송
12. 22 중국 대만방송협회(JFAK)가 라디오 본방송 개시
12. 25 에콰도르, 〈안데스의 소리〉 종교방송 실시
12. 31 미국, 수신기 대수 1,400만 대 돌파
1931. 미국 CBS TV, 실험방송 실시(1941년 TV 본방송 시작)
1931. 미국, 비영리 교육라디오용으로 주파수 할당을 규정한 ‘페스법안’을 상원에 제출
1931.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TV방송 개시
1932
국내
1. 10 경성방송극협회, 방송극 〈양부(良夫)〉 방송─박승희 작·연출
3. 사단법인 경성방송국,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로 개칭
3. 조선방송협회, 총재·부총재·고문제 실시
4. 7 조선방송협회, 방송과를 방송부로 승격─ 제1 방송과(일본어), 제2 방송과(조선어) 분리
4. 7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설립
7. 1 경성방송국, 〈라디오체조〉 시간을 아침방송으로 개편
7. 경성방송국, 도쿄전기주식회사에 방송기 2대 제작 의뢰
8. 6 경성방송국, 정동연주소(貞洞演奏所) 착공
8. 6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 착공(10㎾ 이중방송용)
9. 경성방송국, 일본의 〈전국뉴스〉 중계, 감독검열관계상 방송 중지
10. 경성방송국, 조선극우회방송극 〈항구의 비가(悲歌)〉 방송─연출 이서구
10. 25 경성방송국, JODK방송 일본으로 처음 중계
11. 경성방송국, 최초의 우리말 아나운서 모집 ─박충근, 남정준, 최아지(여), 김문경(여)
12. 31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20,562대
12.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 준공
12. 경성방송국, 정동연주소 준공
해외
1. 8 오스트리아, 학교방송 개시
1. 31 스위스, 제네바 세계군축회의 전세계에 방송
1. 미국 상원에 방송국 영화를 심의하기 위한 결의안 제출
5. 2 영국 BBC, 런던에 방송회관 개관
5. 17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방송위원회법 제정
5. 27 캐나다, 라디오방송법 제정(캐나다방송위원회 CRBC 설치 결정)
7. 1 오스트레일리아 ABC가 종래의 국영방송국을 통해서 방송 실시
7. 일본, 로스앤젤레스올림픽 실감(實感)방송을 현지에서 중계
8. 13 일본 기타큐슈(北九州)지방 전파 교란─‘난징(南京)의 꾀꼬리’라 칭하던 여자아나운서 대일 선전에 활약(본방송 개시 11.13)
8. 13 중국 난징방송 실험방송 개시(출력 75㎾)
8. 영국, 최초의 TV프로그램 실험방송 실시
10. 미국 NBC, TV 실험방송 실시
11. 13 일본 기타큐슈지방 전파교란 본방송 개시
11. 13 중국 난징방송국 75㎾출력으로 방송 개시
11. 미국 GE와 웨스팅하우스, 법무부와의 동의심의 결정에 따라 RCA주를 매각(NBC는 RCA의 100% 자회사가 됨)
11. 일본, 최초로 녹음방송 실시
12. 19 영국, 해외자치령 식민지 대상 단파방송 시작
12. 룩셈부르크 라디오룩셈부르크, 유럽 유일의 라디오국제방송 개국(영어·불어)
12. 브라질, 연방무선통신법 제정
1932. 영국 BBC가 Nipkow Disk를 이용 TV방송(1만 대의 TV 수신기 보급)
1933
국내
1. 10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 10㎾ 이중방송 시설 착공
2. 14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우정〉 방송(연출 유치진, 게오르크 카이젤 원작)
2. 24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 조정실험 개시
4. 6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 실험방송 실시
4. 18 경성방송국, 체신국으로부터 연희방송소 10㎾ 송신설비 검정증서 받음
4. 26 경성방송국 제2방송, 1일 16시간 방송 실시
4. 26 경성방송국, 윤백남 초대 제2방송과장 취임
4. 26 경성방송국, 연희방송소 개소
4. 26 경성방송국, 연희송신소를 통해 이중방송(2원방송) 개시
4. 29 경성방송국 제2방송, 〈이중방송 축하 특별방송〉 실시
4. 29 경성방송국 제2방송, 〈공개 실연의 밤〉 개최 및 생방송 중계(경성부 공회당)
4. 29 경성방송국, 강석연 작 〈유행가〉 방송
4. 29 경성방송국, 녹성(綠星)동요연구회원 〈동요〉 방송
4. 29 경성방송국, 조선방송극협회 방송무대극 〈약수(藥水)〉 방송(유치진 연출, 싱 원작)
4. 29 경성방송국, 조선아동극연구회원 방송극 〈토끼〉 방송─지휘 김봉면
4. 29 경성방송국, 중앙악우회(中央樂友會) 관현악단 〈관현악〉 방송─지휘 박경호
4. 29 경성방송국, 창 〈남도단가(南道短歌)〉 방송─김소희, 지용구
4. 29 경성방송국, 민요 〈가야금병창〉 릴레이방송
4. 경성방송국, 방송차단기 설치(일본인 감독관이 감청 조작)
4. 경성방송국, 체신국 방송감독계와 직통전화 신설
4. 조선총독부, 체신국 방송감독계 신설
5. 1 경성부 내, 전화가입자 8,700명(한국인 가입자 1,400명)
6. 22 경성방송국, 일본 와세다 권투부-조선권투구락부 대항전 실황중계(경성운동장)
6. 경성방송국, 소사수신소가 일본 도쿄 교외기누타의 NHK’기술연구소에서 발신한 초단파를 명확하게 청취
7. 15 서울-도쿄 직통전화 개시
7. 21 경성방송국, 〈제2회 라디오체조회〉 실시
8. 5 경성방송국, ‘지방도시의 밤’ 기획
8. 29 경성방송국, 방송극회 라디오플레이미팅 방송극 〈노차부(老車夫)〉 방송
9. 26 경성방송국, 라디오플레이미팅 방송극 〈양귀비의 죽음〉 방송─박진 연출
11. 13 경성방송국, 〈조선어 강좌〉 개시─강사 권덕규, 텍스트 발행(3년 후 한국어말살운동으로 폐지)
11. 13 경성방송국, 윤백남 제2방송과장 사임
11. 13 경성방송국, 제2대 제2방송과장 김정진 취임
11. 26 경성방송국, 〈대구의 밤〉 현지 중계
12. 31 경성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32,058대
12. 경성방송국, 라디오플레이미팅 방송극〈철로상의 두 사람〉 방송
12. 조선방송협회 주지과(周知課), 전가입자에게 월간 「DK뉴스」지 무료 배포
12. 조선방송협회, 특수 서비스사업 실시(무료순회 진찰)
해외
1. 1 일본, 자동식 시보기(時報機) 사용 개시
1. 노르웨이, 의회 결정에 따라 방송사업을 정부 관리에 둠
3. 12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의 라디오방송 〈노변정담(爐邊政談)〉 방송 시작
4. 7 미국 벨연구소, 입체 음악 전송 실험
4. 미국, CBS뉴스의 독자취재 개시
4. 포르투갈 국영방송, 중파로 실험 방송
5. 1 소련, 모스크바방송 500㎾로 출력 증강
6. 1 프랑스, 라디오 수신료제도 실시
6. 독일 나치스, 방송을 국유화
7. 1 노르웨이, 방송법에 따라 국유기업인 노르웨이방송협회(NRK)를 설립(민영방송을 인수)
10. 8 이탈리아 EIAR, 제4회 라디오견본시장(밀라노) TV 실험방송 공개
12. 미국, 아이코노스코프 발명
12. 미국 신문·통신사, 라디오네트워크와 뉴스취재 협정 체결(AP·INS·UP 등 각 통신사가 라디오용으로 편집한 30초 뉴스를 네트워크에 판매)
12. 필리핀, 방송법 개정
12. 모잠비크, 라디오 방송 개시(라디오클럽)
12. 짐바브웨, 라디오 방송 개시(영국령 로디지아시대)
1933. 미국, 605개 방송국에서 라디오방송 실시
1933. 미국 암스트롱이 FM 전송실험 RCA에서 시연
1933. 캐나다, 33개 방송국에서 라디오방송 실시
1934
국내
1. 8 경성방송국 제2방송, 전일본대상 정기 중계 첫 방송(이왕직 아악부 연주실에서의 아악 연주, JODK 관현악단 반주에 왕수복 노래 유행가 3곡 방송)
1. 28 경성방송국, 〈부산의 밤〉 현지 중계
1.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앵화원(櫻花園)〉 연속 3회 방송
1. 경성방송국, 뉴스재방송 22:00 이후까지 연장
2. 2 경성방송국, 연예·오락프로그램 〈국경경비대 위안의 밤〉 일본에 중계
2. 13 경성방송국, 〈조선 어린이의 인사와 노래〉, 〈창가 모음〉 일본에 중계
2. 18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연속방송극 〈카튜샤〉 방송
2. 25 경성방송국, 〈개성의 밤〉 현지 중계
3. 1 경성방송국, 도쿄방송국의 〈산업뉴스〉 뒤에 〈이 고장 산업뉴스〉 방송 개시
3. 7 경성방송국, 〈경성의 4계절〉 일본에 중계
3. 26 경성방송국, 꾀꼬리회 어린이동요 〈합창〉 일본에 중계(곡목: 달아, 새야, 비야, 반달)
4. 1 경성방송국, 최초로 경마 실황 중계
4. 6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의 광산에 대하여〉 일본에 중계
4. 8 경성방송국, 〈신의주의 밤〉 현지 중계
4. 26 경성방송국, 이중방송 개시 기념 연예방송〈삼성혈 전설〉 일본에 중계
4. 26 경성방송국, 10㎾ 이중방송 개시 1주년 기념방송 일본에 중계
5. 4 경성방송국, 〈조선가곡〉 일본에 중계─가요 모음, 김수창 외
5. 13 경성방송국, 〈군산의 밤〉 현지 중계
5. 17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 인삼에 대하여〉 일본에 중계
5. 22 경성방송국, 〈함흥의 밤〉 현지 중계
6. 15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에서의 광업과 자원〉 일본에 중계
6. 21 경성방송국, 〈이왕직 아악·민요〉 일본에 중계─대금독주 강석연
6. 27 경성방송국, 평양 부근에서 방공연습 실황 중계
7. 1 경성방송국, 최초의 수상경기 실황 중계─경성부영(京城府營) 풀
7. 25 경성방송국, 〈남도 민요〉 일본에 중계─수심가(愁心歌), 미나리타령, 회심곡, 대취 타, 노래 장학선
7. 25 경성방송국, 삼창취악단(三昌吹樂團) 〈대취타(大吹打)〉 일본에 중계
7. 27 경성방송국, 함북 나남에서 방공연습 실황중계
7. 31 조선방송협회, 방송심의회 설치(매월 1회, 월중 방송순서 편성 프로그램 내용을 사전에 검열)
7. 경성방송국, 신민요 현상모집 실시
7. 경성방송국, 정동연주소 단파수신장치 설치
8. 1 경성방송국, 1일 1회 〈폭풍경보의 시간〉 특별방송
8. 4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에서의 수해에 대하여〉 일본에 중계
8. 5 경성방송국, 〈원산의 밤〉 현지 중계
8. 9 경성방송국, 〈조선의 기후〉 일본에 중계
8. 10 경성방송국, 세계 여자올림픽 실황(국제방송) 일본에서 중계
8. 18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 산업의 실태〉 일본에 중계
8. 18 경성방송국, 제1회 방송심의회 개최
9. 4 경성방송국, 도쿄 학생예술좌방송극 〈절해(絶海)에서〉 방송(주영섭 역·연출, 유진 오닐 작)
9. 9 경성방송국, 방송극 〈태양〉 방송(김영수 연출, 골즈워디 작)
9. 14 경성방송국, 일본 체신성 방송금지 사항을 한국 방송감독기관인 총독부 체신국에 통고
9. 24 경성방송국, 〈진남포의 밤〉 현지 중계
9. 28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의 추제(秋祭)〉 일본에 중계
10. 7 경성방송국, 〈평양의 밤〉 현지 중계
10. 9 경성방송국, 〈조선의 민요와 풍년무〉 일본에 중계─새타령, 산타령, 풍년춤(농악), 노래 김종기·이기화
10. 28 경성방송국, 〈대구의 밤〉 현지 중계
10. 30 경성방송국, 슈트라우스 탄생 70주년 기념 일·독 국제방송 일본에서 중계
10. 31 경성방송국, 〈조선과 제국의 국방〉 강연 실황 일본에 중계
11. 9 경성방송국, 〈남도 민요〉 일본에 중계─보념(報念), 성주풀이, 남도아리랑, 노래 오태석
11. 9 경성방송국, 〈신가요〉 일본에 중계─마의 태자, 노래 김추월
11. 11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승자와 패자〉(골즈워디 작) 방송
11. 29 경성방송국, 강연 〈조선 경제의 전망〉 일본에 중계
12. 9 경성방송국, 어린이시간 〈전설동화〉 일본에 중계
12. 31 경성방송국, 〈조선에서의 연말연시 행사들〉 일본에 중계
12. 경성방송국, 〈조선어 어린이신문〉 시간 방송 개시(시국의 중대 뉴스를 어린이에게도 전해주기 위함)
12. 경성방송국, 라디오플레이미팅방송극 〈레미제라블〉 연속 3회 방송(박진 연출, 빅토르 위고 작)
12. 경성방송국, 방송 감청 직원 상주
12. 경성방송국, 신의주·평양·함흥·대구·원산·청진 등지에 수신기 보급 기술원 주재
12. 경성방송국, 자동차라디오선전대·시장라디오선전대 파견, 수신기 보급 선전 실시
1934. 경성방송국, 경성관현악단 탄생
해외
1. 8 일본, 국내 방송국 저녁 7시 30분부터 특집방송 편성하여 JODK 직접 중계방송 개시
4. 1 독일, 전방송국을 국영방송국으로 흡수, 프로그램 편성의 중앙집권화 시작
4. 18 일본, 음성을 수반한 TV 실험방송 개시
4. 일본, 전국을 대상으로 학교방송 개시(학교방송의 전국방송 시작)
5. 1 미국 WLW국(신시내티), 출력 500㎾로 실험방송 시작(1939.3.1 출력 50㎾로 감축)
5. 이집트, 라디오방송 개시
6. 15 미국, ‘1934년 통신법’ 개정에 따라 연방라디오위원회(FRC)를 ‘연방통신위원회(FCC)’로 개칭
6. 26 스페인, 국영방송 설립을 위한 방송법 제정
6. 미국, ‘1934년 통신법’ 제정
6. 미국, 비영리 교육라디오국에 25%의 주파수 할당을 규정한 ‘와그너 하이필드’ 법안 부결
7. 1 미국, 1934년 통신법 제정
7. 11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발족
9. 1 몽골, 라디오방송 개시
9. 15 미국, 뮤추얼방송사(MBS) 설립
10. 2 미국 MBS, 방송 시작
12. 스페인, 방송사업 국영화
12. 시에라리온, 라디오방송 개시
12. 폴란드, 방송사업 국영화
1935
국내
1. 2 경성방송국, 당선 〈신민요〉 일본에 중계─노래 이난영
1. 2 경성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합악(合樂) 봉황령(鳳凰口令)〉 일본에 중계
2. 9 경성방송국, 〈인천의 밤〉 현지 중계
2. 13 경성방송국, 〈국경 경비의 노래〉 일본에 중계
2. 25 경성방송국, 〈조선의 민요·가곡〉 일본에 중계─노래 이진홍·김수창
2. 조선방송협회, 청취자 여론조사 실시
3. 4 경성방송국, 〈조선의 전설동화〉 일본에 중계─윤백남 작
3. 6 부산방송국, 동래 수신중계소 착공
3. 6 부산방송국, 사옥 착공
3. 17 경성방송국, 일본 도쿄에서 내외지간 방송연락회의 개최(조선방송협회 참가)
3. 28 경성방송국, 신민요 〈무정의 세월〉 일본에 중계─노래 선우일선
3. 경성방송국, 해상안전주간에 따른 방송 7일간 실시─심전개발(心田開發) 프로그램
3. 경성방송국, 부산방송국 동래수신소 상호간 반송식(搬送式) 방송전용 중계연락선로 신설
4. 13 경성방송국, JODK 전속오케스트라 조직(홍난파 주재)
4. 26 경성방송국, 수하동(水下洞) 소녀회의 〈동요〉 일본에 중계
4. 27 경성방송국, 경성정악단 정악 〈영산회상(靈山會相)〉 일본에 중계
4. 27 경성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아악 〈유황곡(維皇曲)〉 일본에 중계
4.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춘희〉 연속 3회 방송
4. 경성방송국, 방송편성회 설치(매월 2회 제2·4 금요일 개최)
4. 경성방송국, 사업 확장에 따라 정동 사옥 북동쪽에 사옥 증축공사 착공
5. 9 경성방송국, 영국왕 즉위 25주년 기념 일본에서 중계
5. 14 경성방송국, 〈프랑스 음악〉 일본에서 중계
5. 21 경성방송국, 강연 〈낙랑문화에 대하여〉 일본에 중계
5. 21 경성방송국, 경성부 의원선거 개표상황 철야 방송
5. 31 경성방송국, 경성부 내 금융조합홀에서 농산어촌 진흥관계 관·민합동회의 실황을 3일간 중계─심전개발 프로그램
6. 1 경성방송국, 여름철 청취자서비스 프로그램으로 〈레코드 음악〉 방송
6. 14 경성방송국, 〈노작가(勞作歌)〉 일본에 중계─노래 조상선
6. 23 경성방송국, 〈네덜란드 음악〉 일본에서 중계
6. 경성방송국, 〈농민의 날〉 실황 중계
6.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버드나무 선 동리의 풍경〉 방송─유치진 작, 홍해성 연출
6. 경성방송국, 남한 4개도에 걸친 〈농촌릴레이〉 방송(1개월간 농민들의 체험담, 농부가)
6. 경성방송국, 농촌진흥가 현상모집 심전개발 프로그램
7. 3 경성방송국, 제일고보의 하모니카 4중주 방송
7. 4 경성방송국, 〈미국독립기념일〉 일본에서 중계
7. 14 부산방송국, 동래 수신중계소 개소
7. 20 경성방송국, 국고보조금 19,000원(圓) 받음
7. 21 경성방송국, 전선(全鮮) 라디오체조회 실시
7. 22 경성방송국, 동래수신소와 경성방송국 사이 최초로 유선중계 개시
7. 조선방송협회, 제1기 방송망 구성계획 착수
8. 16 경성방송국, 〈부다페스트올림픽 파견선수〉 일본에서 중계
8. 25 경성방송국, 〈조선명소 순례〉 일본에 중계(경주·경성·평양·금강산 명소 순방 소개)
9. 12 경성방송국, 〈서도민요·신민요〉 일본에 중계
9. 16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홍발(紅髮)〉 방송─이헌구 역, 홍해성 연출
9. 17 경성방송국, 경성중앙방송국으로 개칭
9. 20 부산방송국, 사옥 준공
9. 21 부산방송국(제1방송), 첫방송 개시(현 KBS부산방송국 개국일)
9. 21 부산방송국(제1방송), 〈개국축하 특별방송〉 중계 방송
9. 26 경성중앙방송국, 청구어린이서클 동화극 〈효녀 심청〉 일본에 중계
9. 경성방송국 극예술연구회, 방송극 〈관대한 애인〉 방송(유치진 연출, 어빙 작)
10. 1 경성중앙방송국, 〈조선가요의 변천〉 일본에 중계─김수창 외
10. 1 경성중앙전화국, 최초로 자동전화교환기설치(가입자 9,038명)
10. 4 최초의 발성영화 〈춘향전〉 단성사에서 개봉
10. 26 경성중앙방송국, 〈조선의 민요〉 일본에 중계─김옥엽 외
10. 총독부, 일본의 국무대신·중신 등의 강연을 24시간 내 번역·방송토록 강요
11. 28 경성중앙방송국, 강연 〈조선의 양반도와 일본의 무사도〉 일본에 중계
11. 경성중앙방송국, 정동 사옥 증축공사 준공
12. 1 경성중앙방송국, 최초의 한·만(滿) 교환방송 매주 일요일 실시 결정─조선의 민요·창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과, 한국인 직원 방송극 〈신안채귀방어(新案債鬼防禦)〉 방송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세모방송 〈경주 봉덕사의 종소리〉 일본에 중계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53,099대
12. 경성중앙방송국, 〈종교강좌〉, 〈경전강좌〉, 〈부녀강좌〉, 〈농촌특별강좌〉 등 한국인 사상 선도를 위한 프로그램 매주 2∼3회 방송
12. 경성중앙방송국, 연간 일본 대상 중계 종목별 횟수 연예 10회, 강연 6회, 실황 4회, 어린이시간 4회
12. 경성중앙방송국, 일본 나니와부시(浪花節) 곡조의 신작가요 〈가담(歌談)〉 제작 방송
해외
3. 22 독일 베를린에서 세계 최초의 주사선 180본 방식 TV 정시방송 시작
4. 9 독일, 최초의 공공 TV시청장 개설
4. 15 일본, 학교방송 전국 방송 개시
4. 30 독일, 최초의 TV중계 생방송
4. 영국, 방송위원회 위원장에 얼즈워터 임명
4. 이탈리아 마르코니, 61회 생일을 맞아 로마에서 전세계에 인사말 방송
4. 26 프랑스 에펠탑에서 TV 실험방송 개시(주사선 60본 방식)
6. 1 일본, 북미 대상 해외방송 시작(일본 해외방송 개시)
7. 22 네덜란드, 방송시설을 독점 소유하는 관·민합동 출자의 ‘NOZEMA’ 설립
7. 말레이시아, 영령(英領) 말레이시아방송사 설립, 면허기간 10년
10. 12 독일, 라디오에서 재즈음악 방송 금지
10. 15 파푸아뉴기니, 라디오방송 개국
11. 6 미국 E.암스트롱, 라디오기술학회에서 FM방송 기술 완성 공개 발표
12. 25 브라질, 전남미 가톨릭방송국 상파울루에 설립(출력 100㎾)
12. 가나, 라디오방송 개시(유선방송으로 시작), 1940년부터 무선라디오방송 개시
12. 미국, TV 정식업무 개시
12. 피지, 라디오방송 개시(FBC의 전신)
12. 아르헨티나, 라디오방송 개시
12. 몰타(Malta), 라디오방송 개시
1935. 독일, AEG 및 Telefunken Magnetophone 테이프녹음기 개발
1935. 독일, 세계 최초의 공영방송 서비스 개시
1935. 미국 암스트롱이 출력 50㎾ FM 실험방송 개시
1935. 미국, RCA의 사노프(Sarnoff)가 100만 달러 규모의 TV개발에 투자, TV연구 프로그램 발표
1936
국내
1. 11 경성중앙방송국, 〈조선의 정월놀이와 풍속〉 일본에 중계
1. 11 경성중앙방송국, 라디오등록 50,000대 돌파 축하 방송(경성 부민관에서 2일 동안 중계)
1. 20 경성중앙방송국, 〈수양강좌〉 매주 1회 방송 개시─심전개발 프로그램
1. 23 경성중앙방송국, 〈국경 경비의 노래〉 일본에 중계(함북 회령에서)
