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무언실행 無言實行, 말보다 행위의 힘이 더 크다)
말보다는 실천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는 속담이다. 비슷한 말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잇다.
Deeds, not words. (말이 아니고 행위가 중요하다)
Fine words butter no parsnips. ( 입에 발린 말만으로는 아무 소용 없다. 말 단 집에 장 단 법 없다)
parsnip = 방풍 나물(뿌리 식용) 직역하면 입에 발린 달큼한 말로는 방풍 나물에 버터 칠을 할 수 없다.
The greatest talkers are the least doers. (말로만 큰 소리를 하는 자는 가장 일은 적게 하는 자다)
He who gives fair words feeds you with an empty spoon. (듣기 좋은 말을 하는 사람은 당신에게 빈 숟갈을 내민다)
fair = 아름다운, 멋진. feed = 음식을 먹이다. empty = 비어있는.
Praise without profit puts little in the pot. (칭찬만 하고 아무 실익이 없으면 냄비에는 들어 올 것이 없다. 무슨 일을 해서
칭찬을 받았어도 내게 실속이 없다면 그건 아무 소득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는 말만 번질하게 하고 행동은 뒤따르지 않는 것을 나무란 가르침이다. 부모나 교사가
아이들에게 말로만 가르치려고 하지 말고 자기 자신의 행동으로 본이 되어 주는 것이 가장 훌륭한 교육이 아닐까.
* Beggars can't be choosers. ( 거지는 주는대로 받아야 한다. 거지가 이것 달라, 저건 안된다고 해선 안된다)
이 속담은 당신이 무언가 필요해서 도움을 청했을 때 도움을 주는 것이 생각했던 것에 못 미치더라도 까다롭게 굴지를 말고 참고 그 도움을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교훈이다. 이것과 비슷한 속담이,
Never look a gift horse in the mouth. (선물로 받은 말의 입 안을 들여다 보지 말라. 말은 입 안의 치아로 나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선물로 받은 말을 가지고 늙었느니 어쩌니 하며 까탈을 부리는 것은 꼴불견이다)
never = 결토 ...하지 않음. gift = 선물. gift horse = 선물용 말
* Let bygones be bygones. (지나간 일은 잊어버려라)
Bygone이란 단어는 'go by' (지나가다)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명사가 되어 '지나간 일, 과거사'란 의미. 그래서 이 말의 뜻은
Forgive and forget(용서하고 잊어버려)라는 것이다.
" I can't believe you wouldn't help me with my science project!" Tyrone banged on his desk with his fist.
("난 네가 내 과학 과제물을 도워주지 않을 걸 믿을 수가 없단 말야!"라고 말하면서 타이론이 주먹으로 책상을 쳤다)
" Why wouldn't you help me?"
(왜 날 좀 도워주려고 하지 않았니?")
" Come on, Tyrone," Janine said. " I'll help you study now.
( "얘, 얘, 타아론," " 너 공부 내가 지금 도와줄께"라고 제닌이 말햇다.
" There's no sense in staying mad. Just let bygones be bygones!"
( 그렇게 화를 내는 건 의미가 없어. 자, 지나간 일일랑 잊어버려.")
<come on>의 쓰임:
(A) on이 부사, 곧 앞의 동사 'come'을 수식하는 경우.
a: 시작하다. 오다. It came on to rain.(비가 오기 시작했다)
b: 뒤따르다. Go first. I'll come on. (먼저 떠나라. 나중에 뒤따라 갈계)
c: (일 따위가 ) 진척되고 있다. My novel is coming on well.(내 소설이 잘 진척되고 있다)
The team is coming on. (그 팀은 손발이 맞기 시작했다)
The harvest is coming on. (농작물이 잘 자라고 있다)
(B) 'come on'이 다음과 같이 쓰이는 경우 ;
a: 명령형으로; 이리로 오시오. 이리 와. 자 오라. 덤벼라!
b: 재촉할 때; 자. 어서. Come on, let's play. (자, 놀자)
Come on! We're going to be late. (어서 어서! 우린 늦겠다)
c: 격려할 때; 힘내라! Come on! It's not the end of the world. (자, 힘내라. 세상이 끝난 건 아니잖니)
d: 감탄을 나타냄; 무슨 소리야!
e; 상대방의 말에 의심을 나타낼 때; 설마. 말도 안돼.
------ 따라서 'Come on, Tyrone'에서 'come on'은 위의 용법 설명 중 (B)의 b에 해당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