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께서
good에 대한 소리풀이를 읽었습니다.
저는 good의 발음 [굿]에 촛점을 맞추어 보았습니다.
굿 >>신을 부르다 >>>신명나다
첫댓글 구천상제 구는 원입니다.원은 완전하기 때문에 기분이 좋습니다.영어가 한글기호로 모두 풀리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잘 풀리는 언어에 속합니다.
숫자 9도 완전수잖아요.숫자 9와 동그랗다 구는 한자는 다르지만 어원은 같은 '말'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ㅎㅎㅎ 그러네요.그럼 이렇게 보는 것도 가능하겠네요.go (돌아) 가는 원처럼 od =order 질서가 있는 또는 착착 물려있는
바둑은 영어로 go인데, 바둑이 왜 영어로 go일까 의문이 있었는데, good과 연관지어 생각하니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린왕자 제 관점은 이렇습니다.기[棋 : 바둑] --> go초성이 일치를 하기 때문입니다.
@신민수 그런데 문득 왜 '바둑'일까요?이유를 생각해 보니, 우리가 흔히 부르는 '바둑이'개가 생각나네요. 전형적인 바둑이는 흰색과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점박이잖아요. 서로 관련이 있을까요?또 바둑바둑 우기다 라고 말하기도 하고.
@어린왕자 분리된 선에 두는 것이라 바둑입니다.바둑 : ㅂ(분리) + ㄷ(땅) + ㅜ(밑으로) --> 분리된 선에 두는 것
정말 한글원리는 멋져요~
구스리 굿하면 약이 되고 낫겠죠.good하면 곧다 올바르다가 생각납니다.아나사마님 글보면 새로운 상상력,창의력이 생기네요.
첫댓글 구천상제
구는 원입니다.
원은 완전하기 때문에 기분이 좋습니다.
영어가 한글기호로 모두 풀리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잘 풀리는 언어에 속합니다.
숫자 9도 완전수잖아요.
숫자 9와 동그랗다 구는 한자는 다르지만 어원은 같은 '말'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ㅎㅎㅎ 그러네요.
그럼 이렇게 보는 것도 가능하겠네요.
go (돌아) 가는 원처럼
od =order 질서가 있는 또는 착착 물려있는
바둑은 영어로 go인데, 바둑이 왜 영어로 go일까 의문이 있었는데, good과 연관지어 생각하니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린왕자 제 관점은 이렇습니다.
기[棋 : 바둑] --> go
초성이 일치를 하기 때문입니다.
@신민수 그런데 문득 왜 '바둑'일까요?
이유를 생각해 보니, 우리가 흔히 부르는 '바둑이'개가 생각나네요. 전형적인 바둑이는 흰색과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점박이잖아요.
서로 관련이 있을까요?
또 바둑바둑 우기다 라고 말하기도 하고.
@어린왕자 분리된 선에 두는 것이라 바둑입니다.
바둑 : ㅂ(분리) + ㄷ(땅) + ㅜ(밑으로) --> 분리된 선에 두는 것
정말 한글원리는 멋져요~
구스리 굿하면 약이 되고 낫겠죠.good하면 곧다 올바르다가 생각납니다.아나사마님 글보면 새로운 상상력,창의력이 생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