1. 25 조선총독부 학무국, 사상계 설치
1. 경성중앙방송국, 라디오플레이미팅방송극 〈그들의 새 봄〉 방송
2. 2 경성중앙방송국, 〈전월(前月)의 기상 개황〉 매월 2일 1회 야간방송 시간중 방송 개시
2. 5 경성중앙방송국, 한국의 동화 〈조선의 호랑이〉 일본에 중계
3. 16 경성중앙방송국, 〈조선의 역사-부산항〉 일본에 중계
3. 17 경성중앙방송국, 일본 도쿄에서 방송연락회의 개최(NHK측과 JODK이 일본 방송 정책에 보조를 맞추기 위하여 열림)
3. 23 평양방송국 설립 인가
4. 8 경성중앙방송국, 강연 〈조선의 야담에 대하여〉 일본에 중계
4. 9 평양방송국, 실험방송 허가
4. 10 평양방송국 제1방송, 실험방송 개시
4. 11 평양방송국 제2방송, 실험방송 개시
4. 16 경성중앙방송국, 동요 〈봄〉 외 10곡 일본에 중계
4. 24 경성중앙방송국, 〈유행 가요곡〉 일본에 중계─노래 선우일선, 강홍식
5. 5 경성중앙방송국, 강연 〈조선에서의 심전개발 운동에 관하여〉 일본에 중계
5. 13 평양방송국(이중방송), 사옥 기공
5. 20 경성중앙방송국, 〈상식강좌〉 방송 시작
5. 31 경성중앙방송국, 〈새들의 아침〉 실황 일본에 중계(광릉 숲속에서)
5. 경성중앙방송국, 라디오방송 소설 공모
5. 조선방송협회, 제4회 특별서비스기술자 강습회 개최(수강생 58명, 선발자 7명)
5. 바하마, 라디오방송 개시
6. 1 경성중앙방송국, 〈농사강좌〉 방송 시작(매주 일요일)
6. 7 경성중앙방송국, 〈초여름의 야외음악〉 일본에 중계(서울 삼청공원에서)
6. 30 경성중앙방송국, 경성제대 외과교실에서 외과수술 실황중계
7. 1 경성중앙방송국, 〈중선(中船) 대어풍경(大漁風景) 실황〉 일본에 중계
7. 1 경성중앙방송국, 〈야간 뉴스〉 방송 후 〈이달의 천체 안내〉 매월 1,15일 실시
7. 21 경성중앙방송국, 제3회 라디오체조회 개최(참가 인원 2,027,180명)
8. 2 경성중앙방송국, 〈제11회 베를린올림픽대회 실황〉 일본에서 중계
8. 2 경성중앙방송국, 〈퉁소와 가야금 연주〉 일본에 중계─유동초 외
8. 5 청진방송국(이중방송), 사옥 기공
8. 11 경성중앙방송국, 전설동화 〈할머니와 호랑이〉 일본에 중계─최남선 작
8. 31 경성중앙방송국, 〈가면무와 사자무〉를 황해도 사리원에서 전국 및 일본에 중계
9. 2 경성중앙방송국, 태풍 경보에 관한 임시방송 실시
9. 5 경성중앙방송국, 강연 〈신라사(新羅史)의 회고〉 일본에 중계
9. 16 경성중앙방송국, 북선(北鮮)지방의 방공연습 이동방송반 파견
9. 29 경성중앙방송국, 남선(南鮮)지방의 방공연습 이동방송반 파견
9. 경성중앙방송국, 학교방송중 〈조례의 시간〉, 〈유아의 시간〉, 〈교사의 시간〉 일본에서 중계
10. 1 경성중앙방송국, 〈보름달 밤의 다듬이소리〉 실황 일본에 중계(개성, 만월대 고려 왕궁지에서)
10. 19 경성중앙방송국, 〈조선 동요〉 일본에 중계
11. 6 경성중앙방송국, 〈국민정신 진작주간〉 특별방송실시
11. 8 평양방송국(이중방송), 사옥 준공
11. 8 평양방송국, 낙랑 수신중계소 준공
11. 15 경성중앙방송국, 부관(釜關)연락선 금강호 견학 시승 실황 중계
11. 15 평양방송국, 개국 및 본방송 개시
11. 22 평양방송국, 개국 축하식 및 개국 축하 특별방송 중계
11. 29 경성중앙방송국, 〈민요·유행가요곡〉 일본에 중계─노래 김복희
11.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50㎾ 출력 증강공사 착공
11. 경성중앙방송국, 한·만 수교방송 축제일에도 계속 실시 결정
12. 10 경성중앙방송국, 강연 〈조선의 천연기념동물〉 일본에 중계
12. 12 경성중앙방송국, 민요 〈아리랑타령〉 일본에 중계─노래 이진홍
12. 15 경성중앙방송국, 도쿄방송국의 〈전국 뉴스〉 중계 부활
12. 17 조선무선강습소 개설(한국 최초의 무선교육기관)
12. 20 경성중앙방송국, 방송극 현상모집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등록대수 73,247대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연간 일본대상 중계 종목별 횟수 연예 6회, 실황 9회, 강연 7회, 어린이시간 1회, 소학생의 시간 1회
12. 31 청진방송국, 사옥 준공
12.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1936.1.1부터 12. 31까지 총방송시간 111,280분 기록
12.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낮방송시간을 제1방송이 중계방송에 주로 사용
12. 경성중앙방송국, 제2대 제2방송과장 김정진, 신병으로 별세
12. 경성중앙방송국 제3대 제2방송과장 심우섭 취임
12. 경성중앙방송국, 함흥 250W·이리 500W ·신의주 50W 방송국 설립 준비 착수
해외
1. 1 독일, 라디오 광고방송 중지
1. 15 독일, TV방송국 ‘폴 니포카우’ 개국
2. 27 이탈리아, 전기통신업무 국가통제하에 실시
6. 미국 FCC, FM과 TV에 관한 공청회 개최
7. 1 이라크, 라디오방송 개시
8. 1 일본, 독일 베를린올림픽 실황 중계
8. 1 독일 제11회 베를린올림픽, 67개국 방송기관이 방송(8.1~8.16)
8. 6 일본, 손기정 베를린올림픽대회 마라톤 우승중계(세계 신기록 2시간 29분 19초 2)
9. 19 영국, 매일 2회 베이드방식과 마르코니방식을 번갈아 사용한 TV방송 시작
11. 2 영국 BBC, 최초의 TV 본방송 개시
11. 2 캐나다, 캐나다방송위원회(CRBC) 대신 캐나다방송협회(CBC) 설립
11. 15 미국 RCA, 주사선 343본 방식에 의한 TV방식 실연
11. 중국, 신징(新京, 현 창춘[長春])·다롄(大連)·펑톈(奉天, 현 선양[瀋陽])·하얼빈에서 광고방송 실시 및 만주전기회사 신징 100㎾(만주어)와 10㎾(일본어)의 이중방송 시작
12. 17 미국 NBC, 남경방송에 의한 장개석의 유괴사건 보도
12. 17 프랑스 라디오평론가, 유니언 결성 및 라디오비평 개시
12. 미국, 뉴욕-필라델피아 간 동축케이블 테스트 실시
12. 스페인, 내란으로 방송 기능 각광받음
12. 나이지리아, 라디오방송 개시(영국 식민지시대)
12. 뉴질랜드, 국영방송기관 NBS 설립
12. 남아프리카공화국, 남아프리카방송협회(SABC) 설립
12. 그리스, 라디오 정시방송 개시
12. 앙골라 라디오쿠르베(상업방송), 라디오방송 개시(포르투갈령)
12. 인도, 전인도라디오(AIR) 설립
12. 칠레, ARCHI(칠레방송연맹) 결성
1936. 터키, 상업국 라디오방송 국영화
1937
국내
1. 10 경성중앙방송국, 주파수 변경(제1방송 710㎑, 제2방송 970㎑)
1. 21 경성중앙방송국, 〈부업강좌〉 실시
2. 11 경성중앙방송국, 궁중음악 〈이왕직 아악〉 일본 전체에 중계
2. 17 경성중앙방송국, 농아에 관한 강연 및 체험담 방송
2. 25 경성중앙방송국, 〈창극〉 일본에 중계(조선성악연구회)
2. 28 경성중앙방송국, 〈전국청년 라디오웅변대회〉 중계
3. 15 경성중앙방송국, 동요 〈푸른새〉 외 10곡 일본에 중계
3. 17 총독부, 일어 철저 사용 통첩을 각 관서에 발송
3. 21 경성중앙방송국, 대구 서문시장에서 〈조선의 시장 풍경〉 실황 일본에 중계
3. 경성중앙방송국, 라디오플레이미팅방송국 〈도깨비〉 방송─연은룡 작
3. 경성중앙방송국, 라디오플레이미팅방송극〈아버지의 마음 좋지〉 방송─남궁춘 작
3. 경성중앙방송국, 청취자 배가운동 실시 일환으로 라디오 판매가격 세트당 20% 할인 실시
4. 17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출력 50㎾로 증강
4. 26 경성중앙방송국, 방송개시 10주년 기념 방송 실시
4. 경성중앙방송국, 〈소학생의 시간〉 신설
5. 23 경성중앙방송국, 〈기생학교〉 평양에서 중계
6. 5 강덕(康德) 수신중계소 개소
6. 5 청진방송국(제1방송) 개국
6. 조선방송협회, 직제 개정(회장제 실시)
7. 11 총독부, 한국의 신문방송에 대해 국민정신총동원 계획 실천에 협력 요망
7. 19 경성중앙방송국, 〈뉴스 해설〉 50㎾ 장치로 일본에서 중계 방송
7. 19 경성중앙방송국, 일본에서 방송되는 <중·일전쟁(지나사변) 뉴스〉 제2방송에서도 우리말로 중계 방송
8. 23 경성중앙방송국, 〈중국어 뉴스〉 50㎾ 장치로 일본에서 중계
8. 경성중앙방송국, 공습경보를 알리는 방송체제 구축
9. 13 경성중앙방송국, 〈영어 뉴스〉 50㎾ 장치로 일본에서 중계
9. 조선총독부, 정보위원회 설치. 문서과 보도계 신설(뉴스방송 프로그램 통제)
10. 경성중앙방송국, 〈주간 정보의 시간〉 신설(일본 내각 정보, 총독부 정보 등 번역 방송)
10. 경성중앙방송국, 국민정신 작흥운동에 따라 수시로 〈특별강연〉 방송 실시
10. 경성중앙방송국, 정보위원회가 각 도지사에게 총후미담(銃後美談) 자료 수집토록 지시, 이것을 모아 방송
11. 경성중앙방송국, 〈군가의 시간〉 신설
11. 경성중앙방송국, 〈궁성요배(宮城遙拜 : 한국민들의 궁성을 향한 절 강요)의 시간〉 제1방송에서 실시
12. 13 경성중앙방송국, 대소련 선전전 〈노어 뉴스〉 일본에서 중계(소련의 적화선전 방송에 대처하기 위하여 매일밤 50㎾의 강력한 전파로 5분간 실시)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11만 2,032대
12. 경성중앙방송국, 방송편성회 진용 보강─총독부 정보위원회 간사 포함, 제1부(일본어) 제2부(한국어) 분리 개최
해외
2. 8 영국 BBC, TV 표준방식 결정(마르코니 EMI 방식 주사선 405본 방식으로 통일)
2. 11 미국, 필코회사 TV실험 공개(주사선 441본 방식)
2. 이탈리아, 모든 전기통신 업무를 국가통제하에 둠
2. 일본, 2.26사건으로 〈병사에게 고함〉을 계엄사령부에서 방송
4. 15 미국 CBS, 라디오아나운서와 PD조합 승인
5. 12 영국, 옥외 TV중계로 조지 6세 대관식 실황 방송
5. 15 미국 RCA, 8X10피트 확대 투사의 TV실험 공개
7. 7 중국, 중·일전쟁 발발, 방송국의 분산과 일본군에 의한 접수
7. 21 영국, 최초의 스포츠 생중계 TV방송(영국에서 개최된 윔블던 테니스경기대회에서 최초의 스포츠 생중계 TV방송 시작)
8. 1 이탈리아 마르코니, 심장 발작으로 로마에서 63세로 사망
11. 15 미국 벨연구소, 동축케이블에 의한 TV프로그램 송신실험 공개
12. 일본 NHK, 5분간의 〈노어 뉴스〉 방송 시작(소련 심리전 방송에 대한 역선전 일환)
1938
국내
4. 1 경성중앙방송국, 〈일본어 강좌〉 방송 시작
4. 19 총독부, 중학교 조선어시간을 수학·실업으로 대체시킬 것을 각도에 통첩
5. 15 경성중앙방송국, 〈새소리〉 창덕궁에서 전국 중계
6. 경성중앙방송국, 무선신극회 방송극 〈소낙비〉 방송─윤백남 연출
6. 경성중앙방송국, 단오날 풍경 평양에서 전국 중계
6. 경성중앙방송국, 특별 육군지원병에 관한 방송
7. 경성중앙방송국, 무선신극회 방송극 〈이도(二道)〉, 〈암귀(暗鬼)〉 방송─윤백남 작·연출
8. 30 경성중앙방송국, 〈장고봉(張鼓奉) 사건의 진상〉 일본에 중계
9. 3 경성중앙방송국, 경성실업야구연맹 추계리그전 실황 중계
9. 5 경성중앙방송국, 일본 빅터회사 경성취입소 견학 실황 중계
9. 13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기수영창지곡>, 〈오운개서조〉, 〈서일화지곡〉 중계
9. 17 경성중앙방송국, 추계 경마실황 중계
9. 24 경성중앙방송국, 제8회 전선(全鮮) 중등학교 축구대회 중계(평양의전 운동장)
10. 1 전주방송국 개국(현 KBS전주방송국 개국일)
10. 1 이리방송국(제1방송) 개국
10. 6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 〈처용무〉 연주 중계
10. 7 경성중앙방송국, 중등부 축구대회 실황 중계(서울운동장)
10. 15 경성중앙방송국, 전문학교 축구 결승전 중계(서울운동장)
10. 30 노창성, 함흥방송국장에 취임(최초의 한국인 국장)
10. 30 함흥방송국(제1방송) 개국
10. 경성중앙방송국, 경성-청진간 반송식 방송전용 중계연락선로 개설
11. 1 경성중앙방송국, 신부 노기남 〈성경해설〉 방송
11.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일본어 제1방송에서 방송하던 궁성요배 동시방송
12. 4 경성중앙방송국, 무대극 〈풍년기〉 중계─유치진 작, 윤훈 연출
12. 8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기수영창지곡〉, 〈황하청지곡〉, 〈수연장지곡〉 중계
12. 19 경성중앙방송국, 아동극 〈앵무새〉 방송─박흥민 작·연출, 출연 동심회
12. 24 경성중앙방송국, 동화극 〈엄마만 아는 일〉방송─홍은표 작·연출, 백양어린이회 출연
12. 일제, 조선 사상보도연맹 조직(사상운동 전력자 집단적으로 감시)
12. 경성중앙방송국, 〈풍습강좌〉, 〈일본음악 감상의 시간〉, 〈방공 문답시간〉, 〈생활개선 좌담회〉, 〈소비절약 좌담회〉 등 신설
12. 경성중앙방송국, 방송편성회 진용 군 당국을 포함 보강
12. 경성중앙방송국, 서울-평양간 반송식 방송전용중계 연락선로 개설(BC형 반송식 중계회선 1회선. MS형 반송식 전화회선 1회선 설치)
12. 경성중앙방송국, 이동방송차 등장(39.1. 이동 무선중계 시설 설치인가, 이때부터 실황 중계방송에 이용)
해외
1. 독일, 자기테이프 녹음장치의 방송사용 개시
1. 영국 BBC, 최초의 해외 대상 외국어방송 개시(아랍어)
3. 미국 FCC, 네트워크의 독점적 성격에 관한 조사 개시
3. 오스트리아, 독일에 합병되어 RAVAG 해산(독일이 방송시설 장악)
6. 이탈리아, 외국방송 수신 금지
7. 스웨덴, 해외 단파방송 개시
7. 일본, 중·일전쟁 개시로 보도프로그램 강화
8. 14 미국 CBS 특파원 웰스, 〈장고봉 사건의 진상〉 JODK 마이크로 방송
10. 20 타이, 국제방송 개시
10. 미국, 오슨 웰스의 라디오드라마 〈세계전쟁〉이 경제대공황을 상승시킴
12. 미국 CBS, 컬럼비아레코드 사 매입
12.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와 자그레브에서 TV 공개 실험
12. 캐나다, CBC가 브리티시 콜럼비아주에서 학교방송 개시
12. 프랑스, TV방식 주사선 445본으로 변경
1939
국내
1. 10 경성중앙방송국, 방송극 〈귀착지(歸着地)〉 방송─김경환 작, 윤봉춘 연출
1. 14 경성방송국, 이동 무선중계 시설 인가로 실황 중계방송용 이동방송차 운행 개시
1. 26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표정만방지곡〉, 〈하성조〉, 〈만파정식지곡〉 중계
1. 이리방송국, 관현악단 발족
3. 1 경성중앙방송국, 베이징(北京)무악원 중국음악 〈도화강〉, 〈경룡대고〉, 〈광동음악〉, 〈어광곡〉 중계
3. 10 경성중앙방송국, 성남중학교 입학실험 합격자 발표 방송
4. 1 조선방송협회, 청취료 월 1원(圓)에서 75전으로 인하
4. 10 조선방송협회, 동아방송협의회 구성원으로 가입(구성원 한국, 일본, 대만, 만주)
4. 19 경성중앙방송국, 대구·광주·신의주에 출장소 설치
4. 함흥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DK)
5. 4 경성중앙방송국, 제12회 전선(全鮮) 중등축구대회 결승전 실황 중계(보성전문 주최, 경성운동장)
5. 21 경성중앙방송국, 〈고마(古馬) 및 신마(新馬) 우승경주〉 경마 중계(함흥경마장)
6. 8 경성중앙방송국, 〈조기잡이 광경〉 일본에 중계(연평도 근해에서)
6. 25 경성중앙방송국, 〈농악놀이 실황〉 일본에 중계(강릉)
7. 23 경성중앙방송국, 전국 중등학교 야구대회 서선(西鮮)예선 실황 중계(평양 공설야구장)
7. 경성중앙방송국, 제2기 방송망 구성계획 착수
7. 경성중앙방송국, 캐나다 농구단 웨스턴팀 내한경기 실황 중계─최초의 농구중계, 아나운서 이현
8. 8 경성중앙방송국, 아동극 〈매미와 아이들〉방송─김상덕 작, 두루미회 출연
8. 9 경성중앙방송국, 〈녹야(綠野)에서 듣는 폭음〉 방송(비행장에서 녹음)
8. 경성중앙방송국, 아나운서 모집(5명 선발)
8. 경성중앙방송국, 제3대 제2방송과장 심우섭 사임
9. 1 조선방송협회 기구 개편, 제1·제2방송과를 부로 승격
9. 10 경성중앙방송국 경성방송관현악단, 〈관현악〉 방송(지휘 홍난파)
9. 경성중앙방송국, 이혜구 제2방송부장대리로 취임
10. 30 대구방송국, 사옥 착공
10. 30 조선방송협회, 신청사 준공
11. 10 일제, 한국인의 씨명(氏名)에 관한 건 공포(창씨 개명)
11. 23 경성중앙방송국 금붕어회, 아동극 〈즐거운 일요일〉 방송─송창일 작, 송민서 연출
12. 9 경성중앙방송국, 가요곡 〈반달뜨는 밤〉, 〈낙화유정〉, 〈마지막 혈시(血詩)〉 경성공회당에서 중계
12. 경성중앙방송국, 노창성 제4대 제2방송부장 취임
12. 경성중앙방송국, 연간 일본 대상 중계 종목별 횟수 강연 8회, 문예 4회, 실황 6회, 어린이시간 6회
12. 경성중앙방송국, 최초로 녹음기 도입─원반식 기계녹음 장치 알루마이트 반용(盤用)
해외
3. 1 미국 WLW국(신시내티), 출력 500㎾를 50㎾로 감축 방송
3. 소련, 모스크바에서 TV 정시방송 개시(주사선 343본 방식)
4. 스페인, RNE 마드리드방송국 개국
5. 1 미국 NBC, 뉴욕에서 개막된 뉴욕세계박람회 개막식 방송과 함께 TV 정시방송 개시(루즈벨트 대통령 최초로 TV 출연)
5. 13 일본 NHK 기술연구소, 처음으로 TV 전파 발사, 방송회관에서 수신기 공개
5. 17 미국 NBC, 미국 TV사상 처음으로 뉴욕시에서 개최된 프린스턴대와 컬럼비아대 야구경기 중계
5. 24 영국 다비, TV 첫 방송
7. 22 이탈리아 로마 TV 실험국이 주사선 441본 방식으로 송출 개시
7. 프랑스 우정성의 라디오방송부가 수상 관할로 이관
9. 1 독일, 외국 방송 수신금지
9. 1 영국 BBC, 국방상 이유로 TV 방송 중지
9. 1 오스트레일리아, ABC에서 국제방송 개시
9. 3 국제방송연맹, 제2차 세계대전으로 기능 정지
9. 21 룩셈부르크, 제2차 세계대전에서 중립을 지키기 위해 정부가 방송정지 명령
10. 인도 인도국영방송, 전인도라디오(AIR= All India Radio) 국제방송 개시
12. 바티칸, 라디오방송 본격 개시
12. 세네갈, 라디오방송 개시
12. 방글라데시, 라디오방송 개시
12. 버마(현 미얀마), 랑군(현 양곤)에서 라디오 정시 실험방송 개시(출력 10㎾)
12. 안도라, ‘라디오 안도라’ 개국
12. 자이르(현 콩고 민주공화국), 라디오방송 개시(벨기에령 콩고시대)
1939.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NBC가 방송, RCA는 수상기 판매
1939. DuMont 소비자용 TV 수상기 생산(최초로 TV수상기 판매)
1939. 미국 GE, 이동통신 위한 FM 시연
1940
국내
1. 1 경성중앙방송국, 경성라디오 어린이회 〈신년인사와 동화〉 방송
1. 1 경성중앙방송국, 국악 〈창〉 방송─박녹주
1. 1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아악〉 중계
1. 20 경성중앙방송국, 전선(全鮮) 고등아이스하키대회 실황 중계─동숭정(東崇町)대학 링크
2. 2 경성방송국, 대망월(大望月)풍경 실황 중계(평양, 함흥, 경성 3국 릴레이 방송)
2. 4 경성중앙방송국 조선성악연구회, 창극 〈춘향전〉 방송
2. 5 경성중앙방송국, 입체창극 〈삼고초려〉 방송─구성 이소부, 해설 한재군
2. 8 경성중앙방송국, 특집 〈여류 창악의 밤〉 방송
4. 15 경성중앙방송국, 경학원(經學院) 석존제(釋尊祭) 실황 중계
4. 22 경성중앙방송국, 제3회 전선(全鮮) 도시대항 축구대회 결승전 중계
4. 경성중앙방송국, 〈당선자에게 듣는다〉 좌담회 시간 신설(매월 1회)
5. 4 경성중앙방송국, 특집 〈어린이와 가정의 밤〉 방송
5. 16 경성중앙방송국, 전선(全鮮) 씨름선수권대회 중계
6. 1 경성중앙방송국, 〈여류문인의 밤〉 방송─최정희, 모윤숙, 이선희
6. 28 경성중앙방송국, 영생중학(永生中學) 〈취주악〉 방송
7. 5 경성중앙방송국, 〈해외 명작소설 낭독〉 방송─유진오 해설·낭독
7. 10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아악〉 중계─지휘 아악사(雅樂師) 이갑녕
7. 경성중앙방송국, 〈산업강좌〉 방송 시작
7. 경성중앙방송국, 〈상식강좌〉 방송 시작
7. 경성중앙방송국, 〈속성 일본어강좌〉 방송 시작
7. 경성중앙방송국, 〈어머니학교〉 방송 시작
7. 경성중앙방송국, 방송용어 및 화술연구회설치(우리말 방송에서 일본어 혼용 목적)
8. 11 경성중앙방송국, 〈제1회 중등학교 자전거선수권대회〉 중계 방송
9. 22 경성중앙방송국, 농구대회 실황 중계
10. 1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아악〉 중계─지휘 아악부 장인식
10. 30 대구방송국(제1방송), 임시방송 개시(호출부호 JBGK, 출력 50W, 주파수 630㎑)
10. 청진방송국, 이중방송 설치공사 착공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227,573대
12. 경성방송국, ‘가요정화협의회’ 설립
12. 경성중앙방송국, 〈황국신민의 서사(誓詞)〉, 〈일어 상용(常用)〉, 〈총독부의 시간〉, 〈국민총력의 시간〉 신설
12. 경성중앙방송국, 자기 녹음기 도입
해외
2. 미국 RCA, 컬러TV 실험방송 시작
5. 10 룩셈부르크, 독일군이 방송국 점령(1944. 9.10까지)
5. 일본, 라디오 수신 계약자 500만 돌파
6. 22 프랑스 페탱 내각 항복으로 프랑스인의 프랑스령내 방송금지
7. 중국, 화북광파협회(華北廣播協會) 설립
