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이순신. 우리나라 최고의 영웅으로 칭해지는 이순신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는 이 드라마는 작품의 방대한 스케일만큼이나 대단하고 다양한 세트장을 꾸미고 있다. 촬영장소도 부안을 주무대로 하고, 문경,안동 제천,고창등 전국의 고풍스런 마을과 풍경들을 죄다 앵글에 담고 있다. 그중에서도 이순신의 주 촬영장은 부안 변산반도 국립공원내에 꾸며져 있다. 채석강을 중심으로 바로 남쪽에 있는 궁항과 상록해수욕장, 그리고 북쪽의 적벽강에서 고사포해변으로 넘어가는 중간에 위치한 성천에서 바다씬이 주로 촬영된다. 그 외에도 내소사와 곰소만도 곳곳에서 모습을 비춘다.
‘불멸의 이순신’은 먼저 예교성 전투로 시작되었다. 해안가에 자리잡은 고니시 유키나가의 성을 이순신과 명나라 장수 진린이 협공을 하는 장면이었다. 드라마 후반부의 해상전투씬과 더불어 가장 스팩터클한 장면중 하나. 이 장면이 상록해수욕장에서 촬영되었다.
변산반도에 있는 주요촬영장을 살펴보자.
1) 궁항. 격포 채석강에서 상록해수욕장방향으로 가다가 해변쪽으로 난 작은 소롯길을 따라가면 궁항이라는 작은 어촌마을이 나온다. 이곳에 5,000여평의 규모의 이순신 세트장이 꾸며져 있다.계단식 지형에 입체적인 세트를 건립해 위에서 내려다보면 세트장 전체가 한눈에 들어온다. 이곳에서 가장 많은 장면이 촬영되는데, 전라좌수영을 비롯한 바닷가 마을 21 동이 이곳에 있어서다. 세트로 꾸며진 모든 건물이 바다와 인접해 있어 경관이 특히나 뛰어나다. 이순신의 유명한 시조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 앉아...”에 등장하는 수루도 이곳에 있다.
2) 상록해수욕장 노량해전의 주 촬영장소이다. 상록해수욕장 해변에서 왼쪽으로 돌아가면 솔나무 숲 뒤로 지금의 순천 왜교성이 세트로 꾸며져 있고, 해상전투에 사용되었던 모든 군선들이 이곳에 집결되어 있다. 또 해변 오른쪽에는 거북선을 만드는 선소세트가 들어선다.
3) 위도 / 논금해수욕장 격포에서 40여분 배를 타고 서해를 건너가면 홍길동이 찾아 들어갔던 율도국 위도가 있다. 이곳 논금해수욕장에도 이순신 세트장이 꾸며져 있다. 드라마 초반부 1회에서 4회까지의 방영을 위하여 전스텝진이 15일간에 걸쳐 촬영이 진행된 곳이며, 조선군 지휘소, 대장간, 탄약고, 망루, 선전관, 난민대피소, 식당 등이 지어져 있다.
4) 성천 고사포송림해수욕장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하섬이 눈 앞에 잡힐 듯이 떠있어 특히 경관이 아름답다. 이순신이 도망쳐 삶에 대한 고민을 하던 바다가 바로 이곳. 뒤로는 작은 섬이 떠 있고, 갯바위로 제법큰 절벽까지 있어 마치 제주의 어느곳을 연상케 하던 곳이 바로 성천이다. 뒤로 보이던 절벽은 적벽강이요, 바다에 떠 있던 섬이 하섬이다. 이곳에는 주로 왜군들의 진지가 꾸며져 있는데, 왜군의 회의장면과 책략상 포로가된 조선군의 처절함과 조선백성이 끌려가는 장면등이 주로 촬영된다. 이 곳에는 50여개의 야전 군막이 조성되었으며, 드라마 후반부에서 아주 많은 장면이 보여지게 될 곳이다.
5) 적벽강 채석강과 더불어 2대 명승지로 꼽히는 적벽강. 채석강에서 북쪽으로 5분여 거리에 있다. 이곳 적벽강 수성당 아래에 옛날 명나라 군사들의 진지가 꾸며져 있다. 망루와 마굿간, 씨름 훈련장, 지휘대, 지휘소 등이 있는 세트장에 서면 적벽강과 후박나무군락 수성당이 한 눈에 보인다.
6) 격포항 거북선 판옥선 2척, 안택선, 세끼부에, 진건의배, 조선협선, 일본협선등 ‘불멸의 이순신’은 거북선을 실물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격포항에서 위도가 한눈에 바로 보이는 방파제 끝까지 걸어가면 촬영용 '거북선과 왜선'이 정박(碇泊)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 곰소 염전창고 세트 이순신이 과거에 낙방하고 방랑기를 보내던 곳이 바로 이곳. 하염없이 펼쳐진 갯벌을 배경으로 염전창고와 민가 그리고 돼지우리가 조성 되었던 곳이다.
8) 영상테마파크 상록해수욕장과 궁항 사이 4만5천여평의 부지에 조선 중기 시대를 재현한 왕궁, 사대부가, 한방촌, 도자기촌, 공방촌, 시전 거리 등 영화촬영과 현장체험을 할 수 있는 복합 영상테마파크가 조성된다. 이순신이 청년기에 무술을 배우던 도자기촌이 바로 이곳이다.. 이외에도 한산도 삼도수군통제영, 경상 우수영, 왜관거리 및 조선거리 등은 석북산 영상랜드에 조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