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Euonymus alatus |
계 | 식물 |
문 | 속씨식물 |
강 | 쌍떡잎식물 |
목 | 노박덩굴목 |
분포지역 | 한국·일본·사할린·중국 |
서식장소/자생지 | 산야 |
크기 | 높이 3m |
<2020.08.26. 용정산림공원>
나무줄기는 흔히 둥근 모양을 하고 있는데 화살나무는 회갈색 가지에 2∼3줄의 코르크질의 날개가 달려있어 화살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마도 봄에 일찍 나오는 화살나무의 연한 새순과 잎을 동물들이 좋아하기 때문에 이상한 날개를 줄기에 붙여서 스스로를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08.26. 용정산림공원>
화살나무는 높이 3m정도까지 자라며 많은 줄기가 나와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부채모양을 이룬다.
<사진 출처 : 개인 블로그>
수피는 회색 또는 회갈색으로 가지에 2∼3줄의 코르크질의 날개가 달려있다.
잎은 마주달리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털이 없다.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을 띤다.
<2020.08.26. 용정산림공원>
꽃은 5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이삭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꽃받침조각·꽃잎 및 수술은 4개씩이고 씨방은 1∼2실이다.
<사진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열매는 10월에 결실하며 삭과이다.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황적색 종의로 싸이며 백색이다.
<사진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봄철에 어린순을 따서 생으로 무치거나,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에 어린순을 섞은 뒤 뜸을 들여 나물밥을 해 먹는다. 된장국도 끓인다. 다른 산나물과 데쳐서 무치거나, 볶아도 맛있다.
<사진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국·일본·사할린·중국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흔히 전국의 표고 1,700m 이하의 산지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높고 음지에서 견디는 힘도 강하다. 내조성은 보통이며 토심이 깊고 적윤한 비옥지를 좋아한다.
한방에서는 가지의 날개를 괴전우(鬼 箭 羽)라 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쓴다. 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며 구어혈(驅 瘀 血)·통경(通 經)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산후어혈복통·동맥경화·혈전(血 栓) 등에 사용한다. 최근에는 민간요법으로 가지와 잎을 따서 암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번식은 종자와 삽목으로 한다.
종자는 가을(10월~11월)에 채취한 종자를 과육을 제거하여 저온저장하였다가 파종한다.
삽목번식의 경우 휴면지나 초여름에 반숙지를 사용하면 발근율이 높다. 삽목은 봄에 싹이 트기 전에 전년지를 15cm 길이로 잘라 반정도 묻히게 밭흙에 꽂으면 쉽게 활착한다. 또 가을에 그 해 자란 가지 중 굳어진 것을 골라 20 cm 길이로 잘라 반정도 묻히게 꽂아도 된다. 3월, 6~10월경에 발근 촉진제를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가을에 붉게 물드는 단풍과 꽃으로 착갈할 정도로 아름다운 주홍색의 루비같은 열매 그리고 전저 같은 가지에 쌓이는 설화가 아름다워 단목식재, 하층식재, 생울타리용, 차폐식재 등에 적합하다
유사종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 회잎나무 : 가지에 날개가 없다.
• 당회잎나무 : 가지에 날개가 없고 잎 뒷면에 털이 있는 것
• 털화살나무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 삼방회잎나무 : 잎 뒷면 맥 위에 돌기가 있고 열매가 크며 끝이 뾰족하고 갈고리가 있다.
• 참빗살나무 : 수고 8m, 날개 없음. 열매가 4개로 갈라짐.• 참회나무 : 수고 5~6m, 날개 없음, 열매가 5개로 갈라짐.
병충해
• 병해: 갈색무늬병, 탄저병
• 충해: 사철나무혹파리, 사철깍지벌레, 개각충(줄기에 발생)
방제방법
• 깍지벌레류: 겨울에는 가지고르기, 가지치기 후인 12~4월 사이에 기계유 유제(95%)25배액을 가지와 줄기 전체에 살포하고 우화약충기에 메치온, 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한다.
• 개각충: 포살하든가 스미치온을 뿌려 구제한다.
• 갈색무늬병: 7월 상순부터 2주간격으로 4-4식 보르도액을 뿌린다.
• 탄저병: 실생묘에는 3-3식 보르도액을, 분근묘와 성목은 4-4식 보르도액 또는 다이센수화제 500배액을 6월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뿌린다.
<출처 : 두산백과, 국립중앙과학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