9. 1 미국 FCC, TV 광고방송 허가
9. 미국 CBS, 전자식 컬러TV 개발
9. 28 미국 W2XAB국, 전자식 컬러TV 실험방송 시작
9. 대만방송협회, 100㎾ 이중방송 시작
11. 미국 NBC, 최초로 대통령선거 개표결과 속보 TV로 보도방송
12. 일본, 내각정보국 설치, 방송은 정보국과 체신성에서 이중 감독
1940. 중국 충칭(重慶), 국제방송국 이용, 선무방송실시(광복군 정훈처 주관)
1940. 중국공산당, 옌안(延安)에서 실험방송 개시
1941
국내
1. 1 경성중앙방송국, 경성방송관현악단 〈현악〉 방송
1. 1 경성중앙방송국, 이왕직 아악부 〈아악〉 중계
1. 1 경성중앙방송국, 향우회(響友會) 방송극 〈아침〉 방송
1. 경성중앙방송국, 〈외지(外地)연락방송〉·〈동아릴레이방송〉을 〈동아중계방송〉으로 통합 개칭
1. 경성중앙방송국, 총력방송연구회 설치
3. 6 경성중앙방송국, 이병도 강연 〈신라문화의 특색〉 방송
3. 21 광주방송국, 이중방송시설 착공
4. 1 경성중앙방송국, 국민학교시행령에 의거 학교방송위원회 설치
4. 19 대구방송국(이중방송), 본방송 개시(현 KBS대구방송국 개국일)
4. 경성중앙방송국, 원산·대전·해주에 방송국 설립 계획
7. 1 일제, 한글전보 폐지
8. 부산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 AK)
8. 청진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 CK)
12. 6 강릉이동방송중계소(제1방송) 개소(호출부호 JBRK, 출력 30W, 주파수 600㎑, 현 KBS강릉방송국 개국일)
12. 8 경성중앙방송국, 미나미(南次郞) 총독이 성전(聖戰) 선포 방송
12. 9 경성중앙방송국, 일본 본토 방송전파 관제 실시
12. 31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272,000대
12. 경성중앙방송국, 전(全) 방송사업단체 협동으로 충칭(重慶)에 대한 전파 집중방송 실시
12. 경성중앙방송국, 종래의 방송심의회를 총력방송심의회로 강화 개편
12. 경성중앙방송국, 마산 등 7개 지역에 라디오상담소 설치
해외
1. 1 미국 FCC, 상업 FM방송국 설치 결정
1. 16 미국 FCC, 논설방송 금지
4. 30 미국 FCC, 상업 TV방송 시작 결정
5. 2 미국 FCC, 1사(社) 1네트워크로 제한하는 규칙 발표
5. 3 미국 FCC, 상업TV방송 방식을 주사선 525본으로 결정
5. 29 미국 FCC, 최초의 상업FM국 인가(WSM-FM국, 테네시)
6. 1 독일, 〈라디오잡지〉 발행 중지
6. 17 미국 FCC, WNBT국(뉴욕)에 첫 상업TV국 인가
6. 영국 BBC, 유럽 제국 대상 〈V캔벤〉 방송
7. 1 미국, 최초의 상업TV WNBT 방송 개시
7. 1 미국, 뉴욕에서 NBC·CBS가 TV 본방송 개시(최초 TV CM 방송)
12. 7 미국, 해군 소위였던 KLZ국(덴버) 기사장(技師長)이 일본군의 진주만 공격으로 사망(전시 라디오 관계자로 첫 전사자)
12. 8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 대일 선전포고 방송
12. 8 일본, 대미 선전포고 방송(오전 7시 태평양전쟁 개전 임시뉴스 방송)
12. 일본, 기상방송 중지
12. 소련, 독·소전쟁으로 TV방송 중지
12. 유고슬라비아, 독일군의 침공으로 전국 방송국 파괴, 지하방송 개시
12.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라디오방송 개시
12. 에티오피아, 라디오방송 개시
12. 잠비아, 라디오방송 개시
12. 카메룬, 라디오방송 개시
1941. 미국 NTSC, 525 주사선수 초당 30 프레임 표준으로 확정
1941. 미국, 전역에 400대의 TV 수상기 판매
1942
국내
2. 20 마산방송국, 개국(현 KBS창원방송국 개국일)
2. 조선방송협회, 전시 특별편성방침 수립
3. 1 개성방송국, 개국(보조간이방송소로 신설)
3. 1 천안방송국, 개국(보조간이방송소로 신설)
3. 21 광주방송국, 개국(이중방송 개시)
4. 17 일제, ‘아나운서’를 적성어(敵性語)로 규정, ‘방송원’으로 개칭
4. 27 일제, 한국에 방송전파 관제 실시(단일방송으로 환원)
4. 이리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FK)
5. 30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275,000대
9. 24 경성중앙방송국, 〈조선 무곡(舞曲)〉 전국 중계
10. 개성방송소(제1방송) 개국(출력 50W, 주파수 600㎑)
11. 1 목포방송국(제1방송) 개국
11. 경성중앙방송국, 〈동아중계방송〉, 〈대동아를 부른다〉 동아시아 각국 중계 개시
12. 27 VOA 단파사건(VOA 한국어방송 단파 수신사건) 발생
12. 27 개성방송소 소장 이이덕, 경기도 경찰국에 피검
12. 경성중앙방송국, 경성방송 전속극단 조직
12. 경성중앙방송국, 원산·신의주·마산에 방송국 설립 착수
12. 경성중앙방송국, 전파 관제로 인한 난청지역 수개소에 보조 방송소 설치
해외
1. 5 미국, 필리핀 마닐라 라디오국 시설 파괴(일본 수중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1. 미국, 전시체제하 방송 자주검열체제 확립
1. 일본, 마닐라방송국 방송 개시(점령지 방송국의 시작)
2. 15 스페인, 스페인국영방송망(REDERA) 설립
2. 15 일본 내각정보국, 전시 국내 방송프로그램 편성 기본 방책을 조선방송협회에 시달
2. 24 미국, 대외방송 〈VOA〉(미국의 소리) 개시
3. 22 영국, 레지스탕스를 위해 뉴스 공보를 모스 부호로 전달
4. 14 소련, 단파라디오로 일본어 국제방송 개시
4. 29 일본, ‘NHK교향악단’ 설립
4. 미국, 전시 체제에 따라 민생용 수신기 생산 중지
5. 일본, 동아 중계방송의 전용 연락시간 설정
7. 20 미국, ‘방송사업은 의무병역보다 중요한 산업’임을 선언
7. 일본 NHK국제국, 남태평양전선 미군에 모략방송 〈Zero Hour〉 개시
8. 29 미국 VOA, 최초로 한국어방송 개시(유경상 아나운서)
10. 10 벨기에 정부, 망명지 런던에 방송부(RNB) 설치(매일 30분 BBC 통해 라디오방송 실시)
11. 2 미국 OWI, VOA 해외 단파방송 개시
12. 모나코, 프랑스·독일·이탈리아 민간자본에 의한 ‘라디오 몬테카를로’ 창설
12. 미국, 군용방송 ‘AFRTS’ 발족
12. 오스트레일리아, 라디오방송법 제정(ABC와 상업국에 모두 적용)
1943
국내
1. 1 경성중앙방송국, 「방송지우(放送之友)」 발행
1. 경성중앙방송국, 〈병역준비강좌〉 제2방송에 신설
2. 15 조선방송협회, 춘천방송국 개국(호출부호 JBMK, 주파수 600㎑, 출력 50W)
3. 일제, 단파사건 공판 개시
4. 1 경성중앙방송국, ‘뉴스’를 적성어로 규정, ‘보도’로 개칭
4. 1 마산방송소(제1방송) 개소
6. 경성중앙방송국, 이혜구 제2보도과장 취임
6. 조선방송협회, 직제 개편(제1·제2 방송부 폐지, 편성과 제1·제2 보도과 신설)
7. 15 대전방송국(제1방송) 개국
7. 15 대전방송국(제1방송), 목동송신소 30W 송신기 설치
7. 15 원산방송국(제1방송) 개국
7. 30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28만 5,000대
8. 1 신의주방송국(제1방송) 개국
8. 1 해주방송국(제1방송) 개국
10. 경성중앙방송국, 연희방송소 중파 10㎾ 송신기를 중단파 5㎾ 송신기로 개조(2.51㎒)
11. 1 경성중앙방송국, 동아시아 중계프로그램 〈대동아를 부른다〉 폐지
11. 1 성진방송국(제1방송) 개국
11. 10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 주파수 1,080㎑로 방송 재개(이중방송으로 환원)
11. 10 원산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JK, 제1방송 660㎑, 출력 50W, 제2방송 900㎑, 출력 50W)
11. 10 해주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KK, 제1방송 800㎑, 출력 50W, 제2방송 1080㎑, 출력 50W)
11. 경성중앙방송국, 지하실에 비상용 방송시설 설치(녹음중계 및 생방송가능 시설)
11. 단파사건 결심 공판(실형 10명)
해외
1. 1 독일, 전독일 및 점령지구의 장·중·단파방송국, 나치의 전시 선전을 위해 동원
2. 27 영국, 육군 프로그램 개시
4. 1 일본, ‘일본방송협회건강보험조합’ 설립
5. 10 미국 연방최고재판소, FCC의 네트워크규칙을 지지하는 판결 선고
9. 8 이탈리아 항복 후에도 EIAR, 북부에서 방송 계속(연합군은 남부방송 관리)
9. 13 미국 아이젠하워, 이탈리아의 항복을 뉴스로 방송
10. 12 미국, 에드워드 노블이 NBC 블루 네트워크(라디오) 800만 달러에 매입
11. 일본, 다이쇼(大正) 14년 실험방송 개시를 기념해서 3월 22일을 일본방송 기념일로 결정
11. 일본, 도쿄방송국 중계방송 강화
12. 뉴질랜드, 국영방송 NZBS 설립
12. 미국, 퀴즈쇼 ‘65,000달러의 문제’ 프로그램 출현(퀴즈 붐의 원조)
12. 소말리아, 라디오방송 개시(북부 영국령 내)
1944
국내
1. 1 마산방송소, 국(局)으로 승격(마산방송국)
2. 조선방송협회, 진공관 재생공장 개설
3. 10 대구방송국(제1방송), 출력 300W로 증강(호출부호 JBGK)
3. 장전(長箭)송신소, 제1방송 개소(출력 50W, 주파수 600㎑)
8. 30 경성중앙방송국, 수신기 등록대수 300,050대
8. 경성중앙방송국, 적기 공습에 관한 정보방송 개시
10. 대전방송국 제1방송, 출력 300W로 증강
11. 10 대전방송국, 이중방송 개시(호출부호 JBIK, 제1방송 650㎑, 출력 300W, 제2방송 880㎑, 출력 50W)
12. 1 총독부 체신국, 지하방공통신사령국 설치
12. 20 춘천방송국(제1방송), 개국(현 KBS춘천방송국 개국일)
12. 경성중앙방송국, 한국어방송 폐지론 대두
12. 조선방송협회, 보도제일주의 방송 실시(전황 속보 위주)
해외
3. 22 일본, 제1회 ‘방송기념일(방송의 날)’
4. 1 일본, 통신원(通信院)에 전파국 설치
7. 스페인, REDERA가 폐지되고 스페인국영방송 ‘RNE’ 발족
10. 10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방송국 방송 재개
10. 26 이탈리아 EIAR, RAI(Radio Audizioni Italia)로 개칭, 발족
11. 22 폴란드, 폴란드방송 재개
11. 26 독일, 공습으로 베를린방송국 파괴(TV방송 중지)
11. 일본, 해외방송 최대 규모로 실시(15 송신, 24 언어, 1일 33시간 5분으로)
12. 1 기니, 국영방송 시작
12. 미국, 아메리카방송회사(ABC) 설립
12. 프랑스, RTF 국영화
12. 핀란드, 핀란드방송회사 ‘YLE’로 개칭
12. 알바니아, 국영방송국 설립(라디오방송 개시)
12. 솔로몬 군도, 라디오방송 개시
12. 시리아, 라디오방송 개시
1945
국내
3. 서산방송소, 제1방송 개소(출력 50W, 주파수 600㎑)
6. 16 청주방송국(제1방송) 개국
8. 1 일제, 전파관제 변경. 전국 8군 분할 동일주파수제 실시─단, 각 경보발국(警報發局)에는 단독 주파수 부여
8. 13 청진방송국, 일본군에 의해 폭파
8. 14 경성중앙방송국, 일본왕 항복방송 도쿄에서 중계
8. 15 경성중앙방송국, 일본왕 항복방송 재방송
8. 15 경성중앙방송국, 조선학도 대원들이 경비
8. 15 경성중앙방송국, 8.15 광복으로 JODK 시절 끝남
8. 15 조선방송협회 산하 전국 방송국수 16개
(광복까지 북한에는 평양·청진·해주·원산 등 5개소의 방송국이 있었음)
8. 16 경성중앙방송국, 아나운서가 뉴스 취재
8. 16 경성중앙방송국, 자위대 조직
8. 16 경성중앙방송국,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의 방송국 접수를 거부
8. 17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 안재홍, ‘한일 양민족의 자주 호양과 생명, 재산의 안전도모 요망’ 연설 방송
8. 17 일본군 보도부, 경성중앙방송국 접수
8. 23 전파관제 전면 해제
8. 23 조선방송협회, 산하 16개 방송국에 새 주파수 할당
8. 26 북한, 38선 이북의 방송 전용선로 단절
8. 25 미군 일부, 인천 상륙. 미·소 양군의 북위38도선 분할 점령을 미국서 방송
9. 1 경성중앙방송국, ‘동아 중계방송’ 폐지
9. 1 경성중앙방송국, 미국 샌프란시스코 단파방송 청취·번역하여 보도
9. 8 미국 제24군단, 인천 상륙 실황 녹음반 파견
9. 9 미군, 일본군 무장 해제하고 경성중앙방송국 경비
9. 9 경성중앙방송국, 서울 입성 실황 중계(조선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9. 9 경성중앙방송국, 일본 항복조인식 실황 중계(조선총독부 제1회의실)
9. 9 경성중앙방송국, 제1방송 일본어 방송 폐지, 제2방송을 제1방송(우리말)으로 변경
9. 15 경성중앙방송국, 17:30부터 다음날 12:30까지 방송 중단
9. 15 경성중앙방송국, 인민공화국 조각 발표 방송요청 거부
9. 15 조선방송협회, 한국인 직원들이 인수
9. 15 경성중앙방송국, 미군정청이 정식 접수
9. 15 조선방송협회, 직원 총회 및 임직원 선출
9. 16 경성중앙방송국, 정오부터 정규방송 재개
9. 16 경성중앙방송국, 첫 방송기자 활동 개시─ 문제안, 조동훈
9. 16 미군정청, 경성중앙방송국에 방송고문관 파견
9. 30 미군 WVTP, 방송 개시(부민관 내)
9. 통위부 보도과(초대과장 김종문 소령), 공보부 방송과와 협조 창구 역할
9. 미군정, KBS 원어 명칭 사용(KBS의 기원)
10. 2 서울중앙방송국(현 KBS), 기구 개편─편성과·방송과·업무과, 편성과장 김진섭, 방송과장 이계원, 업무과장 김억 취임
10. 2 조선방송협회, 일본인 직원 전원 해고
10. 2 조선방송협회, 한국인 임직원 정식 발령
10. 5 미군정장관 고문에 한국인 11명 임명─위원장 김성수
10. 14 평양방송국, 김일성 귀국 환영식 중계
10. 14 평양방송국, 방송 재개
10. 17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 박사 환국인사 방송
10. 22 춘천방송국, 화재로 전소
10. 24 미군정청, 방송감독관 윌리엄 글래스 중령을 조선방송협회에 파견
10. 24 서울중앙방송국, 일본인 귀국자 철수 요령 1일 1회 일본어로 방송
10. 서울중앙방송국, 〈국사강좌〉 방송 시작
10. 서울중앙방송국, 〈국어강좌〉 방송 시작
10. 서울중앙방송국, 전국 축구대회 경기 실황을 수원에서 무선중계(단파송신기 사용)
11. 7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이 ‘인민공화국’ 주석수락 거부성명 방송
11. 19 조선방송협회, 방송인 공개 채용
11. 21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 ‘공산당에 대한 나의 관념’ 방송
11. 24 서울중앙방송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 환국인사 방송
12. 7 춘천방송국, 임시 복구, 출력 50W로 방송재개
12. 15 조선방송협회, 라디오 수신기 가격 2.5배 인상
12. 20 합동통신 창간
12. 25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출력 50㎾ 송신기 복구
12. 26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이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의견을 방송
12. 27 모스크바 미·영·소 3상 회의, 한국 5개년 신탁통치 실시 결정 발표
12. 서울중앙방송국, 미국 샌프란시스코 VOA한국어방송 매일 아침 중계 개시
해외
2. 11 일본, 군관구의 개정으로 4군제(群制)에서 6군제로 전파 관제 변경
2. 25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방송국 단파방송 재개
2. 25 캐나다, CBC(캐나다방송협회) 국제방송 개시
2. 영국, 영연방방송연맹(CBA) 설립
3. 13 독일, 베를린방송 활동 재개
3. 프랑스, 전민영방송국의 면허 취소
5. 7 미국, 프랑스에서 독일 항복뉴스 방송
5. 7 소련, 모스크바방송국 TV방송 재개
5. 13 소련군, 베를린방송 재개
5. 미국 FCC, 새로운 상업TV용 전파 할당표 발표(VHF 13채널을 전국 140개 도시에 할당)
6. 5 독일, 무조건 항복으로 전방송국을 연합군이 접수
7. 29 영국, 경음악 중심의 라디오 ‘라이트 프로그램’(현재의 라디오 제2 방송) 개시
8. 6 일본, 히로시마(廣島) 중앙방송국의 방송기기 원자폭탄의 폭풍으로 고장, 당일로 수리. 다음날 지사 유고(諭告) 방송
8. 15 일본, 히로시마국·나가사키(長崎)국이 원폭 피해, 종전 조서(詔書) 녹음 방송
8. 31 연합군, 일본방송협회에 구두로 진주군용으로 방송시설 제공하라고 지시
8. 중국, 일본의 패전으로 일본관리의 전방송국을 국민당이 접수
9. 1 중국 옌안(延安)에서 중화인민방송국 본방송 개시(중국 방송기념일)
9. 2 연합군, ‘일본 정부에 대한 지령 제1호(방송·무선·통신시설의 유지·운용) 지시
9. 7 미국 극동사령부, 남한에 군정 선포
9. 7 베트남, 하노이에서 라디오방송 개시
9. 10 일본 미 점령군사령부(GHQ), ‘언론 및 신문의 자유에 관한 각서’ 하달
9. 11 미 태평양육군총사령부, NHK 일부 접수하고 이날부터 방송에 대한 검열 시작
9. 14 벨기에, 연합군 승리로 망명정부 귀국, 국왕 칙령으로 INR 재건 결정(RNB 폐지)
9. 19 일본 미 점령군사령부, 10개 항목의 프레스코드(신문 준칙) 발표하고 점령군에 불리한 보도 일절 금지
9. 22 일본, 전시중의 전파관제 폐지
9. 22 GHQ 라디오코드 지령 ‘일본에 부여하는 방송 준칙(라디오코드에 관한 각서)’발표
9. 일본 NHK, GHQ 명령으로 해외방송 정지
9. 말레이시아, 방송사업 일본군에서 영국군으로 이관
9. 싱가포르, 방송사업 일본군에서 영국군으로 이관
9. 인도네시아, 국영방송 RRI(인도네시아국영라디오방송) 설립
10. 미국 CBS, 컬러TV 실험방송 개시
10. 일본, 일본방송협회 부·과장회가 직원 조직의 결성을 제창
10. 프랑스, TV방송 주사선 441본 방식으로 재개
11. 8 프랑스, 방송기관은 국영 프랑스라디오TV방송(RTF)으로 됨
11. 11 일본, GHQ에서 NHK의 민주화 지시
11. 룩셈부르크, CLR 방송 재개
12. 20 FEBC(Far East Broadcasting Company) 설립
12. 31 영국, 육군 프로그램 중지
12. 그리스, 국영방송 EIR 발족
12. 일본 방송계 제1회 전국 직원대회 개최, 일본 방송협회 직원회 결성
12. 요르단, 라디오방송 개시
1945. 미국 FCC, 13개의 VHF 대역 채널 배정
1945. 미국 전역에 10,000대의 TV수상기 보급
1945. 일본, Tokyo Tushin Kogyo 설립(후에 SONY로 개칭)
1946
국내
1. 1 서울중앙방송국, 김구의 ‘반탁과 직장 복귀’ 호소 방송
1. 2 서울중앙방송국, 신탁통치 반대 중계방송반 구성
1. 5 서울중앙방송국, 안재홍이 반탁운동에 대해 방송
1. 15 VOA 한국어방송, 박헌영 내외 기자회견 내용 중계
1. 24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이 미·소 공동위의 토의 안건에 대해 방송
1. 28 서울중앙방송국, 강연 ‘신탁제에 대해서’ 방송─김관식
1. 28 서울중앙방송국, 국악 봉해룡의 〈당적독주(唐笛獨奏)〉 방송
2. 4 광주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
2. 15 38선 이북 지역, 전파관제 해제로 서울방송 청취 가능
2. 17 조선방송협회, 청취료 전납제 중지
2. 서울중앙방송국, 돈암장(이승만 거주)과 방송국간 중계선 가설
3. 1 서울중앙방송국, ‘3.1절 경축 보신각 타종’ 실황 중계
3. 10 서울중앙방송국, 〈국악 감상〉 신설
3. 10 서울중앙방송국, 〈양악 감상〉 신설
3. 20 제1차 미·소 공동위 개최(미국 아널드 소장, 소련 스티코프 중장)
3. 29 조선방송협회, 기구 분리
3. 미군정, 조선방송협회 산하의 각 방송국을 국영화 첫 조치 단행
3. 조선방송협회, 수입 두절된 진공관 재생
3. 서울중앙방송국, 강연·강좌 프로그램 신설
4. 1 서울중앙방송국, 기구 개편(기획과·연출과·방송과·업무과 신설)
5. 13 조선방송협회, 무허가 청취자 일소방안 현상 공모
5. 16 서울중앙방송국, 〈경기도시간〉 방송 시작
5. 16 서울중앙방송국, 방송극 〈경전(京電)시간〉 방송
5. 21 서울중앙방송국, 〈체신부시간〉 신설
6. 3 이승만, 정읍에서 ‘남조선만이라도 즉시 자율적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고 연설
6. 10 서울중앙방송국, 〈노동자의 시간〉, 〈경연극(輕演劇)〉, 〈신민요〉 방송
6. 18 서울중앙방송국(KBS), 김순애 작곡발표회 실황 중계(경기여고 강당)
6. 북한, 평양방송국을 평양중앙방송국으로 개칭
7. 29 조선방송협회, 청취료 징수규정 개정(종전 가구 단위제를 수신기 대상 월 10원(圓)으로)
7. 서울중앙방송국, 전국 10개소에 라디오상담소 설치
8. 서울중앙방송국 기술직원, 처우 개선 요구로 파업
8. 서울중앙방송국, 신작 ‘창극조(唱劇調)’ 공모
9.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공개 모집─이진섭, 이성수 채용
9. 서울중앙방송국, 진공관식 시보장치 제작 사용 개시
10. 18 서울중앙방송국, KBS 약자 명칭을 처음 사용
10. 18 서울중앙방송국, 첫 기본 방송순서 편성 실시
10. 18 서울중앙방송국, 프로그램 신설─〈청취자문예〉, 〈신인문예〉, 〈똘똘이의 모험〉, 〈학생의 시간〉, 〈뉴스레뷰〉, 〈신작창극조〉 등
10. 18 서울중앙방송국, 1일 9시간 방송에서 아침·낮·저녁 방송시간 30분씩 연장 1일 10시간 30분 방송 실시
10. 18 서울중앙방송국, 15분 단위 프로그램 및 정시 방송제 채택
11. 30 조선방송협회, 방계(傍系)로 조선전기산업주식회사 설립(라디오 수신기 보수 및 진공관 재생 업무 이양)
12. 5 북한, 북조선통신사 창립
12. 12 남한, 과도 입법의원 개원(의장 김규식)
해외
1. 22 일본, GHQ 지시로 방송민주화 위한 ‘방송위원회’ 발족
1. 일본, 〈노도지만(喉自慢) 소인(素人)음악회(아마추어노래자랑)〉 방송 시작
1. 일본, 일본방송협회 직원회를 일본방송협회 종업원조합으로 변경
2. 9 일본, 일본신문통신 노동조합(신문 단일) 결성대회(마이니치 도쿄 본사)
2. 26 일본 방송협회 종업원조합, 일본신문통신 노동조합에 가맹, 지부로 활동
3. 7 미국 FCC, 방송국 퍼블릭서비스 프로그램 편성의 책임을 강조하는 ‘블루북(Blue Book)’ 발표
3. 일본, 전후 최초의 수신기 조사 실시(1일평균 4시간 59분 청취)
3. 일본, 최초의 선거방송 실시
4. 1 말레이시아, 방송 기구 개혁으로 싱가포르를 본부로 한 ‘라디오말레이시아’ 발족
4. 미국, 방송국들의 프로그램 제작에 테이프 레코더 사용 증가
4. 베네수엘라, 국영 라디오방송국 개국
4. 아르헨티나, 페론대통령 집권 후 대통령 연설이나 정부 홍보 방송을 위해 국영방송외에 ‘라디오 엘몬드국’ 등 매입
6. 1 영국 BBC, 라디오·TV 종합 수신료(종합 수신 허가료) 신설
6. 7 영국 BBC, TV방송 재개
6. 15 일본 NHK, 방송문화연구소 설치
6. 28 국제방송기구(OIR, 현 OIRT) 발족
6. 일본 NHK, TV에 대한 연구 재개
7. 22 일본, 신문 단일을 일본 신문통신방송 노동조합으로 개칭
7. 일본, 드라마 〈辱ね人(욕하는 사람)〉 방송시작
8. 19 일본, 전일본 산업별 노동조합 회의(산별회의) 결성
9. 29 영국 BBC, 라디오 ‘제3방송’ 방송 시작
10. 일본 NHK, 방송협회 종업원 조합 파업으로 국가관리 실시(10.8∼10.25)
10. 소련, 모스크바방송국에서 FM 라디오방송 개시
10. 남북아메리카방송연맹(IAAB) 발족
10. 버마(현 미얀마), 버마국영방송 설립
12. 오스트레일리아, ABC에 의회 의사록 수록과 방송 의무화하는 법률 제정
1947
국내
2. 4 서울중앙방송국, 출력 50㎾로 복구
3. 서울중앙방송국, ‘KBS 방송극회’ 발족
4. 19 서울중앙방송국, 서윤복 보스턴마라톤대회 우승 방송
4.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에 자작(自作) 5㎾ 단파송신기 설치
4. 서울중앙방송국, 프로그램 심의제도 실시
5. 1 강릉 이동방송중계소, 출력 250W로 증강
5. 1 서울중앙방송국, 청취료 10원(圓)에서 40원(圓)으로 인상
5. 5 서울중앙방송국, ‘KBS방송 전속 어린이노래회’ 발족─지도 김순흥
5. 15 전주에 이리방송국 연주소 설치
5. 29 북한 김일성, 북조선 노동당 중앙위 상무위에서 ‘방송사업을 개선 강화할 데 대하여’ 발표
5. 서울중앙방송국, KBS방송 전속 관현악단 발족─지휘 김생려
5. 서울중앙방송국, 턴테이블 33회전 방식 최초로 도입
6. 서울중앙방송국, KBS방송 전속 경음악단 발족─지휘 박시춘·손목인
6. 서울중앙방송국, 방송 전속 가수제 실시─이예성·김백희·송호도·왕두옥·원방현·이계예
6.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4명 공채(서명석·위진록 등)
7. 28 서울중앙방송국, 방송국장 외 3명 미·소 공동위 소련측 대표의 남산 인민대회 연설 내용 인용방송으로 불구속 조사
7. 부산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
7. 서울중앙방송국, ‘KBS방송 전속 합창단’ 발족─담당 최희남
7. 서울중앙방송국, ‘가정주부 위안의 밤’ 마련, 가극 〈위대한 함성〉 방송
8. 6 서울중앙방송국, 남로당 세포조직 검거
8. 8 대구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
8. 17 서울중앙방송국, 인천에서의 해군 편대 연습 실황 무선 중계방송
8. 서울중앙방송국, ‘라디오방송 규칙’ 제정
8. 서울중앙방송국, ‘정당(政黨) 강연’ 프로그램 폐지
8. 서울중앙방송국, 청취료 40원(圓), 청취자 185,000여 명. 청취료 징수 매월 700만 원(圓)에 이름
8. 서울중앙방송국, 초대 서울중앙방송국장 이혜구 사임
8. 서울중앙방송국, 프로그램 대폭 개편
9. 3 국제무선통신회의, 한국에 호출부호 ‘JO’ 대신 ‘HL’ 할당
9. 15 서울중앙방송국, 조선음악회와 매월 정기연주 방송 계약
9. 서울중앙방송국, ‘KBS뉴스 편집요강’ 작성
9. 서울중앙방송국, 구(舊) 왕궁 아악부의 편종과 편경 각 1대씩 국악 스튜디오에 이전
10. 1 방송호출부호(콜사인) HL 사용 개시
10. 5 서울중앙방송국, 마셜 미국 국무장관 안을 지지하는 국민대회(서울운동장) 실황을 보도하지 않아 물의 야기
11. 1 목포방송국, 사옥 신축공사 준공
12. 1 강릉 이동방송중계소, 강릉방송국으로 승격(호출부호 HLKR)
12. 서울중앙방송국, 〈스무고개〉 프로그램 공개방송 시작
12. 서울중앙방송국, 청취료 40원(圓)에서 50원(圓)으로 인상
12. 서울중앙방송국, 홍양명 제2방송국장 취임(47.12.∼48.10.)
해외
1. 일본, GHQ 명령으로 ‘2.1 제네스트 중지’ 방송
1. 15 네덜란드, 네덜란드라디오방송연맹(NRU) 설립
3. 23 독일, 전후 독일 최초의 단파방송 엘므스호룬방송국에서 시작(주파수 49㎒, NWDR의 프로그램)
3. 이집트, 라디오방송 국영화
4. 1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3지역 임시주파수 회의 개최
5. 미국, 애틀랜틱시티에서 국제무선통신회의 개최(종래의 중파방송 주파수 550㎑를 1605㎑로 변경)
8. 14 파키스탄, 라디오방송 개시
10. 일본 GHQ 방송법, 기본방침 지시
12. 19 미국, 비행기 1대로 지상국(地上局) 14국에 상당하는 스트래토비전 발족
12. 23 미국, 트랜지스터 발명
12. 인도, 독립 직후 AIR국 국영화
12. 오스트레일리아, FM 실험방송 개시
1947. 미국, 월드시리즈 야구 시청자 400만
1947. 미국, 최초 녹음 라디오 프로그램 방송
1947. 영국, 학교방송 중앙위원회를 학교방송심의회로 개정
1947. 영국, 홀로그래피 개발
1948
국내
1. 15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3지역 임시 주파수 회의에 한국 대표 파견 기도, 소련의 반대로 좌절
1. 16 서울중앙방송국, 유엔 한국위원들과 단독 인터뷰 방송(유엔 한국위, 소위원회 구성)
1. 서울중앙방송국, 왜색 가요 일소 위해 우리가곡 작곡 위촉. 이를 보급키 위한 전속가수 모집
2. 강릉방송국, 사옥 준공
2. 북한, 평양중앙방송국을 북조선 중앙방송국으로 개칭
3. 서울중앙방송국, 방송희극 각본 현상모집
4.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중계용 단파 5㎾ 송신기 자체 제작 설치(7.935㎒)
5. 14 서울중앙방송국, 북한의 송전 중단으로 절전 캠페인 방송
6. 1 미군정청, 군정청 공보부 폐지 및 방송사업 조선방송협회로 이관
6. 조선방송협회, 총무국·업무국·기술국·중앙방송국의 4국으로 확충 개편
7. 20 서울중앙방송국, 초대 정·부통령 선출 제헌국회에서 실황 중계 방송
7. 24 서울중앙방송국, 정·부통령 취임식 실황 중계 방송
7. 30 서울중앙방송국, 제14회 런던올림픽대회 중계 방송
8. 1 서울중앙방송국, 청취료 50원(圓)에서 100원(圓)으로 인상
8. 4 초대 공보처장 김동성 취임
8. 6 조선방송협회, 명칭을 대한방송협회로 변경하고 방송사업 국영화 반대 운동
8. 7 대한방송협회 소속 방송국, 정부조직법에 따라 공보처의 하부조직으로 편입
8. 15 대한민국 공보처 방송국, 9과(편성과·문예과·방송과·기술과·조정과·송신과·서무과·업무과·경리과)로 개편
8. 15 공보처, 북한동포 대상 프로그램 송출 위한 방송국 직제 개편 및 시간 편성
8. 15 서울중앙방송국, 대한민국 공보처 방송국으로 개편(한국 국영방송 KBS 발족)
8. 15 서울중앙방송국, 방송국 직원을 정식으로 공무원으로 발령
8. 15 서울중앙방송국, 이관희 제3대 서울중앙방송국장 취임
8. 15 서울중앙방송국,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식 실황 중계
9. 22 정부, 언론단속 7개항 발표(북한지역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서자 각 언론사에 보도금지 7개항 시달)
10. 7 공보처, 대한방송협회 인수
10. 19 서울중앙방송국, 마산 국립요양소와 소록도 나환자촌의 현지 녹음 취재반 구성
10. 20 서울중앙방송국, 소록도 나환자촌 현지 취재반이 순천에서 반란군에 납치되었다 탈출
10. 27 KBS청주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
10. 12 북한, 북조선통신사를 조선중앙통신사(KC NA)로 개칭
10. 서울중앙방송국, 기자 10명 증원(총 18명)
10.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4명 공채
11. 1 중앙방송국을 비롯한 전국 방송 HL부호 사용 개시
11. 20 국회, 국가보안법안 통과(1948.12.1 공포)
11. 20 체신부, 전무국 무선과에서 분리시킨 전파국 신설
11. 국방부 정치국(초대국장 김홍일 장군) 보도과 KBS와 협조 창구 역할
11. 북한, 북조선중앙방송국을 조선중앙방송국(대남 및 대외)으로 개칭
12. 6 KBS강릉방송국, 출력 300W로 증강, 주파수 650㎑로 변경
12. 17 한국기독교연합회(NCC), 연합회 산하에 음영위원회 구성, 기독교방송국 설립을 구체적으로 추진
해외
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방송(ORF) 광고방송 개시
1. 일본신문통신방송 노동조합, 방송지부 산별과 신문단일에서 탈퇴하기로 결정, 조직을 개조해 일본방송협회 노조 결성
2. 미국 RCA, 16인치 TV용 금속성 키네스코프에 성공
3. 일본, 전국노동조합연락회의(전노련) 결성
3. 일본, 일본방송노동조합(약칭 일방노) 결성
5. 이스라엘, 독립 선언과 함께 비합법 방송 Kol Israel(이스라엘의 소리)이 국영방송으로 라디오방송 개시
6. 미국 벨전화연구소, 트랜지스터 발명
8. 30 미국 FCC, 채널 할당 재검토를 위한 TV 동결령 공포(방송국 건설허가 중지)
8. 서독, 바이에른·헤센·브레멘 등에 각기 방송협회 설립
8. 일본 NHK, 방송망 확충 5개년계획 결정
9. 18 이탈리아 RAI, 이탈리아상 콩쿠르(라디오) 창설
10. 1 이탈리아, FM 실험방송 개시
10. 서사모아, 라디오방송 ‘2AP’ 방송 개시
10. 소련, 레닌그라드방송국 TV방송 개시
10. 오스트레일리아, ABCB 오스트레일리아 방송관리위원회 설립
11. 4 소련, 주사선 625본 방식에 의한 최초의 TV 실험방송 시작
12. 21 미국, 수신기 대수 4,000만대 돌파
12. 21 미국 벨연구소에서 트랜지스터 발명
12. 브라질, 라디오방송국 전국에 200개에 달함
1948. 독일, 영국 점령지에서 Norddeutscher Rundfunk(함부르크 소재) 실험적 TV방송 시작
1948. 미국 CBS, 컬러TV 개발 선언
1948. 미국 오리건주 파슨스(Ed Parsons)가 시애틀의 공중파를 수신하기 위해 동축 케이블 설치
1948. 미국 ABC, 네트워크TV 방송 개시
1949
국내
1. 4 서울중앙방송국, 각 방송국의 아침방송 개시 신호를 차임에서 종소리와 닭울음소리로 변경
1. 북한, 국제방송 개시
4. 서울중앙방송국, 연속방송극 〈다정불심(多情佛心)〉 방송 시작─박종화 작
6. 15 체신부·공보부, 기독교방송 설립 인가
7. 5 서울중앙방송국, 김구 선생 국민장 실황 중계방송
7. 26 KBS대전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
8. 공보처, 기감제(技監制) 신설─초대 기감 이계원
8. 서울중앙방송국, 대일 방송 개시
8. 서울중앙방송국, 이혜구 제4대 서울중앙방송국장 취임
10. 국방부 정훈국(초대국장 송면수), 보도과 방송계를 두어 KBS와 업무 협조
10.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6명 공채
11. 1 서울중앙방송국, 방송인 최초의 도미 시찰 ─송영호, 배준호, 김옥렬
11. 1 서울중앙방송국, 청취료 100원(圓)에서 300원(圓)으로 인상(단파 50㎾와 중파 50㎾ 송신기 증설 위함)
11. 20 서울·부산·광주에 전파감시국 설치(대통령령 제217호)
11. 공보처, 제2대 기감에 한덕봉 임명
11. 서울중앙방송국, 노창성 제5대 서울중앙방송국장 취임
12. 20 국회, 방송사업 특별회계법안 가결
12. 28 서울중앙방송국, 월남 귀순한 북한작가 정백의 전향동기 등을 방송
12.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7명 공채
해외
6. 1 미국 FCC, 방송국의 논설방송 조건부로 인정
6. 영국, 방송위원회 위원장에 베버리지 임명
6. 소련, 625본 방식으로 TV방송 개시(소련 방식)
7. 대만, 〈자유중국의 소리(VOFC)〉 방송 개시
8. 일본, 로스앤젤레스에서 ‘전미 수상선수권대회’ 라디오 중계(전후 해외 최초 중계)
9. 1 프랑스, TV 수신료 제도 실시
9. 11 이탈리아, 밀라노와 토리노에서 주사선 625 방식에 의한 TV 실험방송 개시
10. 1 중국, 베이징(北京)에 중화인민공화국 국영방송국 설립
10. 3 폴란드, 라디오 제2방송 개시
10. 일본, GHQ의 검열 폐지
12. 1 일본 NHK, GHQ의 검열 폐지에 따른‘NHK 방송준칙’ 제정
12. 15 프랑스, 주사선 819본 방식에 의한 TV방송 개시
12. 소련, 최초로 야외 TV 중계방송 실시
12. 대만, 타이베이(臺北)로 천도와 함께 중화민국방송협회(BCC)도 옮김
12. 덴마크, TV 실험방송 개시
12.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국영라디오방송국 개국
12. 코트디부아르(Ivory Cost), 라디오방송 개시
1949. 미국, 탈턴(Robert J. Tarlton)이 필라델피아에 케이블TV 시스템 설비
1949. 미국, 국제 에미상(The International Emmy Awards) 창설
1950
국내
1. 10 서울중앙방송국, 직속 ‘방송문화사’ 설립
1. 30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6명 공채
3. 24 국회, 제61차 본회의에서 ‘지방방송국 설치법안’ 통과
3. 서울중앙방송국, 휴대용 철선(鐵線) 녹음기 1대 도입
4. 1 공보처 방송국, 9과에서 6과로 기구 축소
4. 10 지방방송국 설치법 공포(공보처 ○○지방방송국으로 명칭 변경)
4. 12 서울중앙방송국, 제54회 보스턴마라톤대회 실황을 미국 VOA의 협조로 녹음 방송
4. 22 서울중앙방송국, 9과를 6과로 축소
5. 5 KBS목포지방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
5. 16 이승만 대통령, 조만식을 김삼룡·이주하와 교환하자는 북한 제의를 조건부로 KBS를 통해 동의 방송
5. 26 서울중앙방송국, 국제 주파수회의에 정회원 가입 재신청
5. 29 체신부, 전파국 폐지하고 전무국(電務局) 전파관리과로 편입
6. 3 서울중앙방송국, 보스턴마라톤대회에서 1, 2, 3등 한 함기용, 송길윤, 최윤칠 선수의 귀국 실황을 김포공항에서 중계 방송
6. 25 공보처장 이철원, 국방부 정훈국장 이선근에게 KBS의 군관리 구두 요청
6. 25 북한의 남침 제1보, 국방부 발표로 방송(07:00)
6. 25 1950년 현재 대한민국방송국 11개
6. 25 6.25사변으로 전국 10개 방송국 중 8개국 파괴
6. 26 국방부 정훈국, 뉴스 검열 실시
6. 26 국방부장관 신성모, KBS 통해 담화방송
6. 26 서울중앙방송국, 임시 프로그램 편성, 종일방송 실시
6. 26 주한 미국대사 무초, KBS 통해 담화방송
6. 26 국방부 정훈국, KBS 관장
6. 27 서울중앙방송국, 공보처장 이철원 명으로 정부 수원천도 방송에 대한 취소 방송
6. 27 서울중앙방송국, 국방부장관 신성모 요청으로 정부 수원천도 방송(정부, 대전으로 이전)
6. 27 서울중앙방송국, 맥아더 사령부가 전방 지휘소를 6월 28일 서울에 설치한다는 뉴스 방송(16:00)
6. 27 서울중앙방송국, 북한 공군기 서울 내습으로 한때 방송 중단(11:00)
6. 27 서울중앙방송국, 시인 모윤숙이 즉흥시 낭독으로 국군 장병 격려 방송
6. 27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 대통령이 ‘의정부를 탈환, 서울시민안정’ 호소 방송(21:00 대전에서 서울 유선 중계)
6. 27 서울중앙방송국, 정동연주소 24:00 방송종료
6. 28 서울중앙방송국, 부산방송국으로 이전
6. 28 서울중앙방송국, 건국 후 최초로 허위 보도(이승만 대통령 특별담화)
6. 28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정규 프로그램 중단, 레코드 음악방송 07:45분까지 방송
6. KBS춘천방송국, 6.25사변으로 방송중단, 부산으로 피난
6. 서울중앙방송국 대북방송, 한국전쟁중에도 계속
7. 3 서울중앙방송국, 민재호 아나운서 도쿄 급파
7. 14 서울중앙방송국, 2일간 대구방송국에서 방송
7. 20 KBS마산지방방송국, 사옥 내부 개수공사 준공, 출력 50W로 증강
7. KBS대전지방방송국, 비밀실 마련
8. 7 KBS목포지방방송국, 50W 송신기 어선에 설치
8. 14 서울중앙방송국, KBS제주방송국 설치 위해 방송요원 출발
9. 10 KBS목포지방방송국, 해상 이동방송선으로 적전(敵前) 해안에서 방송(20여회)
9. 10 KBS제주지방방송국 개국(현 KBS제주방송국 개국일)
9. 19 서울중앙방송국, 서울 수복에 따라 방송국 선발대원 이종훈, 권오진, 송광조 등 인천 도착
9. 26 AFKN 라디오 발족(반도호텔에 본부 설치, 출력 5㎾, 주파수 560㎑)
9. 26 국방부 정훈국, 군방송대 방송요원 모집
9. 28 KBS목포지방방송국, 복구 즉시 사옥 접수, 방송 재개
9. 28 서울중앙방송국, 선발대원 서울중앙방송국에 도착
9. 29 서울중앙방송국, 광화문에서 가두 확성방송 실시
10. 1 서울중앙방송국, 유엔군과 함께 귀국한 민재호 아나운서가 반도호텔에서 1시간 방송
10. 3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비상스튜디오에서 방송 재개
10. 4 AFKN 라디오 개국(AFKN 방송 개시)
10. 5 KBS이리지방방송국, 시설 복구로 정규방송 재개
10. 19 국제주파수회의에서 정회원 가입신청 통과
10. 20 서울중앙방송국, 방송요원(김주용·김영진·홍용기·위진록·유덕훈) 평양에 급파
10. 23 서울중앙방송국, 방송요원이 07:00부터 평양중앙방송국 오야리(梧野理)송신소에서 군용 BC-610 출력 300W 송신기로 방송 시작
10. 28 서울중앙방송국, 서울 수복 후 KBS 전 직원의 부역 여부 자진신고 및 심사
10. 서울중앙방송국, 군방송대와 함께 시청광장에서 상설 가두방송
10. 서울중앙방송국, 지하에 묻었던 15㎾ 소련제 송신기 발굴, 개조 후 10㎾로 전파 송신
11. 25 서울중앙방송국, 정동연주소 복구로 임시방송 끝내고 정규방송 시작
1950. 북한, 서울서 노획한 50㎾ 시설을 이용, 강력한 대남방송 실시
해외
1. 4 미국 UHF, TV국(스트랫퍼드) 개국
1. 미국 CBS, 컬러TV 방송 실험결과 시청자 300명 중 90%가 컬러TV 선호한다고 보고
2. 12 유럽방송연합(EBU) 설립(UIR 해체)
2. 일본, 방송문화상 제정
3. 25 미국 RCA, 3색 컬러수상관(컬러TV) 개발
4. 중국, 라디오로 해외방송 개시
5. 1 남아프리카공화국, 광고방송이 허용된 ‘스프링벅 라디오방송국’ 개국
5. 2 일본, 전파3법 공포(전파법·방송법·전파감리위원회 설치법)
6. 1 일본, 전파3법 시행
6. 1 일본, 방송법에 의해 특수법인 ‘일본방송협회 (NHK)’ 발족
6. 19 프랑스 파리방송국에서 라디오 스테레오 방송 실시
6. 25 일본 NHK, 한국전쟁을 계기로 한국 지향 특별방송 개시
6. 29 VUNC(유엔군 총사령부 방송), 일본에서 방송 개시
6. 프랑스, 라디오 스테레오방송 실시
7. 12 서독, 주사선 625본 방식에 의한 TV 실험방송 개시
7. 28 일본, 신문방송 등 매스컴에서 적색분자 추방(도쿄지구 추방자 336명)
7. 미국, 한국전쟁으로 전 방송업자의 방위회의 조직 요구
8. 5 서독, 서독방송연맹(ARD) 결성
8. 27 영국 BBC, 영·불간 세계 최초로 TV 국제방송 실시(칼레-도버-런던, 유럽 대륙에서 최초로 TV중계)
8. 영국 BBC, 유럽 대륙에서 최초로 TV 중계
8. 일본, 일본텔레비전방송협회(일본TV방송협회) 처음으로 전파감리위원회에 TV개국 신청서 접수
9.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TV방송 개시
10. 1 이탈리아, FM 네트워크 운용 개시
11. 2 일본 NHK, 적색분자 추방(173명)
11. 10 일본 NHK, 도쿄TV 실험국(NHK 도쿄TV 실험국) 정기 실험방송 개시
11. 2 미국 FCC, CBS 컬러 방식 실시 결정
12. 1 쿠바, TV 실험방송 개시
12. 25 미국 CBS, 전종업원에게 충성선서 서명요구
12. 25 미국 NBC, 1944년 이후 공산당에 입당한 종업원 조사
12. 미국, 테이프 레코드에 의한 라디오 다큐멘터리 성행
12. 일본 전파감리위원회, ‘방송국 개설의 기본적 기준’ 제정
12. 프랑스, 라디오 스테레오방송 실시
12. 동독, 라디오학교 방송 개시
12.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채널 4’ TV방송국 개국
12. 자메이카, 라디오방송 개시
12. 헝가리, 국영방송 MR 설립
1951
국내
1. 4 서울중앙방송국, 철수단 조직
1. 15 KBS부산지방방송국, 단파 5.200㎒ 500W 송신기 개조 설치
1. 19 KBS부산지방방송국, 단파 2.510㎒ BC-610 300W 송신기 신설
1. 20 KBS부산지방방송국, 단파 5.200㎒ 500W 송신기 4.775㎒로 주파수 변경
1. 23 서울중앙방송국, 도쿄에서 NHK 단파로 한국어 방송
1. 24 국방부 정훈국 부산 분실, 방송원고 사전검열 실시
1. 26 공보처, 부산 시내 3개소에서 KBS 뉴스·음악·시사해설 이동중계 실시
1. 31 KBS부산지방방송국, 단파 7.935㎒ RCA 1㎾ 송신기 설치(체신부 제공)
1. 국방부, 정훈국 보도과 보도대가 방송업무 수행
2. 6 KBS대전지방방송국, 시설복구 정규방송 재개
2. 8 서울중앙방송국, 일선장병 위문문 공모(당선 어린이 낭독으로 방송)
2. 13 서울중앙방송국, 공보처 제정 ‘중공 격멸의 노래’ 방송
2. 15 서울중앙방송국, 국회의 외무·국방·문교·사회 분과위원 5인으로 방송 소위 설치, 국회의 주간동향 방송(매 일요일 09:15∼09:30)
2. 27 KBS부산지방방송국, 단파 4.775㎒ 500W 송신기 2.510㎒로 주파수 변경
2. 서울중앙방송국, 〈결전의 모습〉, 〈라디오꽃다발〉 녹음 프로그램 신설
2. 서울중앙방송국, 뉴스 매일 6회 방송(미군 텔레타이프 이용)
2. 서울중앙방송국, 뉴스해설 매일 2회 방송─윤길구
2. 서울중앙방송국, 자기테이프 녹음기 사용 시작
2. 서울중앙방송국, 부산에서 300톤급 해상이동 방송선 출항
3. 1 서울중앙방송국, 3.1절 경축 특집방송─주간 특별 송전
3. 7 KBS부산지방방송국, 중파방송 주파수 650㎑에서 800㎑로 변경
3. 10 KBS제주지방방송국, 출력 50W에서 500W로 증강
3. 16 KBS청주지방방송국, 방송시설 복구, 정규방송 재개
4. 3 부산 피란 국회, 청취료 징수제 폐지 조치
4. 18 전국편집기자협회 창립총회 개최
5. 8 KBS광주지방방송국, 시설복구, 정규방송 재개
5. 18 서울중앙방송국, 학교방송 첫 전파 발사(현 EBS)
5. 서울중앙방송국, 라디오수신기 일본에서 도입, 라디오상담소에서 배급
6. 18 서울중앙방송국, 학교방송 프로그램 〈라디오학교〉 신설
6. 서울중앙방송국, 서울 KBS 선발대 유선 가두방송 실시
8. 10 KBS부산지방방송국, 단파 2.510㎒ 500W 송신기 1㎾로 출력 증강─이성실 조정 작업중 감전으로 사망
8. 서울중앙방송국, 정동연주소(방송협회 건물 1층)에 BC-610 300W 송신기 설치(대구국용, 이설) 970㎑로 방송 시작
8. 서울중앙방송국, 서울 KBS 선발대 기술요원 증파
9. 12 KBS부산지방방송국, 중파 1㎾ 송신기(NEC제)로 대체, 출력 증강
9. 13 KBS제주지방방송국, 공비 습격으로 인명 및 자산 피해
9. 20 이승만 대통령, 휴전 수락 4대 원칙 제시
10. 15 KBS강릉지방방송국, 시설 복구로 정규방송 재개
11. 8 KBS대전지방방송국, 사옥 증축 및 10㎾ 출력 증강공사 착공
11. 9 시경방송, 유선방송으로 서울에서 창설
11. 서울중앙방송국, 〈아이크 인터뷰〉 신설
11. 서울중앙방송국, 수용소 반공포로 실황 중계
12. 16 서울중앙방송국, 〈수용소시간〉, 〈일선장병에 보내는 시간〉, 〈국회의원좌담회〉 신설
해외
1. 3 일본 NHK, 〈제1회 홍백가합전(紅白歌合戰)〉 방송 시작
1. 25 미국 CBS, 컬러TV 방송 개시
1. 일본, 전일본방송이 전파감리위원회에 TV개국 신청서 접수
2. 5 미국, 미국방송업자연맹(NARTB) 결성(NAB 해체)
2. 28 일본, ‘(주)NHK 서비스센터’ 설립
3. 2 서독, 전후 최초의 TV드라마 괴테작 〈극장에서의 서곡〉 방송
3. 미국 RCA, ‘워키루키(Walkie Lookie)’ 개발
4. 일본, 민방라디오 16사에 예비 면허
5. 27 서독 NWDR, TV 최초 옥외 중계
5. 31 네덜란드, NTS(네덜란드 TV방송연맹) 발족
6. 스페인, 방송사업을 감독하는 정보·관광성 설치
6. 미국, 전미 케이블텔레비전연맹(NCTA, CATV연맹) 설립
6. 스페인, 국영TV(TVE) 실험방송 개시
7. 20 일본, 민간방송연맹(NAB) 설립
9. 1 일본 최초의 민방라디오 개국, ‘중부일본방송·신일본방송(매일방송의 전신)’
9. 4 미국 AT&T, 대륙횡단 TV네트워크의 마이크로파 시설에 의한 방송
9. 10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대일 평화조약 회의에서 트루먼 대통령의 연설을 최초로 동서 양국을 연결, TV로 중계방송
9. 10 일본 NHK, 샌프란시스코 강화회의 실황 중계
10. 1 덴마크, 정식으로 TV방송 개시
10. 2 네덜란드, NTS국 TV방송 개시
10. 미국, 국방 동원국의 요구에 따라 비상기간중(한국전쟁) 컬러TV 제조와 방영 중지
10. 프랑스, TV학교방송 정시방송 개시
11. 3 일본, 아사히(朝日)방송(ABC) 실험방송 시작
11. 11 일본, 아사히방송 개국 및 본방송 시작(호출부호 JONR)
11. 일본 NHK, 방송기자 전국에 배치
11. 미국 CBS TV, 〈See It Now〉 방송 시작
11. 소련, 모스크바 TV 주 7일 방송 실시
11. 프랑스, 라디오에서 광고방송 개시
11.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TV방송 개시(현 ATC TV 채널7)
12. 1 일본, 규슈(九州)방송 기존 국공영방송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상업방송 시작
12. 25 일본, 주식회사 도쿄방송(TBS) 라디오도쿄 개국
12. 30 이탈리아, 라디오방송이 3개 네트워크로 분리
12. 나이지리아, 국영방송 NBS 설립
12. 멕시코, ‘채널2’ TV방송국 개국
12. 쿠바, TV 본방송 개시
12. 라오스, 국영 라디오방송국(LNR) 설립
12. 소말리아, 남부의 모가디슈라디오방송국 설립
12. 쿠웨이트, 라디오방송 개시
12. 탄자니아, RTD(다르에스살람방송국) 개설
1951. 미국, 빙 크로스비연구소(Bing Crosby Laboratories) VTR 최초 개발
1951. 브라질, 수도 리우데자네이루에 TV국 개설
1952
국내
1. 30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제네바) 회원국으로 가입
2. 15 서울중앙방송국, 원(圓) 단위 화폐를 100 대 1 환 단위 화폐로 통화개혁 성명문 방송
3. 30 원주이동방송소 개소(880㎑, 300W)
4. 12 공보처 방송국, 6과에서 5과로 기구 축소
4. 20 동양통신 창간
5. 18 KBS대구지방방송국, 출력 10㎾(NEC제)로 증강(주파수 800㎑→740㎑로 변경)
6. 1 KBS남원지방방송국, 방송기기 설치공사 착공
6. 22 서울중앙방송국, 제15회 헬싱키올림픽대회에 중계반 서명석 아나운서 단독 파견
6. 공보실, VOA 중계 일시 중지 조치
7. 20 KBS강릉지방방송국, 출력 500W로 증강(주파수 1080㎑로 변경)
7. 서울중앙방송국, 대통령선거 입후보자 15분간 정견 방송
8. 5 서울중앙방송국, 정·부통령 선거방송
8. 서울중앙방송국, 서울 환도 KBS 선발대 입경─조한경 등
10. 25 KBS남원지방방송국 개국
11. 5 KBS대전지방방송국, 출력 10㎾(NEC제)로 증강
12. 10 서울중앙방송국, 〈반공인민지성(反共人民之聲)〉 중국어 방송 개시(자유중국 대사관 제공)
해외
1. 14 미국 NBC, 아침 뉴스와이드쇼 〈Today〉 방송 시작
2. 1 일본 NHK, 국제방송 재개
2. 일본전파감리위원회, 흑백TV 송신 표준방식 제정
3. 10 일본, 홋카이도방송주식회사(HBC) 라디오개국
3. 20 일본, 중부일본방송에 일본 최초로 민방 노조 결성
4. 14 미국 FCC, 1948년에 실시된 TV국 신규면허 동결 해제
4. 28 일본, 미·일 평화조약(미·일 안전보장 조약) 발효(라디오코드 실효)
4. 타이, 수신료 제도 폐지
5. 5 영국 BBC, TV학교방송 실험방송 개시
5. 12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방송협회(JRT) 설립
5. 영국, 정부의 방송백서가 BBC와 병존하는 새로운 TV방송 설립 제안
7. 1 이탈리아, 최초로 흑백TV 방송 개시
7. 31 일본, 민방 일본TV(NTV)에 처음으로 TV 예비면허 발급
7. 일본, 일본문화방송 노조 결성
7. 일본, 전파감리위원회 폐지(전파행정 우정성으로 이관)
7. 일본, 흑백TV 수신 계약수 1,000만 돌파
8. 1 남아프리카공화국, 부족어 전용 방송 개시
9. 6 세계 저작권 협약(UCC, The Universal Copyright Convention) 성립
9. 20 미국, 최초의 UHF TV국 개국─미국 최초의 UHF 상업TV국(KPTV)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방송 개시
9. 23 닉슨 미국 부통령 후보, 스캔들 해명 위해 TV방송 통해 정치연설
9. 6 캐나다, 몬트리올 CBFT국 TV 본방송 개시
9. 6 캐나다, 토론토 CBLT국 TV 본방송 개시
10. 25 폴란드, TV 실험방송 개시
11. 15 영국, 해중TV 실험 성공
11. 베네수엘라, 국영방송이 TV방송 개시
12. 5 일본 NHK, 도쿄 제1·2방송으로 최초의 입체방송 실시
12. 21 서독, TV 실험방송 개시(쾰른과 하노버에서 TV 실험방송 실시)
12. 25 서독, 북서 독일방송협회가 함부르크에서 TV 본방송 개시
12. 26 일본, NHK 도쿄TV국에 예비 면허 발급
12. 29 미국 CBS TV, 〈See It Now> ‘한국에서의 크리스마스’편 방송
12. 서독 ARD TV, 저녁뉴스 〈타게스샤우(Tages-schau)〉 방송 시작(20:00∼20:15)
12. 솔로몬 제도, 솔로몬제도방송협회(SIBC) 설립
1952. 미국 FCC, 70개의 UHF 채널 배정
1952. 미국, 2,200만 대의 수상기 보급 실적
1952. 미국, Ampex VTR팀이 테이프로 화상 재생
1953
국내
3. 5 사단법인 대한방송사업협회 발족
6. 18 서울중앙방송국, 반공포로 석방 방송
6. 19 서울중앙방송국, 석방된 반공포로들에게 포로수용소로 돌아가지 말 것을 호소
6. 서울중앙방송국, 부산에서 서울로 복귀
7. 28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중파 970㎑ 10㎾(TEC제) 송신기 설치, 방송 시작
7. 국방부, 정훈국을 정훈부로 개편, 정훈과 방송계를 둠
8. 6 공보처, 방송국·정부기구 개편
8. 6 공보처, 정부기구 개편에 따라 초대 방송관리국장에 노창성 취임
8. 11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단파 10㎾(TEC제) 송신기 설치(지방중계용), 방송 시작(야간 2510㎑, 주간 5975㎑)
8. 15 공보처, 방송관리국 신설(관리과·지도과·시설과)
8. 15 공보처, 방송관리국 기감 이인관 임명
8. 15 서울중앙방송국, 방송기구 개편으로 서울중앙방송국을 ‘서울지방방송국’으로 개칭
8. 15 자유대한의 소리(Voice of Free Korea), 영어방송 개시
8. 서울지방방송국, KBS 레코드실 신설
8. 서울지방방송국, 미군 WVTP로부터 16인치 LP 레코드 300장 인수
8. 서울지방방송국, 연희송신소 단파 7.935㎒ 1㎾(RCA제) 송신기 설치
8. 서울지방방송국, 방송관(放送官) 및 방송관보제(官補制) 실시
10.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 〈KBS 무대〉 방송 시작
10. 서울지방방송국, 미국 빅토리아농구단 내한경기 실황 중계
10. 서울지방방송국,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실황 중계
10. KBS춘천지방방송국, 이동방송차로 춘천수복 후 유선방송 실시
11. 9 서울지방방송국, 〈사회견학〉, 〈가정문예〉, 〈마음의 샘터〉 등 신설
11. 11 서울지방방송국, 이운용 국장 취임
11. 12 서울지방방송국, 닉슨 미국 부통령 한국방문 방송
11. 27 KBS부산지방방송국, 화재로 사옥 및 시설 전소
11. 28 KBS부산지방방송국, 청사 옆 미 제4이동중대 소유 퀀셋 건물에서 VUNC 송신시설 5㎾로 방송 재개
12. 15 서울지방방송국, 〈학생시간〉, 〈청취자 문예〉 부활, 어린이퀴즈 〈무엇일까요〉 신설
해외
2. 1 일본, NHK 도쿄TV국 5㎾로 본방송 개시(1일 4시간 방송, NHK TV 본방송 개시)
2. 9 미국, ABC·유나이티드 파라마운트 극장 합병
2. 일본 NHK, TV학교 방송 시작
3. 독일 ARD, 회원 방송국간에 시간과 장비를 공동으로 쓰는 협의기구 DFS(제1TV)결성
5. 3 서독, 해외대상 단파라디오 국제방송 〈도이체벨레(DW)〉 방송 개시
5. 12 미국, 최초의 비상업 교육TV국 ‘KUHT’ 방송 개시(휴스턴대 소유)
5. 체코슬로바키아, TV 실험방송 개시
5. 오스트리아, FM 실험방송 개시
6. 2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 대관식 실황 중계방송(유럽 각국에 유선으로 TV 동시중계)
6. 12 일본 일본문화방송 노조·라디오도쿄 종업원조합·중부일본방송 노조·신일본방송 노조 등 4개 조합대표, 민방노련 결성 합의
7. 12 일본, 민방 노련 결성대회 개최
8. 28 일본, 최초의 민방TV국 NTV(니혼TV) 개국
9. 필리핀, 일본 다음으로 아시아에서 2번째로 TV방송 개시(미국 방식)
10. 20 캐나다, 최초의 상업TV 방송 개시(CKSO -TV)
10. 미국 RCA, TV 테이프 녹화에 성공
10. 벨기에, INR TV 정시방송 개시
11. 12 서독, 자유베를린방송이 북서 독일방송에서 분리 독립
11. 17 미국 FCC, 전국 TV방식 위원회(NTSC) 제안의 컬러TV 방식 채용 결정(흑백TV와 호환되는 NTSC 컬러TV 표준 채택)
11. 23 미·일 간 최초의 TV 위성중계 실험방송 성공
11. 덴마크, FM방송시작
11. 미국, 소련 대상의 라디오 국제방송 ‘라디오 리버티’ 발족
11. 브라질, ‘라디오 카라카스TV’ 개국
11. 영국, TV 정책에 관한 정부 방송백서가 상업TV 도입의 구체안 제시
11. 중국, 방송 확장 제1차 5개년계획 시작
11. 토고, 국영방송에서 라디오방송 개시
11. 폴란드, TV방송 개시
11. 피지, 피지방송위원회(FBC) 설립
11. 핀란드 YLE, FM방송 네트워크 착수
11. 오스트레일리아, TV방송법 제정
1953. 미국, 49%의 가시청률 확보
1953. 미국 FCC, AM송신소 원격조종 허가
1953. 미국, 가정 절반이 TV 보유
1953. 미국, 무선 마이크 출시
1954
국내
2. 19 한국기독교연합회, 방송국 설립허가 재신청
3. 7 서울지방방송국, 세계축구선수권대회 극동지구 예선 한·일전 실황 중계
4. 2 CBS, 체신부로부터 방송국 설립허가 취득
4. 8 서울지방방송국, 어린이합창단 미국 각 주 3개월 간 순회공연─지휘 안병원
4. 9 북한, 조선중앙방송국 출력 증강(150㎾) 등 대남방송 강화(북한 대내용은 유선방송으로 확정)
4. 서울지방방송국, 〈기록뉴스〉 재개(13:00∼13:30)
5. 1 한국복음주의방송협회 창립─초대 이사장 황성수
5. 1 서울지방방송국, 제2회 아시아경기대회 실황 중계
5. 서울지방방송국, 어린이 공개방송 프로그램 〈누가 누가 잘하나〉 신설
5. 서울지방방송국, 전속성우 1기생 모집(11명)
6. 9 서울지방방송국, 제3대 민의원 개원식 및 의장단 선출 실황 중계
7. 24 KBS부산지방방송국, 미군후방기지사령부의 원조로 사옥 임시 복구
7. 24 서울지방방송국,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노래자랑〉 신설─아나운서 장기범
7. 25 서울지방방송국, 이승만 대통령 방미(7.25∼8.13) 방송
7. 27 한국복음주의방송, 체신부로부터 무선국 허가 취득(호출부호 HMBN, 주파수 1030㎑, 출력 20㎾)
7. 30 텔레비전 수상기 일반에 처음 선보임
8. 31 CBS, CBS후원회 창립총회 개최(회장 김활란)
9. 1 서울지방방송국, 국방부 정훈국 제작 〈국군방송〉 방송 개시(낮 12:30부터 30분간, 저녁 6:30부터 15분간)
9.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배전선로 및 전화선로 가설공사 착공
10. 26 CBS, 초대 간부진 선임, 방송국장 감의도(甘義道, E. Otto Decamp)
10. 서울지방방송국, 제1회 어린이음악콩쿠르 개최(제1회 이후 연례행사로 정착)
11. 29 북한, 조선중앙방송위원회 국제라디오기구(OIR) 가입(국제방송기구 행정이사회 제26차 회의, 프라하 개최)
12. 15 CBS기독교방송 개국(한국 최초 민간방송으로 창립)
12. 15 CBS, 프로그램 신설
12. 24 CBS, 크리스마스특집 철야 방송(이후 매년 철야방송 실시)
12. 서울지방방송국, 〈인생 역마차〉 신설(20:00, 인생 상담 내용을 각색)
해외
1. 1 미국 NBC·CBS, 컬러TV 방송개시(NTSC 방식)
1. 3 이탈리아, TV방송 개시
1. 31 타이, 교육성에서 교육방송 개시(타이TV회사 설립)
1. 룩셈부르크, CLR이 TV방송 면허 취득
1. 노르웨이, TV 실험방송 시작
3. 1 일본 NHK, 오사카·나고야국에서 TV 본방송 개시
3. 1 우간다, 라디오방송 개시
3. 28 프랑스, FM방송 개시
4. 서독, 컬러TV 공개실험 실시
6. 6 영국, 유럽 7개국 연결 유로비전TV 프로그램의 국제중계 개시
6. 6 유럽, TV주간(6.6∼7.4) 설정
6. 포르투갈, 영어 국제방송 개시
6. 유로비전(Eurovision) 발족
7. 1 룩셈부르크 CLR, CLT로 개칭
7. 30 영국, 상업TV 도입 위한 TV방송법 제정─ITA(Independent Television Authority) 설립키로 함
8. 4 영국, 인디펜던트TV협회(ITA) 설립
11. 1 서독, 주(州)방송 공동제작 프로그램 〈도이치텔레비전〉 전국방송 개시
11. 27 일본, 라디오도쿄·일본문화방송·일본방송 3사가 최초의 3원 입체방송 실시
11. 모나코, TMC(텔레몽테카를로) TV방송개시
11. 소련, 컬러TV 실험방송 개시
12. 미국, 트랜지스터라디오 시판 개시
12. 일본, 미니 스폿(5초 CM) 아사히방송에 첫 등장
12. 불가리아, TV 실험방송 개시
12. 유고슬라비아, 류블랴나에서 FM방송 개시
12. 콜롬비아, 〈인라비전〉 TV방송 개시
12. 키리바시, 라디오방송 개시
12. 모로코, 상업TV 방송 ‘모로코TV’가 아프리카 최초로 TV방송 시작
1955
국내
1. 18 CBS, 종교 및 음악프로그램 위원회 설치
1. 19 CBS, 방송드라마 연구회 설치
2. 7 국방부 정훈국 방송과로 개편(대통령령 제229호), 직원 22명 증원─편서계(編序係)·방송계·기술계·기획계
2. 7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공보처를 공보실로 개칭
2. CBS, 방송청취 여론조사 실시
3. 10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준공
4. 1 서울지방방송국, 외신기자 채용, 외신부 보강
4. 1 서울지방방송국, 텔레타이프 설치, 외신 직접 수신
4. 9 북한, 조선중앙방송국 준공식
4. AP·UP·INS·로이터 등 세계적인 외신과 계약, 텔레타이프 설치
4. 북한, 조선중앙방송위원회 유선방송(라디오방송) 개시
5. 7 CBS, 어린이합창단 발족
5. 30 CBS, 어린이방송극회 회원 모집
5. 30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신축공사 준공
5. 서울지방방송국, KBS 전국 대학방송극 경연대회 개최(단체상 숙명여대)
6. 6 서울지방방송국, 〈노래자랑〉 공개 녹음 개시(주 1회, 동화백화점)
6. 24 한국복음주의방송, 호출부호 및 주파수 변경
6. 25 부산지방방송국, 출력 5㎾ 송신기 설치
6. 30 국방부 정훈국 방송과 제2대 방송과장 한국진 중령(정훈2기) 부임(55.12 전역 후 서기관으로 계속 근무)
6. 서울지방방송국, 대북방송 임시 전담부서 설치
7. 16 서울지방방송국, 5개년 부흥계획 시안 발표 방송
7. 17 서울지방방송국, 제1회 학술원·예술원상 시상식 방송
7. 22 CBS, 〈성경이야기〉 창극조로 방송─박동진 작곡·창
7. 22 CBS, 제1회 서울시내 방송청취자 여론조사 실시
8. 8 서울지방방송국, 증권시장 개장 방송
8. 13 서울지방방송국, 연희송신소 준공(한국 최초 대출력 100㎾ 송신기 설치, 웨스팅하우스제, 970㎑용)
8. 서울지방방송국, 어린이노래회 호남지방 순회 공연
9. 9 CBS, 공보실 방송망 통해 전국 설교방송 개시
9. 9 CBS, 방송시간 30분 연장
9. CBS, 매월 2회 VUNC를 통해 대북·대일 종교방송 개시
9. KBS춘천지방방송국, 임시 판자건물 건립(미군용 BC-610 출력 300W 송신기 설치, 주파수 1360㎑로 방송 재개)
10. 1 서울지방방송국, 주간 기본방송순서 개편─〈역사의 향기〉, 〈내 고장 명소〉, 〈이얘기 저얘기〉, 〈빛을 남긴 사람들〉 등 신설
10. 14 북한, 김일성 교시에 의해 조선중앙방송에서 분리, ‘조선중앙 제2방송’ 출현(평양방송 전신)
10. CBS, 방송문화상 창설
10. 서울지방방송국, 제2회 아시아야구대회(필리핀) 실황 중계
11. 1 CBS, 제1회 방송극 예술상제 실시
12. 1 서울지방방송국, 재일교포 및 일본인 대상 ‘자유대한의 소리’ 대일 일본어방송 개시
12. 1 KBS이리지방방송국, 출력 1㎾로 증강
12. 13 CBS, 〈방송무대〉 방송 개시
12. 15 CBS, 방송전도회원 모집
12. 26 한국교육방송협회 발족
해외
2. 4 서독, TV 등록 가입자 10만 돌파
2. 15 오스트리아, 해외 단파 실험방송 개시
2. 26 일본, ‘(재)일본방송협회 공제회(NHK 공제회)’ 설립
2. 27 일본 NHK, 중의원 선거 개표 상황 최초로 TV방송
3. 일본, 흑백TV 수신 계약수 3만 돌파
3. 미국 NBC TV, 〈피터팬〉 시청자 6,500만명으로 추산(브로드웨이 관객수로 65년 소요)
4. 12 유고슬라비아, 방송법 제정
4. 15 동독, 해외 단파방송 개시
4. 23 서독, 남독일 방송에서 최초로 로컬TV 방송 개시
4. 이라크, TV 실험방송 개시
5. 2 이라크, TV 본방송 개시
5. 14 룩셈부르크, CLT국이 TV방송 개시
5. 16 미국 NBC, 컬러TV 녹화테이프 방송 실시
5. 영국 BBC, FM방송 개시
5. 포르투갈, FM방송 개시
6. 24 타이, TV방송 개시
8. 1 오스트리아, TV 실험방송 개시
9. 22 영국, 런던에서 최초로 상업TV ‘ITA(템스TV의 전신)’ 본방송 개시
10. 1 체코슬로바키아, TV방송 개시
10. 5 미국, 인공위성 제작 발표
10. 10 영국 BBC, 컬러TV 실험방송 개시
11. 스웨덴 제2라디오, FM방송 개시
12. 14 영국, TV 종교프로그램의 조언자 회의 개최
12. 21 동독, TV방송 개시
12. 멕시코, TV 3국이 합병, ‘텔레시스테마메히카노(TSM)’ 설립
12. 핀란드, TV 실험방송 개시
12.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TV방송 면허 교부
12. 루마니아, TV 실험방송 개시
12. 세인트빈센트, 라디오방송 개시
1955. 미국, 비디오테이프 출시
1956
국내
1. 1 CBS, 주파수 변경(700㎑→840㎑)
1. 1 국방부 정훈국, 인원 축소 조정으로 방송과 직제 개편
1.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중파 100㎾ 송신기 설치 완공, 실험방송 개시
2. 1 CBS, 아침방송 개시(아침 06:00~ 07:30)
2. 1 서울지방방송국, 군방송 방송시간 변경(KBS 제2방송 18:15∼19:00)
2. 10 공보실, 방송관리국 3과에서 지도과를 폐지하고 2과(관리과·시설과)로 운영, 관리과장 김서봉 임명
3. 1 북한 김일성, ‘문화선전사업을 개선 강화하는 데 나서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담화 방송
3. 21 공보실, 방송관리국장에 이규일 취임
3. 서울지방방송국, 대공계 신설
5. 1 서울지방방송국, 대북 방송시간 변경(18:15→23:45, 06:45)
5. 2 한국복음주의방송, 주파수 1180㎑에서 1230㎑로 변경(호출부호 HLKX)
5. 4 서울지방방송국, 라디오학교방송 재개(국민학교 대상 3개 교과방송 실시)
5. 12 한국 RCA TV(대한방송주식회사 HLKZ TV) 개국
5. 16 서울지방방송국, 제3대 정·부통령 선거 개표실황 철야 방송
5. 서울지방방송국, 연희송신소 970㎑ 중파 10㎾ 예비송신기 710㎑ 양용 예비 송신기로 개조
6. 1 HLKZ TV, 격일로 저녁 2시간 정규 방송
6. 1 서울외신기자클럽(FCC) 창립
6. 25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6.25 특집방송극 〈자유의 깃발〉 방송
6. CBS, 청취자 여론조사 실시
7. 1 KBS광주지방방송국, 출력 1㎾로 증강
7. 1 공보처 공보실이 국무원 사무처로 흡수(법률 제631호)되어 방송관리도 사무처에 소속
7. 10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방송실 준공
7. 10 서울지방방송국, 제2회 전국 대학생방송극 경연대회 개최
7. 15 서울지방방송국, 이동방송차 도입
7. 17 서울지방방송국, 제헌절 특집방송극 〈위대한 초석〉 방송
7. 23 KBS속초이동방송소 실험 방송
7. 23 공보실 공보실장에 오재경 취임
7. 25 서울지방방송국, 납량특집극 〈목단등기(牧丹燈記)〉 방송─박진 각색
7. 29 서울지방방송국,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 야구팀 내한경기 실황 중계
8. 1 서울지방방송국, 〈영어강좌〉 방송시작(제1방송 06:30∼06:45)
8. 1 서울지방방송국, 〈영어회화〉 방송시작(제2방송 19:45∼20:00)
8. 1 KBS속초이동방송소, 정규방송 개시(300W, 1000㎑)(현 KBS속초방송국 개국일)
8. 6 서울지방방송국, 아침방송 시간 2시간 연장(종전 09:00 종료를 11:00까지 연장)
8. 15 CBS, 공보실과 공동으로 정·부통령 취임 경축 및 광복절 기념행사 개최
8. 19 서울지방방송국, 제2회 KBS배 야구결승전 실황 중계
9. 1 KBS이리지방방송국-전주연주소 간 FM ST 링크 설치(AN/TRC-1, T-14, R-19)
9. 1 서울지방방송국 ‘KBS 교향악단’ 발족(지휘 임원식, 단원 30명)
9. 1 한국 최초의 TV학교방송이 상업방송 HLKZ-TV에서 시작
9. 6 서울지방방송국, 제1회 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 준결승(대 홍콩전) 실황 홍콩에서 중계
9. 10 서울지방방송국, 〈자유대한의 소리〉 영어방송 15분에서 30분으로 연장
9. 13 서울지방방송국, 연희송신소 지방중계용 단파(400W) 송신기 설치(중·단파 3.910㎒로 방송)
9. 20 서울지방방송국, 지방뉴스 속보 위해 대전·대구·부산·광주 4개 지방과 직통전화 가설
9. 25 공보실, 월간 「방송」지 창간
9. 28 서울지방방송국, 민주당 전당대회장에서 장면 부통령 피격 보도
10. 1 서울지방방송국, 제1회 국군의 날 방송
10. 1 서울지방방송국, 2중방송 개시
10. 1 서울지방방송국, 가을철 프로그램 개편
10. 8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 시간 연장(방송종료 시간 23:30에서 24:00)
10. 10 서울지방방송국, ‘쌍십절(雙十節)’ 특집 어린이시간 프로그램 자유중국에 동시 중계
10. 14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단파 50㎾ 송신기 2대 설치
10. 14 서울지방방송국, 아시아반공청소년학생연맹 제1차 대회에 참석한 자유중국·홍콩·월남 대표와 인터뷰 방송
10. 14 서울지방방송국, 연희-정동, 수원-정동 간 FM 송신기 설치
10. 15 서울지방방송국, 아주(亞洲) 반공학생대회 개막 방송(서울)
10. 20 서울지방방송국, 각종 방송사례금 및 원고료 대폭 인상
10. 29 서울지방방송국, 아나운서 견습생 모집
10. 29 한국방송극작가협회 발족
10. 31 서울지방방송국, 제1·2 방송 시간을 00:45까지 연장
10. 31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 아침방송 실시(05:30∼06:45)
10. 31 서울지방방송국, 대북방송 강화. 매일 155분 방송 실시(종전 1∼4월 20분, 5∼10월 35분)
10. 31 서울지방방송국, 대(對) 하와이방송 실험 전파 10여일 간 발사(하와이 한국어방송 개시, 제2방송 아침방송 실시 05:30∼06:45, 단파 11.925㎒, 출력 50㎾)
11. 1 HLKZ-TV, 금요일 제외한 매일 2시간방송 실시
11. 9 서울지방방송국, 제16회 멜버른올림픽중계반 파견(11.9∼12.8)─아나운서 장기범, 임택근, 엔지니어 김성렬
11. 15 KBS부산지방방송국, 신축공사 착공
11. KBS, 대전·이리·광주·대구·목포·제주방송국 등 건물 개수 및 시설확충 공사 준공
12. 1 서울지방방송국, 기본방송순서 개편─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 아침방송 종료 06:45에서 07:30으로 연장
12. 2 서울지방방송국, 국군방송을 제1방송에서 제2방송으로 채널 변경(18:15∼19:00)
12. 2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최초의 일요연속극 〈청실홍실〉 방송 시작(56.12.2. ~57.4.)
12. 15 서울지방방송국, 남산연주소 신축공사 착공
12. 23 FEBC, 한국복음주의방송으로 개국(현 FEBC극동방송 개국일)
12. 31 KBS부산지방방송국 신축공사 준공
12. 31 한국복음주의방송협회, 법인설립 허가
12. 서울지방방송국, 정동연주소 제5·6스튜디오 증설
해외
1. 1 서독, 북서독일방송협회가 북·서 두 방송협회로 분리
2. 5 서독 슈투트가르트에 높이 210m의 TV타워 준공
2. 소련, 모스크바에서 제2TV 개국 및 방송개시
3. 3 일본, ‘NHK 방송박물관’ 개관
3. 22 일본, NTSC식 컬러TV 수상기 첫 공개
4. 16 미국 암펙스(AMPEX), TV녹화기(VTR) 개발에 성공
4. 일본 TBS, 최초의 외화 시리즈 〈카우보이 G맨〉 방송 시작
5. 2 이라크, TV방송 개시
5. 4 서독, 바이에른TV에서 광고방송 개시
5. 16 영국, 잠수함에서 해저 TV중계 생방송 실시
5. 과테말라, TV방송 개시
7. 11 오스트리아, 방송사업 연방정부서 관할
8. 4 영국, 헬리콥터에서 TV 첫 방송
9. 16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상업국 TCN이 TV 본방송 개시
10. 28 스페인, 국영TV방송(TVE) 본방송 개시
11. 3 소련, 개 탑승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2호’ 발사
11. 5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ABC방송 TV 본방송 개시
11. 29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방송국에서 TV 실험방송 개시
12. 7 우루과이, 상업TV ‘SAETA’가 수도에서 TV방송 개시
12. 16 스위스, FM방송 개시
12. 20 일본, 컬러TV 도쿄실험국 개국(최초의 UHF-TV국)
12. 스웨덴, 스웨덴방송협회(SR) 설립
12. 모로코, 국영방송 RTM 설립
12. 니카라과, TV방송 개시
12. 알제리, TV방송 개시
12. 엘살바도르, 최초의 상업TV 방송 개시
1956. 미국, 이동형 흑백TV 개발
1956. 미국, 반도체 카메라 개발(자기 기록장치 실용화)
1956. 영국 랭커셔지방의 독립 상업 신디케이터 그러나다텔레비전(Granada TV) 설립
1957
국내
1. 2 FEBC, 소련어방송 개시
1. 11 관훈클럽 창립
1. 28 저작권법 공포
4. 7 한국신문편집인협회(현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창립(제1회 신문의 날, 신문윤리강령 제정 선포)
4. 공보실, 방송장려상 제정
5. 1 CBS, VOA 방송 중계 개시
5. 1 서울지방방송국, 제1회 아나운서 강습회 개최(남녀 20명 참가)
5. 5 서울지방방송국, 〈명사의 가정을 찾아서-방정환 선생 유족〉 방송
5. 6 HLKZ-TV, 대한방송주식회사(DBC)로 개편(사장 장기영)
5. 13 서울지방방송국, 〈13무대〉 릴레이드라마 방송시작(13명의 작가가 집필)
5. 15 북한, 제2차 전국 기자대회 준비위원회 남한언론인 초청 서한 발표
5. 15 북한언론계, ‘남북기자 및 언론인들의 교류와 각종 출판물의 전송사진·기록 영화필름 등을 교환하자(언론교류)’고 대남 제의
5. 서울지방방송국, PD요원 3명 공채(정부수립 후 최초─박종민·김영우·조부성)
5. 서울지방방송국, 라디오학교방송 매일 15분간 방송 실시
6. 1 공보실, 방송문화연구실 발족
6. 1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종일방송 실시(05:30∼00:45)
6. 2 CBS, 연속방송극 〈수정탑(水晶塔)〉 방송 시작─한운사 작
6. 10 서울지방방송국, 미국 국무성 초청으로 공보실 방송관리국 노정팔·HLKZ-TV 최창봉이 보스턴대학 주최 국제 세미나 참가
6. 15 서울지방방송국, KBS 교향악단 악기 1식 도입
6. 25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6.25 특집 각종 문예작품 공모 당선작 방송
6. 25 서울지방방송국, 〈재북 음악인에게 보내는 음악회〉 방송
6. 27 서울지방방송국, ‘KBS 가요 심사위원회’ 구성
6. 27 서울지방방송국, 이동방송차 2대 도입(250W 중파 및 단파 송신기 탑재)
7. 10 서울지방방송국, 제1차 육상 이동방송대 지방 순회방송 실시(250W 이동방송차)
7. 11 서울지방방송국, 디젤기관차 인수식 실황 중계(부산역)
7. 14 서울지방방송국, 국립극장 환도 기념 공연 ‘신앙과 고향’ 실황 중계
7. 17 서울지방방송국, ‘시민 위안의 밤’ 중앙청 야외음악당에서 개최
7. 23 서울지방방송국, 대한공론사 3층에 KBS 공개방송홀 개관
7. 31 서울지방방송국, 제2차 육상 이동방송대 지방순회 방송 실시(9월부터 여수·포항에 정착)
7. CBS, 방송드라마 〈돈과 인생〉 시리즈 연속방송 시작
8. 2 서울지방방송국, 제3회 방송장려상 이리국 ‘리듬밴드(이리국민학교)’ 차지
8. 5 공보실 방송문화연구실, 제1회 방송문화연구회 개최(한일 방송 프로그램 비교 연구)
8. 10 KBS마산지방방송국, 출력 300W로 증강
8. 10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가수 고복수 은퇴공연 실황 중계
8. 11 서울지방방송국, 재일교포 학생 야구단 내한 경기 실황 중계
8. 12 서울지방방송국, 좌담회 ‘해방 10년 간의 발자취’ 개최(사회 장기범 아나운서)
8. 15 CBS, 남북 지향성 방송 실시(방송시간 1일 10시간으로 연장)
8. 15 CBS, 출력 5㎾에서 10㎾로 증강(축하잔치로 시민 위안의 밤 개최)
8. 15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광복 12주년 기념 방송음악제 개최
8. 15 공보실 방송문화연구실, 제1차 방송 여론조사 실시
8. 21 서울지방방송국, 시민 위안의 밤 실황 중계
8. 26 KBS이리지방방송국, 출력 5㎾로 증강
8. 29 서울지방방송국, 광복 선열 합동추도식 실황 중계
8. 30 서울지방방송국, 고 홍난파 추도의 밤 콘서트 개최
8. 30 서울지방방송국, 민충정공 동상 제막식 실황 중계(안국동 로터리)
8. 정환옥·김상용 명의로 체신부에 방송국 설립 허가원 제출
9. 2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 하와이· 북미주에 대한 단파방송 개시
9. 5 AFKN TV 개국
9. 6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과 이영기, ICA 기술원조 계획으로 6개월 간 미국 방송계 시찰 및 연구차 도미
9. 15 CBS, 맥아더 장군 동상 제막기념 특집 드라마 방송
9. 15 AFKN, TV방송 개시(AFKN TV)
9. 25 서울지방방송국, 주파수 변경
9. KBS청주지방방송국, 출력 1㎾로 증강
10. 1 서독, TV 수신 계약수 100만 돌파
10. 1 KBS여수이동방송소 개소(현 KBS여수방송국 개국일)
10. 1 서울지방방송국, 단막극을 〈KBS무대〉로 타이틀 변경 방송
10. 1 서울지방방송국, 방송시간 연장
10. 2 서울지방방송국, 수원송신소 개소식 거행
10. 10 서울지방방송국, 한·중 친선 어린이의 밤 개최(이후 연례 행사로 고정)
10. 10 KBS포항이동방송소 개소(출력 250W, 주파수 1420㎑)
10. 26 서울지방방송국, 제4회 방송 어린이 콩쿠르 본선 실황 전국에 중계
10. 서울지방방송국 제1방송, 최초의 라디오 일일연속극 〈산 넘어 바다 건너〉 방송─조남사 작
10. 서울지방방송국, 학교방송 매일 1회 실시(학교교육방송협회가 프로그램 편성, KBS에서 직접 생방송)
11. 5 공보실 방송문화연구실, KBS 개편 프로그램 합평회 개최
11. 13 공보실, 경기도 광주군 역전에 앰프방송 시설 완료(앰프촌 설치 계획의 첫 단계)
11. 유선방송 수신사업 실시
12. 1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과 신설
12. 1 서울지방방송국 제2방송, 〈자유대한의 소리〉 대북방송 개시
12. 8 서울지방방송국, 해외방송 전담 제2방송과 신설
12. 10 CBS, 직영 음악 감상실을 종로2가 YMCA에 개설(동양 최초)
12. 10 CBS, 한국 최초로 ‘스폿 드라마’ 제작 방송─이보라 연출
12. 10 서울지방방송국, 남산연주소 개소(3층, 스튜디오 8개, 건평 800평)
12. 10 서울지방방송국, 단파로 우리말·영어 해외방송 개시(대 하와이, 대 북미)
12. 11 서울지방방송국, 남산연주소 준공 기념 특집 예술제 개최 방송
12. 18 서울지방방송국, 남산연주소 개소식 거행(12.10 남산연주소 준공)
12. 18 서울지방방송국, ‘서울중앙방송국’으로 개칭(직제 개편)
12. KBS청주지방방송국, 사옥 이전 방송회관용 퀀셋 설치
1957. 중대방송, 유선방송으로 교내 교육방송 실시
1957. 북한, 각 방송국 시설정비와 기술 개선책으로 사리원·강계·혜산지역 무선방송 출력 증가
해외
1. 1 바하마, 새 방송법에 따라 방송사업을 ‘바하마라디오TV위원회’가 실시
1. 1 오스트리아 ORF TV방송 주 6일 방송
2. 3 이탈리아, TV에서 광고방송 개시
3. 7 포르투갈, TV방송 개시
3. 스페인, 국영라디오 RNE FM방송 개시
4. 1 일본 홋카이도방송주식회사(HBC) TV 개국
4. 30 폴란드, TV방송 개시
4. 나이지리아, 공공기업체 ‘NBC(나이지리아방송협회)’ 설립
5. 1 헝가리, TV 본방송 개시
5. 2 브루나이, 라디오방송 개시
5. 13 영국 ITV, TV 학교방송 개시(BBC는 9.24부터)
5. 홍콩 홍콩유선방송회사, 유선TV방송 개시
6. 15 일본, 흑백TV 수신 계약수 50만 돌파
6. 일본 우정성, TV 제1차 채널플랜 결정(57.10 43국에 예비 면허)
7. 1 일본, 도쿄에서 제1회 아시아지역 11개국 방송회의 개최(7.1∼7.8)
9. 24 영국 BBC, TV 학교방송 개시
10. 4 소련, 바이코누르(Baikonur) 우주기지에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Sputnik) 1호 발사
10. 일본 우정성, 전국에서 43국(민방 36, NHK 7)에 TV 방송국 예비면허 발급
11. 1 일본, 교육TV방송 설립
11. 24 일본 NHK, 도쿄에서 FM 실험방송 개시(NHK FM 도쿄실험국 방송 개시)
12. 1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방송협회 설립
12. 28 일본, NHK와 일본TV(NTV)가 컬러TV 실험국 개국(NTSC 방식)
12. 영국 BBC, 엘리자베스 여왕의 크리스마스 메시지를 TV로 최초 방송
12. 스웨덴, TV방송 개시
12. 루마니아, 국영 RTR이 TV방송 개시
12. 타이, 라디오학교방송 개시
12. 핀란드, YLE국 TV 실험방송 개시
12. 가나 독립 후 GBC(가나방송협회) 국유화
12. 리비아, 국영방송 LJB 라디오방송 개시
12. 말리, 라디오방송 개시
12. 트리니다드 토바코, ‘라디오 가디언’ 설립
1957. 미국, CBS에 2인치(Standard Tape) VTR 설치
1958
국내
1. 1 CBS, 연속극 〈태양의 그림자〉 방송 시작 ─조남사 작
1. 11 전국언론인대회 개최, 선거법 중 언론제한 조항 삭제 요구
1. 12 CBS, 연속극 〈인생 막간(幕間)〉 방송시작─이보라 작
1. 14 방송문화연구실, 국악 라이브러리 설치(녹음 테이프 139개)
1. 15 CBS, CBS극회 3기생 12명 수료식
1. 15 CBS, 주간 기본편성 개편
1. 15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연속 낭독 〈원효대사〉 방송 시작
1. 16 서울중앙방송국, 제2기 방송극 연구생 13명 교육 수료
1. 20 서울중앙방송국, 신춘방송극 공모 당선작발표(당선작 이상훈 작 ‘밀고자’)
1. 20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에서도 밤 12시부터 45분간 대북방송 실시
1. 20 서울중앙방송국, 주간 기본방송 순서 개편
1. 25 공보실, ‘방송의 일반적 기준에 관한 내규’ 제정
1. 27 서울중앙방송국, KBS 제1기 국악연구생 30명 선발
2. 1 CBS기독교방송, 독자적인 뉴스방송 개시(그 동안 KBS 뉴스 중계)
2. 1 공보실 방송관리국, 국외(局外) 모니터제 실시(종전의 감청제도 폐지)
2. 3 서울중앙방송국, 남자 아나운서 공채(우리말 5명, 일본어 1명)
2. 11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방송대학〉, 〈젊은이 시간〉, 〈세계의 조류〉, 〈역사의 그림자〉, 〈위인의 생애〉 등 신설
2. 1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기본 편성 일부개편
2. 16 KBS강릉방송국, 출력 5㎾ 증강, 주파수 660㎑로 변경
2. 16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3.1절 기념방송극 예술제 실시(12개 참가 작품, 청취자 투표와 심사위원 투표로 각각 시상, 2.16∼3.13)
2. 20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동남아 대상 실험전파 발사
2. 22 서울중앙방송국, 박상진 기자 동남아 6개국 순방 친선 예술사절단 수행 취재(동남아 대상 실험전파 청취 상태 측정)
2. 26 공보실, 「주간 모니터」 발간
2.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시교육위원회와 한국교육방송협회 협조·KBS 주무로 〈학교방송〉 시작
2. AFRTS(미국군방송), 인공위성 발신음 및 주피터 C호 발사 폭음 사운드를 KBS 에 제공
2.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최초의 방송시극 〈뽀얀 바람이라는 이름의 미풍〉 방송─이보라 작
3. 1 서울중앙방송국, 3.1절 가장행렬 실황중계
3. 1 공보실, 파고다공원에 라디오중계 스피커 설치
3. 1 HLKZ-TV, 프로그램 개편─〈나의 비밀〉, 〈창문〉, 〈예능로터리〉, 〈화요극장〉, 〈틴에이저 아워〉 등 신설
3. 2 공보실 방송문화연구실, 「주간방송」 창간 (타블로이드 8면)
3. 5 서울중앙방송국, 해외홍보용 「Radio Korea」 발간
3. 5 공보실 방송문화연구실, 국외 모니터 좌담회 개최
3. 6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판문점에서 KNA 납북인사 송환 실황중계
3. 8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KNA 납북인사 유봉순 의원·김기완 공군 정훈감·김진섭 대한항공협회 이사 귀환보고강연회 실황중계
3. 8 HLKZ-TV, 종로 보신각 앞 광장에서 옥외 스튜디오 가설, 〈승마법〉 방영
3. 9 CBS, 〈아마추어극장〉 제40회 공개방송
3. 10 KBS부산방송국, 자체 제작 프로그램 방송으로 지방국 최초 종일방송 실시(토·일요일 제외)
3. 10 HLKZ-TV, 어린이 노래회원·동극반·중고생극회·대학생극회원 선발
3. 11 HLKZ-TV, 〈화요극장〉 단막 ‘슬픈 결산’ 방송─황태수 작, 이기하 연출
3. 16 HLKZ-TV, 〈10만환 퀴즈〉 신설
3. 17 CBS, 〈노래에 얘기 싣고〉 방송 시작(최초의 본격 DJ 프로그램으로 레코드음악과 드라마를 합성) 제1화 ‘아름다운 꿈속의 파리’ 샹송과 함께 30분간 방송─정순일 작
3. 20 서울중앙방송국, 서울-제주 간 KNA 취항 방송
3. 24 서울중앙방송국, 신규 채용 방송기술요원 강습(3.24∼4.14)
3. 26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 대통령 탄신 기념 제1회 국악 경연대회 개최
3. 26 CBS, 이승만 대통령 탄신 특집극 〈위대한 발자취〉 방송
3. 26 서울중앙방송국, 유엔군 장병 초청 〈한국의 밤〉 특집방송
4. 1 서울중앙방송국, KBS 경음악단을 서울방송관현악단(23인조)으로 확대 개편─지휘 박시춘
4. 7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4월극장 ‘단막극’ 연속 방송(중견작가 8명 집필─이상훈·김규대·이보라·조남사·이서구·최요안·한운사·이석정, 총11회, 4.7∼4.30)
4. 7 서울중앙방송국, 조선일보 주최 신인음악회의 전레퍼토리 〈음악의 샘〉 프로그램에서 녹음 중계(4.7∼4.18)
4. 9 서울중앙방송국, 프랑스 바이올리니스트 브리지드 보퐁 여사 초청 독주 실황 방송
4. 9 KBS청주방송국, 군민 위안 이동방송 실시(4.9∼5.8)
4. 10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대 동남아 영어방송(30분) 및 불어방송(30분) 개시
4. 17 서울중앙방송국, DJ 프로그램 방송시작 (매주 목요일)
4. 19 CBS, 연속극 〈이 생명 다하도록〉 120회로 방송종료─한운사 작
4. 21 서울중앙방송국, KBS 어린이노래회원 방송활동 개시
4. 22 서울중앙방송국, 방송 연출가 김규대(〈명작극장〉, 〈KBS 무대〉 담당자) 사망
4. 23 서울중앙방송국, 〈시민 위안의 밤〉 전국에 실황중계(공보실 후원, KBS·CBS·HLKZ-TV·서울시·문총 등 주최)
4. 23 공보실, KBS·CBS·HLKZ-TV 등 전 방송국 제작으로 ‘시민 위안의 밤’ 전국에 실황 중계
4. 27 서울중앙방송국, 터키 총리 멘데레스 한국방문 기념 〈한·터키 친선의 밤〉 실황 중계
4. KBS춘천방송국, 시내 옥천동 116번지에 대지 530평 확보
5. 2 서울중앙방송국, 제4대 민의원 총선 실황철야 방송(22:00∼01:00, 정규 방송 중지, 아나운서 6명 참가)
5. 4 CBS, 기본편성표 개편
5. 4 HLKZ TV, 기본편성 개편
5. 4 서울중앙방송국, 서머타임 실시로 주간 기본방송순서 개편(제1방송 45분 연장 방송, 01:30 종료)
5. 7 서울중앙방송국, KBS 어린이노래회 창설
5. 8 HLKZ TV, 〈아마추어 무대〉 방송 시작
5. 9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국악무대〉 부활
5. 12 서울중앙방송국, 제5회 어린이 음악콩쿠르 개최
5. 12 서울중앙방송국, 제3회 아나운서 강습회 16명 참가(5.12∼6.7)
5. 12 HLKZ-TV, 두돌 기념 특집방송 실시(수상기 3,500대, 1일 평균 3시간 30분 방송, 출력 500W)
5. 18 서울중앙방송국, 미육군 야전군악대 연주 실황 중계
5. 22 서울중앙방송국, 오페라 〈리고렛〉 공연 실황 중계
5. 24 서울중앙방송국(KBS), 제3회 아시아경기대회 중계방송(도쿄, 5.24∼6.1, 아나운서 강찬선·임택근, 엔지니어 김성배·이중집 파견)
5. 25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아시아경기대회 참가 한국선수단 응원 격려 특별 프로그램 방송(5.25∼6.1)
5. 28 KBS부산방송국, 시민 위안의 밤 개최
5. 29 HLKZ TV, 여자아나운서 강습생 선발
5. 30 서울중앙방송국, 5.29에 무장간첩 박설원을 체포한 형사와 시경 국장을 단독 인터뷰 녹음 방송
5. 서울중앙방송국, 한강 인도교 복구 준공식 기념 공연 실황 중계
5. HLKZ TV, 중학생 인형극회 발족
5. 서울중앙방송국, 특집 〈5월의 표정〉 각 지방국 작품 릴레이 중계
6. 1 CBS, 제3회 방송 여론조사 실시
6. 1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일요연속극 〈느티나무 있는 언덕〉 방송 시작─최요안 작
6. 2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연속극 〈별의 고향〉 방송 시작─이서구 작, 이상만 연출
6. KBS속초이동방송소, 퀀셋 건립 및 방송 개시
6. KBS포항이동방송소, 준공
6.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방송극 〈천하태평〉 6회 릴레이방송
7. 2 HLKZ-TV, 피아니스트 한동일 귀국으로 〈스페셜 이벤트〉 방송
7. 5 서울중앙방송국, 피아니스트 한동일 모국방문 독주회 실황 중계
7. 14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신문논평〉 매일 방송(19:40∼19:45)
7. 14 체신부, 부산MBC문화방송 설립 인가
7. 15 KBS대전방송국, FM 송수신 철탑 준공
7. 17 HLKZ-TV, 연속국악극 〈별들〉 방송 시작(총 8회 방송)
7. 23 CBS, 연속소설 낭독 〈찬란한 독배(毒盃)〉 방송 시작─김말봉 작
7. 23 서울중앙방송국, KBS LP레코드 제작공장 준공식
7. 23 서울중앙방송국, KBS 서울-대구-부산 유선 중계회선 개설
7. 23 서울중앙방송국, KBS 지방FM 중계망 제1차 구간 준공
7. 23 서울중앙방송국, 대전-서울 간 최초의 FM 2원방송 성공(대전방송국과 서울중앙방송국 간 FM 2원방송)
7. 서울중앙방송국, 7월 현재 1일 31시간 15분 방송(제1방송 20시간, 제2방송 8시간 15분, 해외방송 3시간)
7. 한국복음주의방송, 인천시내 각 기관의 PR·계몽활동을 위해 매주 일요일 15분간 방송 제공
7. 정환옥·김상용의 명의로 체신부로부터 상업방송용 무선 전화시설 허가
8. 1 서울중앙방송국, KBS 음악연구회 발족(왜색가요 추방, 건전 대중가요 육성 목적)
8. 1 CBS, 범아시아 매스컴대회에 4명 참가(8.1∼8.6, 도쿄)
8. 6 HLKZ-TV, 퀴즈 〈10만환 문답〉에서 최초로 10만환 수상자 출현(6주 연승)
8. 10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정부수립 10주년기념 방송예술제 개최(8.10∼8.16)
8. 15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방송소설 현상모집 당선 작품 〈장마루촌의 이발사〉 방송시작(8.15∼9.6)─박서림 작
8. 15 공보실, ‘방송문화상’ 제정
8. 16 공보실, 제1회 방송문화상 수상자 발표 시상(서울중앙방송국 KBS 제1연주실)
8. 19 KBS마산방송국, 방송예술제 개최
8. 22 KBS이리방송국, 방송합창단 발족
8. 25 부산MBC, 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 창립총회─대표이사 김상용
8. 29 서울중앙방송국, 〈KBS 콘서트〉 100회 기념방송
8. 29 서울중앙방송국, 보도계 윤태로·기술과 김성렬 2명이 ICA 기술원조 계획으로 도미
8. 30 KBS목포방송국, 방송합창단 발족
9. 1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학교방송〉을 제2방송으로 옮기고 중학 대상 확장 실시(매일 45분 간 방송)
9. 11 서울중앙방송국, 지방방송국 기술과장 회의 개최
9. 15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어린이시간〉에 지방어린이시간 신설
9. 16 서울중앙방송국, 음향효과 연구생 6명 공채
9. 21 CBS, 프로그램 개편(아침방송 08:30까지 연장, 일요일 낮방송 신설 15:00∼18:00)
9. 22 서울중앙방송국, 전속 성우 15명 선발
9. 24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수요일 밤의 향연〉 공개방송 시작
9. 26 KBS춘천방송국, 신사옥(건평 81평 7홉) 준공, 출력 1㎾로 증강
9. 27 서울중앙방송국, 서울운동장 야구장 증축 개장 방송
9. 29 CBS, 시공관(市公館) 공연극 〈한강은 흐른다〉 실황 중계 방송
9. AFKN TV, 서울 용산 미 8군 영내에 TV 스튜디오 준공
9. KBS전주방송국 준공
9. 서울중앙방송국, 문시형 기자가 처음으로 형사범 체포현장 취재(육성 녹음 등)
10. 1 CBS, VOA 제작 〈인간의 희망〉 방송시작(과학·교육·종교 등 국제적 권위자 초빙 좌담)
10. 9 KBS마산방송국 진해송신소 준공(출력 1㎾, 주파수 1430㎑)
10. 13 CBS, 연속극 〈밤마다 꿈마다〉 방송 시작
10. 20 부산문화방송(주)(현 부산MBC) 등기 공고
10. 20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연속방송극 〈동심초(同心草)〉 방송 시작─조남사 작
11. 7 부산MBC, 방송요원 23명 선발
11. 10 서울중앙방송국, KBS 신규 채용 아나운서 강습회 실시
11. 12 서울중앙방송국, 제4회 전국 대학생 방송극 경연대회 수상작 발표
11. 19 CBS, 연속 낭독 〈하나의 기도〉 방송 시작 ─안동민 작
11. 20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대 하와이방송 현지 청취자 요청으로 30분 앞당겨 16:00에 방송 시작
12. 1 CBS, 예배실황 중계프로 〈교회순례〉 방송 시작
12. 1 KBS목포방송국, 출력 500W에서 1㎾로 증강
12. 1 CBS, 방송시간 연장
12. 3 부산MBC, 미국 콜린스사에 발주한 방송기기 1차분 입항
12. 8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대일 방송프로그램 개편(일요일 제외, 매일 5분간 뉴스 신설)
12. 24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성탄 전야 미사실황 중계(명동성당)
12. HLKZ-TV, 중앙공보관 제공 프로그램 〈텔레비전 화랑〉 수시 방송
해외
1. 1 스위스, TV방송 개시
1. 25 타이, 육군 TV방송국 방송 개시
1. 31 미국, ‘익스플로러(Explorer) 1호’ 우주발사
2. 1 일본, 간사이TV(KTV) 설립
3. 21 이란, 민간회사 ‘이란 TV’ 방송 개시
4. 28 일본, 헬리콥터에서 첫 TV 중계
5. 1 중국, 중앙전시대(中央電視臺) 베이징TV방송국 실험방송 시작
5. 16 일본, TV 수신 계약수 100만 돌파
5. 유로비전, TV영화 콩쿠르(칸영화제 행사의 일환)
5. 일본, 제2회 아시아지역 방송회의 개최
6. 29 과테말라, 국영방송이 대한(對韓) 친선방송
7. 1 캐나다, 동서 4,000마일을 연결하는 TV중계선 완성
7. 12 상투메프린시페, 라디오방송 개시
7. 17 이라크, IBTE에서 페르시아어로 국제방송 시작
7. 덴마크 코펜하겐 동남해상에 ‘라디오멜큘’이라는 해적방송 출현
7. 일본 NHK, 암펙스사제 VTR로 최초 방송
8.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방송국에서 TV실험방송 개시
9. 1 중국, 중앙전시대 베이징TV방송국 TV 본방송 개시
10. 2 기니, 라디오방송 개시
10. 14 일본, 도쿄타워 완성
11. 1 서독, TV수상기 생산 연 100만대 돌파
11. 10 캐나다, 방송관리위원회(BBG) 설립
11.28 유고슬라비아, 3국(베오그라드·류블랴나·자그레브국) 공동으로 TV 본방송 개시
12. 10 일본, TV 수신계약수 150만 돌파
12. 18 미국, 통신실험위성 ‘스코어’ 발사
12. 23 일본, 도쿄타워 영업 개시
12. 26 서독, 자유베를린방송 처음으로 FM 스테레오 실험방송
12. 동독, 라디오 제2방송 개시
12. 일본, 도카이(東海)대학 FM실험국 개국
12. 짐바브웨, 중앙아프리카연방 결성에 따라 연방방송협회 설립
12. 핀란드, TV방송 개시
12. 모리타니, 라디오방송 개시
12. 중앙아프리카, 라디오방송 개시
12. 페루, 국영TV와 상업TV 본방송 개시
1958. 미국, 암펙스(Ampex) 컬러VTR 시연
1958. 헝가리, MR에 TV를 합하여 MRT로 개편
1959
국내
1. 2 서울중앙방송국, 신년 특집극 〈소문만복래〉 방송
1. 4 AFKN TV, 자체 제작 생방송 시작
1. 4 서울중앙방송국, ‘KBS 국악연구회’ 발족(20명)
1. 5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최초의 영어 공개강좌 개시
1. 서울중앙방송국, KBS 문예계 연속방송극 대본을 최종회분까지 사전 제출토록 결정
1. 서울중앙방송국, KBS 어린이노래회 「방송동요」 간행(제4집 무료 배부)
2. 2 HLKZ-TV, 화재로 방송 중단
2. 5 KBS여수방송국, 전속 방송경음악단 창설
2. 13 서울중앙방송국, 재일동포 북송 반대 특집편성 <자유대한의 소리> 대일방송
3. 1 AFKN, HLKZ에 방송시간 편성
3. 26 CBS대구방송국 개국(CBS기독교대구방송국)
4. 11 KBS전주방송국, 이리국을 승계하여 개국
4. 12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대일 우리말 방송 개시(06:15∼06:30)
4. 15 부산문화방송국(MBC-HLKU), 라디오개국(현 부산MBC)
4. 19 CBS, 4.19 학생의거를 전후하여 공정한 보도로 방송뉴스의 신기원 이룸
4. 라디오학교방송, 주간 방송일람표 발간, 각 학교에 배포
5. 1 한국복음주의방송국, 주파수 1230㎑를 1065㎑로 변경
5. 3 AFKN TV, 〈The Story of Korea〉 방송시작
5. 3 CBS, 소설 낭독 〈통일천하〉 방송 시작─김팔봉 작
5. 3 CBS, 프로그램 개편
5. 3 서울중앙방송국, 주간 기본방송순서 개편
5. 10 서울중앙방송국, <자유대한의 소리> 해외방송 대 유럽 실험방송 개시
5. 11 서울중앙방송국, 제4회 아나운서 강습(5.11∼6.5)
5. 17 부산MBC, 전속 가수 선발
6. 1 CBS, 어린이노래 회원 선발
6. 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참전 16개국에 한국의 발전상과 풍속을 소개하는 30분 패키지 프로그램 발송
6. 13 인권수호총연맹, 서울에서 언론수호대회 개최
6. 16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제6회 어린이 음악콩쿠르 본선 실황 전국에 중계
6. 17 CBS, 공개 방송 〈아마추어 극장〉 재방송 시작
6. 19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야구 중계차 일본에 갔던 황우겸 아나운서가 조총련계 북송 기만책을 폭로하는 재일동포들의 인터뷰 녹음 방송
6. 26 서울 고법, 경향신문 폐간 집행정지 결정(정부에서 다시 정간 처분)
6. 27 부산MBC, 방송시간 1일 7시간 10분으로 연장
6. 28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공개방송 프로그램 남산연주소 제1스튜디오에서 공개 녹음
6. 30 방송문화연구실, KBS의 각종 특집방송 합평회 개최
6. 30 한국언론학회 창립
7. 1 한국복음주의방송국 제2대 국장에 우인철(禹仁哲, William Winchell) 취임
7. 10 서울중앙방송국, 국악연구회 제1회 연구발표회 원각사 공연(7.10∼7.13) 방송
7. 11 부산MBC, 호출부호 HLKU에 MBC 병용
7. 13 서울중앙방송국, 농촌극 특집시리즈 6회방송─김희창, 주태익, 이서구, 박진, 김영수, 최요안 작
7. 13 서울중앙방송국, 대북방송 강화회의 개최
7. 14 서울중앙방송국, 원자로 기공식 중계 방송
7. 17 KBS부산방송국, 국제신보사 주최 〈시민위안의 밤〉 실황 중계 도중 소나기로 집단참사 발생(59명 압사)
7. 17 부산MBC, 시민 위안의 밤 실황 중계 및 압사사고 임시뉴스 보도
7. 19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어린이 프로그램 〈누가 누가 잘하나〉 제1회 연구발표회 KBS홀에서 실시─지도 홍은순
7. 21 HLKZ-TV, 〈영어회화〉 프로그램 방송 시작
7. 26 부산MBC, 어린이 합창단원 추가 모집
7. 28 KBS마산방송국, 호출부호 HLKO를 HLKD로 변경
8. 1 부산MBC, 〈5분 하와이안〉 방송
8. 1 부산MBC, 〈안녕 코러스〉 방송
8. 1 서울중앙방송국, 대천해수욕장에 임시 유선방송국 설치(8.1∼8.31)
8. 1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광복절기념 전국 대학생 학술 대토론회 개최(8.11∼8.13)
8. 12 서울중앙방송국, 장기범 아나운서 2년간 계약으로 VOA 아나운서로 도미
8. 15 부산MBC, 제1회 대학방송극 경연대회 개최
8. 15 서울중앙방송국, 가공(架空)실황 중계 방송 〈감격의 8월15일〉 방송
8. 17 서울중앙방송국, 제2회 방송문화상 시상
8. 17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 통신무전 주관청 회의에 방송관리국 이인관 기감 참석(8.17∼12.16, 한국은 43 주파수 할당을 요구)
8. 19 서울중앙방송국, 영국 BBC의 60분 패키지 프로그램 접수(59.6. KBS가 참전 16개국에 발송한 프로그램에 대한 답례)
8. 20 서울중앙방송국, ‘라디오 유치원’ 노래지도 협의회 결성
8. 20 서울중앙방송국, 국산품 박람회 개막 방송
8. 25 부산MBC, 재일교포 학생야구단 내부(來釜) 경기 실황 중계
8. 25 부산MBC문화방송, 회사 등기 마치고 방송준비에 들어감
8. 31 KBS춘천방송국, 폭우로 고립된 소양강의 200여 주민 이동방송차 스피커로 구조 작업 지원
8. KBS강릉방송국, 경포대에서 15일간 1일 90분간 임해방송 실시
8. 서울중앙방송국, 〈스무 고개〉, 〈스타 탄생〉, 〈아마튜어 쇼〉 등 만리포 임해 공개방송 실시
9. 3 부산MBC, 서울가극단 공연 실황 중계 방송(제1극장)
9. 4 방송문화연구실, 제1회 지방방송 합평회 개최
9. 15 CBS, 〈라디오 유머〉 방송 시작
9. 16 부산MBC, 태풍 사라호 특별방송(삼남지방에 태풍 사라호 엄습─사망 924명, 이재민 985,000명, 피해액 129억환)
9. 18 KBS전주방송국, 전주시민 ‘개창(皆唱)의 밤’ 개최
9. 20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분산 편성된 대북방송을 05:00∼06:00, 20:30∼21:30으로 통합 편성
9. 20 서울중앙방송국, 주간 기본방송순서 개편
9. 23 서울중앙방송국, 방송 경음악단 경연대회 개최(청취자 투표심사제 도입)
9. 23 부산문화방송국(현 부산MBC, MBC부산문화방송), 경영권 김지태에 이관
9. 30 부산MBC, 9월 현재 1일 평균 7시간 30분 방송(일요일은 9시간)
10. 1 KBS강릉방송국, 주파수 660㎑에서 600㎑로 변경
10. 4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교양 특집 해설극 〈인류의 발자취〉 시리즈 13회 방송
10. 19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15명 선발(지방방송국에 배치)
10. 19 ITU(국제전기통신연맹)에 가입
10. 28 부산MBC, 수재민 구호모금 〈노래잔치〉 개최
11. 28 KBS안동방송국, 사옥 기공식
11. 30 서울중앙방송국, 연속극 〈어느 하늘 아래서〉 방송 시작─한운사 작
11. 30 부산MBC, 기구 개편(3부 7과 16계)
12. 1 서울중앙방송국, 제5회 전국대학방송극 경연대회 개최(12.1∼12.19, 19개교 참가)
12. 8 CBS, 〈시사해설〉 신설
12. 9 부산MBC, 제1회 방송제 개최
12. 11 KBS포항이동방송국, 지방 방송국 승격 위해 포항시 유지 발기회 구성
12. 13 서울중앙방송국, 로마올림픽 예선 한·일 축구전 실황 중계(도쿄)
12. 13 서울중앙방송국, 어린이극 회원 33명 선발
12. 19 방송문화연구실, 제11회 서울지구 방송 여론조사 실시
12. 23 CBS부산방송국(기독교부산방송) 개국
12. 24 부산MBC, 백화당(百花堂)에서 송년 댄스파티 실황 중계
12. 29 서울중앙방송국, 제1·제2방송을 통한 최초의 입체 음악 스테레오 방송 실시
12. 30 서울중앙방송국, 〈수요일 밤의 향연〉 아나운서 온퍼레이드 공개 방송
해외
1. 1 오스트리아, TV에서 광고방송 개시
1. 9 독일, 방송의 아버지이며 세계 전파통신의 공동창시자인 ‘한스 브레도(Hans Breadou)’ 박사 서거(1879∼1959)
1. 10 일본, NHK 도쿄교육TV 개국(1일 약 4시간 20분 방송)
2. 1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양국 독립으로 ‘라디오말레이시아’ 본부는 콸라룸푸르로, 싱가포르국은 ‘라디오 싱가포르’로 각각 분리
2. 1 일본, TV아사히 개국
2. 프랑스, 1959년 방송법 시행
3. 1 일본,(주)후지TV 개국
3. 멕시코, ‘채널11’ TV방송국 개국(라틴아메리카 최초의 교육TV)
3. 일본, 방송법 일부 개정(프로그램 심의회 설치 각국[各局]에 의무화)
4. 1 일본, 삿포로TV방송 개국
4. 3 동독, 방송조례 제정(수신허가제, 수신료 등)
4. 10 일본, 왕세자 결혼식 각국 라디오와 TV로 실황 중계
4. 22 일본, 방송법 일부 개정으로 각국에 프로그램 심의회 설치
6. 14 자메이카, 라디오방송(JBC) 개시
8. 나이지리아, 사하라 이남에서 최초의TV방송 개시
9. 13 소련, 달 탐사선 루나2호 발사, 달 표면 도달
9. 온두라스, TV방송 개시
9. 파나마, RPC사 TV방송 개시
9. 인도, 델리에 파일럿센터 개설하고 TV(교육프로그램) 실험 방송 시작
9. 일본, 일부 개정된 방송법 공포
10. 8 일본, TV 수신계약수 300만 돌파
10. 미국, 퀴즈 스캔들 사건으로 NBC 21명의 관계직원 해고
11. 덴마크·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4개국, TV 네트워크 ‘놀드비전’ 조직
12.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 저광량(低光量)의 컬러TV 진공관 발명
12. 오트볼타, 라디오방송 개시
12. 중국, 상하이·광저우·하얼빈에 각각 TV국 개설, TV수상기 생산 시작
12. 프랑스, SECAM 방식(프랑스가 개발한 컬러TV방식) 첫 공개 테스트 실시
12. 프랑스, TV에서 광고방송 개시
12. 레바논, TV방송 개시
12. 아이티, TV방송국 설치(텔레 아이티 유선TV로 시작)
1959. OIR(국제라디오기구), 국제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기구를 통칭하여 OIRT(동구권방송연맹)로 정함
1960
국내
1. 1 서울중앙방송국, 13개 지방방송국 신규 채용 아나운서 1명씩 배치
1. 1 부산MBC, 낮 방송 실시로 1일 9시간 10분 방송
1. 3 서울중앙방송국, 신춘방송극 릴레이방송 ─이서구, 김희창, 최요안, 주태익, 임희재 작
1. 3 서울중앙방송국, 오페레타 〈춘향전〉 공연실황 중계
1. 4 KBS남원방송국, 출력 1㎾로 증강
1. 8 서울중앙방송국, 연속극 〈금단의 문〉 방송시작─조남사 작, 이보라 연출
1. 11 서울중앙방송국, 신춘방송극 공모 시상 (당선작 없음, 가작 ‘생활전선’)
1. 13 KBS부산방송국, 미국방송재단에 영어 패키지 프로그램 보냄
1. 20 서울중앙방송국, VUNC 송신소를 판문점 부근에 설치(1220㎑)
1. 21 KBS부산방송국, 학생대상 공개 프로그램 〈금요일밤의 선물〉 신설
1. 27 서울중앙방송국, 제1회 방송극작가협회상 이서구 수상
1. 30 서울중앙방송국, 연희송신소 75m 철탑을 대전방송국에 이설
1. CBS, 〈대중가요〉, 〈우리들의 보건〉 등 프로그램 신설
1. CBS, 뉴스시간을 매시 50분대로 편성
1. 서울중앙방송국, 신민법 해설을 연속극으로 방송
1. 서울중앙방송국, 재일 한국거류민단 중앙본부의 제2방송 청취율 조사자료 받음
1. 월간 「방송」지, 대한방송사업협회에서 인수 발행(제작: 방송문화연구실)
2. 1 KBS, 어린이연속극 〈불어라 봄바람〉 방송 시작
2. 3 서울중앙방송국, 연속 낭독 〈푸른 하늘 끝없이〉 방송 시작─이효석 작, 윤미림 낭독
2. 6 부산MBC, 성우연구원 20명 선발
2. 7 CBS, 연속극 〈파란 라이트를 켜라〉 방송시작
2. 8 KBS대구방송국, 공개 프로그램 〈가요 대전〉, 〈노래교실〉 신설
2. 13 KBS대구방송국, 지방순회 방송반 구성 (17일간 22개 군 대상)
2. 15 서울중앙방송국, 한국방송 33주년기념 특집 〈방송 33주년의 발자취〉 방송
2. 16 서울중앙방송국, 조병옥 박사 급서로 여야 대변인의 애도사 녹음 취재 방송 및 조 박사 육성 3분간 방송
2. 21 부산MBC, 〈루터런 아워〉 방송 시작
2. 22 서울중앙방송국, 3.1절 기념 방송극 예술제 개최(20일간 작가 12명 참가)
2. 22 서울중앙방송국, 쇼팽 탄생 150주년 기념 특집 〈월요음악회〉 쇼팽의 대표작 방송
2. 23 KBS여수방송국, 여수시 서교동 사옥 22m 철관주에 송신 공중선을 T형으로 가설
2. 25 서울중앙방송국, 조병옥 박사 국민장 실황중계(서울운동장) 및 조 박사 추모특집 방송
2. 26 CBS, 〈영화평론〉 신설
2. 29 서울중앙방송국, 포항지방방송 승격 추진위원회 제3차 임원총회에서 사옥 신축 제공 결정
3. 1 서울중앙방송국, 3.1절 기념 특집 〈가공〉 실황 중계
3. 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주파수 변경 대 유럽방송 개시
3. 2 AFKN 구미리중계소, 화재로 전소
3. 3 KBS전주방송국, 정부가 배급한 420대의 트랜지스터 라디오와 앰프 47대, 스피커 100개 전라북도에 배분
3. 7 부산MBC, 출력 10㎾ 증강 인가
3. 8 전성천 공보실장, 경기도 농어촌에 트랜지스터 라디오 620대 배분
3. 9 서울중앙방송국, 세계적인 음악가 안익태 귀국 특별 대담방송
3. 13 서울중앙방송국, 인기가수 퍼레이드(3주간)
3. 15 서울중앙방송국, 제5대 정·부통령선거 개표 실황 철야 방송
3. 15 부산MBC, 부정선거 규탄 마산시민 의거 보도
3. 16 부산MBC, 마산 사태 취재반 특파
3. 19 KBS청주방송국, 도내 앰프촌 28개소 준공
3. 20 서울중앙방송국, 〈제3회 전국 국악 경연대회〉 개최
3. 23 방송문화연구실, 지방방송 합평회 주관(이후 매년 2회 실시키로 합의)
3. 23 IPI 제9차 총회, 한국 가입 1년간 보류
3. 26 서울중앙방송국, 안익태 지휘 〈코리아 환상곡〉 연주 녹음방송(제1·2방송 통한 입체음향)
4. 1 KBS마산방송국, 주파수 1430㎑에서 650㎑로 변경
4. 2 서울중앙방송국, 김혜영 아나운서 영국 BBC 초청으로 8개월간 방송 연구차 도영
4. 2 CBS, 연속 낭독 〈울지 않으련다〉 방송 시작─윤갑숙 작
4. 6 서울중앙방송국, 신춘 방송극 100만환 현상 재모집─김기팔 작 <해바라기 가족> 당선
4. 6 서울중앙방송국, 3.1절 기념 방송극 예술제 시상
4. 8 부산MBC, 김상용 회장 사임, 김종한 전무 취임
4. 11 KBS, 제1회 방송기자 강습회(4.11∼4.19)
4. 11 부산MBC, 마산 데모 김주열 군 시체 인양을 전국 최초로 보도
4. 12 AFKN TV, Camp Kaiser국 화재 발생으로 방송 중단(61.5.14 방송 재개)
4. 12 CBS, 각 일간신문기사 방송 뉴스로 보도(4.12∼4.26)
4. 12 서울중앙방송국, 마산 데모 뉴스 보도관제
4. 18 부산MBC, 서울지사와 전화로 데모 상황 녹음취재 방송
4. 18 서울중앙방송국, 대북방송 합평회 개최
4. 19 CBS, 4.19 사태 특별 방송
4. 20 서울중앙방송국, 오후부터 정규방송 중단하고 레코드 음악방송 실시
4. 20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 대통령의 4.19 데모에 관한 담화방송
4. 22 서울중앙방송국, 〈계엄사령부시간〉 신설(계엄사령부 KBS 장악)
4. 23 계엄사, 보도관제 해제
4. 23 부산MBC, 4.19 의거 희생자 합동위령제 범어사에서 실황 중계
4. 23 서울중앙방송국, 4.19 데모 부상자 위문 및 모금활동 〈따뜻한 손길〉 녹음방송
4. 23 서울중앙방송국, 장면 부통령 사퇴성명 보도
4. 25 서울중앙방송국, 녹음구성 〈거리의 표정〉 방송
4. 26 서울중앙방송국, 아나운서 28명 〈방송의 공정과 중립화〉 촉구 성명방송
4. 26 서울중앙방송국, 이승만 대통령 하야성명 방송(18;30, 19:00, 19:30)
4. 27 서울중앙방송국, 임시프로그램 편성(4.27∼4.30)
4. CBS, 뉴스좌담회 〈시국 수습방안〉 시리즈 방송
4. 서울중앙방송국, 서울을 제외한 전국 대상 방송 여론조사 실시
5. 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어학강좌〉, 〈방송대학〉 이외의 전교양 프로그램 폐지
5. 1 서울중앙방송국, 대북 방송 2시간을 4시간으로 연장, 대일 방송 45분에서 60분으로 연장
5. 1 서울중앙방송국, 주간 기본방송순서 개편(서머타임 실시)
5. 4 정부, 일본인 기자 무제한 입국 허용(5.17 15명 입국)
5. 8 서울중앙방송국, 해외방송 주파수 변경
5. 12 부산 MBC, 국외 모니터제 실시
5. 12 서울중앙방송국, 우방 14개국에서 보내온 어린이날 축하 프로그램 방송
5. 16 부산MBC, 국외 모니터제 실시
5. 18 CBS부산국, 어린이 노래회원 선발
5. 19 서울중앙방송국, 4.19 의거 희생자 추모특집극 〈찬란한 아침〉 방송─김영수 극본
5. 19 서울중앙방송국, 일본 NHK 주최 제3회 아시아지역 방송회의 참가(5.19∼5.21)
5. 24 KBS, 4.19 이후 최초로 지방 방송국장 회의 개최
5. 26 부산MBC, 4.19 데모 녹음 특집방송
5. 31 서울중앙방송국, 최초의 연속사극 〈당쟁비화〉 방송 시작─김희창 작, 이상만 연출
5. 31 이종남 국회의원 방송관리법안 제출(국회 문교분과위 심의 상정, 그후 4대 국회 해산으로 폐기)
5. 부산MBC, 〈학생 의거의 노래〉 공모
5. 방송 민영화 추진 동지회 결성
5. 한국복음주의방송국, 공중선 출력 50㎾로 증강하고 방송 주파수 1065㎑에서 1060㎑로 재변경
6. 1 CBS, 낮 방송 개시(12:00∼14:05, 1일 11시간 30분 방송)
6. 1 CBS, 방송부에 보도계 신설
6. 1 서울중앙방송국, 〈어린이시간〉 ‘민주주의의 영웅들’이란 제목으로 해설(8회 방송)─해설 방기환
6. 4 부산MBC, 1.2차 마산 의거 희생자 합동위령제 실황 녹음방송
6. 9 방송 민영화 추진 동지회 주최로 이종남 국회의원이 제출한 방송관리법안에 대한 공청회 개최(원각사 극장)
6. 10 서울중앙방송국, 국회의 내각책임제 개헌안 심의 실황중계(6.10∼6.15)
6. 15 서울중앙방송국, 내각책임제 개헌안 통과 실황 중계─아나운서 임택근
6. 17 부산MBC, 미스 경남 선발대회 실황 중계
6. 19 부산MBC, 〈학생 의거의 노래〉 발표회 마산극장에서 개최
6. 19 서울중앙방송국, 미국 아이젠하워 대통령 한국 방문(6.19∼6.20) 실황 중계
6. 24 국회, 군정 법령 55호·88호 폐기하고 신문·정당 등록제 법안 통과
6. 27 서울중앙방송국, 연속극 〈발동기(發動機)〉 방송 시작─백전교 극본, 이보라 연출
7. 5 서울중앙방송국, 3.15 부정선거 원흉 공판실황 녹음중계
7. 15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학교방송협회 발족
7. 27 KBS포항방송국, 이동방송차를 서울중앙방송국에 반납
7. 29 부산MBC, 총선 개표실황 철야 방송
7. 29 서울중앙방송국, 민·참의원 총선거 개표실황 전국 32개 지점 연결 다원 방송
7. KBS대구방송국, 3.15 부정선거 원흉 공판 실황 녹음중계(대구지방법원)
7.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폐지되었던 편성계 부활
8. 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프로그램 일부 변경, 국내 대상 영어방송 폐지
8. 3 서울중앙방송국,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청취한 북한 정낙현 소위 미그기 몰고 귀순
8. 7 서울중앙방송국, 연속극 〈현해탄은 알고 있다〉 방송 시작─한운사 극본, 문수경 연출
8. 8 서울중앙방송국, 제2공화국 민·참의원 개원식 및 민·참 양원 의장단 선출 실황 중계방송
8. 9 서울중앙방송국, 제2공화국 신내각 12부 1처 장관 인터뷰 12일간 방송
8. 14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귀순한 전북한공군 정낙현 소위 출연 방송
8. 15 서울중앙방송국, 광복절 특집 〈국악15년〉 방송
8. 15 서울중앙방송국, 광복절 특집 〈노래로 엮은 15주년> 방송
8. 15 서울중앙방송국, 광복절 특집 〈제2공화국 탄생〉 방송
8. 15 서울중앙방송국, 광복절 특집 〈환희의 조국〉 방송
8. 15 서울중앙방송국, 라디오 동요 〈새나라의 노래〉 제정─윤석중 작사, 김대현 작곡
8. 15 서울중앙방송국, 광복절 특집 〈녹음으로 본 광복 15주년〉 방송
8. 17 KBS청주방송국, 재일교포 학생야구단 대 청주학생 선발전 실황 중계
8. 18 제3회 방송문화상 시상
8. 18 한국방송학회 창립 총회(17명)
8. 21 부산MBC, 송도와 광안리에서 납량 2원 임해방송
8. 25 서울중앙방송국, 제17회 로마올림픽대회 중계(아나운서 임택근·이광재, 엔지니어 김성배)
8. 29 부산MBC, 윤보선 대통령 부산 방문 환영식 실황 중계
8. 30 서울중앙방송국, 〈수요일 밤의 향연〉 홍난파 18주기 기념 음악극 방송─이진섭 극본
9. 1 CBS, 연속극 〈무화과〉 방송 시작─송태주 극본
9. 1 서울중앙방송국, 연속 낭독 〈태양의 계곡〉 방송 시작─손소희 작, 고은정 낭독
9. 2 한국복음주의방송, 출력 및 주파수 변경(20㎾→50㎾, 1065㎑→1060㎑)
9. 3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백령도 장병 위문 및 수신상태 조사
9. 4 부산MBC, 독자적 뉴스보도 시작(종전 1일 2회 KBS 뉴스 중계)
9. 18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낮방송 폐지. 대북방송 30분 연장
9. 18 서울중앙방송국, 학교방송을 제2방송에서 제1방송으로 이전
9. 18 서울중앙방송국, 주간 기본방송순서 개편(서머타임 해제)
9. 19 서울중앙방송국, 연속극 〈사랑이 문을 두드릴 때〉 방송 시작─김영수 극본, 연출
10. 1 KBS광주방송국, 제2공화국 수립기념 합동음악회 개최
10. 2 서울중앙방송국, 국군의 날 기념 한강 에어쇼 실황 중계
10. 5 CBS, 특집극 〈추석날 아침〉 방송─박진 극본
10. 8 서울중앙방송국, 장면 국무총리와 4.19 선봉 학생 좌담회 국무총리실에서 녹음 방송(사회 전영우 아나운서)
10. 10 KBS포항방송국, 해·공군 합동 단풍작전 녹음 중계
10. 10 부산MBC, 전국 체육대회 실황 중계방송반 대전에 파견
10. 13 서울중앙방송국, 제7대 서울중앙방송국장 조봉순 취임
10. 15 서울중앙방송국, 대 아시아 영어방송 개시
10. 15 서울중앙방송국, 일본어 단파방송 개시
10. 21 부산MBC, 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 실황 장거리 중계(서울 효창공원, 10.21∼10.23)
10. 부산MBC, 〈금주의 유머〉 방송 시작─DJ 곽규석
11. 4 서울중앙방송국, 제6회 전국 대학 방송극 경연대회 시상(22개교 참가)
11. 5 CBS, 연속극 〈진달래 피는 언덕〉 방송 시작─민구 극본
11. 7 공보부 방송관리국, 방송인 교양강좌 개최
11. 7 서울중앙방송국, 제7회 어린이음악 콩쿠르 개최(최초로 녹음 연주 경연, 11.7∼11.15)
11. 7 서울중앙방송국, 연속극 〈푸른 상처가 가실 무렵〉 방송 시작─이희복 극본, 최창봉 연출
11. 10 공보부 방송관리국, 방송인 교양강좌 실시
11. 15 서울중앙방송국, 어린이 연속극 부활 〈달뜨는 저녁〉 방송 시작─최요안 극본
11. 19 북한, 최고인민회의 최용건 위원장 남북 연방제 구체안 제시
11. 20 KBS광주방송국, 송정송신소 신축공사 착공
11. 22 공보부 방송문화연구실, 보도방송 합평회 개최
11. 서울중앙방송국 제2방송, 전국 대학원 학생 경제학 연구발표회 개최
12. 1 대한가수협회 소속 가수들 방송 출연료 인상을 요구하고 방송출연 거부
12. 10 서울중앙방송국, KBS부산방송국과 연결 2원 전파 퀴즈방송
12. 15 부산MBC, 제2회 문화방송제 개최
12. 18 서울중앙방송국 제1방송, 송년 특집 〈전국 아마추어 톱싱어 경연대회〉 개최
12. 19 부산MBC, 부산시의원 선거투표 상황 다원중계
12. 20 부산MBC, 〈제2회 전국 대학 방송극 경연대회〉 개최
12. 23 한국문화방송주식회사, 경기도 시흥군 서면 소하리 77의 1에 송신소용 대지 9,000평 확보
12. 26 부산MBC, 부산시장 선거투표 실황 다원중계
12. KBS마산방송국, 사옥 신축공사 착공
1960. 북한, 빠른 수신기 보급과 청취자수 급팽창
해외
1. 멕시코, 연방방송법 제정
1. 일본 NHK, 신안보조약 관련 방송 실시
1. 미국, 인공위성 ‘Vanguard’ 발사
1. 미국 포드재단, 교육TV방송국에 1959년 1년간 1,650만 달러 제공 발표
2. 1 동구 공산권 각국을 연결하는 TV 네트워크 ‘인터비전(동유럽 텔레비전 네트워크)’ 결성
2. 미국 NBC PD, 홈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섹스와 폭력물 배제한다고 성명
2. 일본, TV 수신 계약자 400만 돌파
3. 27 영국 런던기술연구소에서 파리-런던 간 컬러TV 첫 송신
3. 중국, 중앙전시대 제2TV 방송 시작
4. 1 일본 NHK, 대한국 방송 개시(단파 9525㎑, 21:30∼22:30)
4.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에서 국영TV국 개국
5. 19 일본, 제3회 아시아지역 방송회의 개최(5.19∼5.21)
5. 미국 RCA, 저광량 컬러TV 진공관 개발
5. 미국, TV교육이 본질적으로 학교교육 계획을 변경시킨다고 발표
5. 벨기에, 방송조직법 제정
5. 스페인, 국영 라디오국에서 광고방송 허용
5. 아프리카 방송연맹 설립(아프리카 6개국 대표 참가)
5. 에콰도르, TV방송(프리메라TV) 개시
6. 1 아일랜드, 국영방송을 아일랜드방송협회(RTE)로 개조
6. 29 영국 BBC, 새로 완성된 런던 ‘BBC TV센터’에서 방송 개시
6. 시리아, TV방송 개시
6. 포르투갈, 라디오학교 방송 개시
6. 일본, 국민정치연구소 발족(일본 매스컴대책단체의 하나)
7. 21 이집트, TV방송 개시
7. 시리아, TV방송 개시
7. 싱가포르, 라디오 광고방송 개시
8. 12 미국, 최초의 통신위성 〈에코 1호〉 발사 성공(대통령 메시지 중계)
8. 25 이탈리아, 제17회 로마올림픽 실황 유로비전으로 중계(6.10∼8.25)
8. 31 일본, ‘(주)NHK 후생문화사업단’ 설립
8. 31 일본, TV 수신 계약수 500만 대 돌파
8. 노르웨이, NRK TV 방송 개시
9. 10 일본, 컬러TV 본방송 개시(도쿄·오사카)
9. 26 미국, CBS 시카고 스튜디오 WBBM 〈미 대통령 선거후보 TV토론〉(케네디·닉슨 대통령 후보 최초의 TV토론방송 실시, 9~10월)
9. 미국, ABC-TV 〈언터처블〉 등 네트워크 오락프로그램의 폭력 장면 문제화
9. 영국방송위원회, 위원장에 필킹턴 경 임명
10. 룩셈부르크, FM방송 개시
10. 일본경영자단체연맹(약칭 일경련), 총회에서 5개 항목 ‘매스컴 대책’ 제안
12. 6 영국 ITV, 〈코로네이션 스트리트(Coro-nation Street, 애칭 코리)〉 방송 시작
12. 뉴질랜드, TV방송 개시
12. 서독, 연방 정부 ‘제2TV’ 설립안에 주(州) 방송측이 반대, 연방헌법재판소에 제소
12. 동독, 광고방송 개시
12. 캐나다, CBC FM 네트워크 실험방송 개시(1962년에 중단)
12. 오스트레일리아, FACTS(오스트레일리아 상업TV국 연맹) 설립
12. 코스타리카, TV방송 개시
12. 라이베리아, 국영방송에 광고방송 시작
12. 짐바브웨, 상업방송회사가 TV방송 개시
12. 카메룬, 독립 직후 프랑스에서 방송시설 인수
1960. 미국, 스테레오 FM 실험 방송
1960. 미국, 최초로 배터리 이동형 TV출시
LG상남언론재단 www.lgpress.org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