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를 둘러싼 진실과 거짓
1.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아온 정조의 모습은 거짓이다! 정조의 실제 외모는 어땠을까? 얌전한 학자군주로만 기억되어온 정조의 진실을 밝힌다. 그의 실제 얼굴은 우리가 이제껏 교과서에서 보아온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선 구황실의 족보 <선원보략>에 담겨있는 정조의 어진. 문예군주보다는 늠름하고 활달한 무사의 기상이 뿜어져 나온다. 당시 정조의 활쏘기 실력은 조선에 그를 따를 자가 없을 만큼 출중했고, 24기예를 집대성해 <무예도보통지>와 진법서<병학통>을 편찬한 그는 무예에 관한 전문가였다. 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을 조직해 직접 군사훈련을 진두지휘하고, 조선의 군권을 장악했던 정조대왕. 그는 조선 최고의 무인(武人)이었다.
<정조표준영정> <정조의실제모습>
2. 신기에 가까운 활쏘기 실력, 신궁(神弓) 정조에 관한 진실.
"작은 가죽과녁에 1순을 쏘아 5발을 맞혀 7점을 얻고… 마치 옆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는 것 같았다." < 어사고풍첩 中 > |
정조의 활쏘기 실력이 기록되어있는 <어사고풍첩>. 1792년 10월 30일의 기록에는 50발 중 49발을 맞춘 성적이 남아있는데, 마지막 한 발을 맞추지 않는 관례에 비추어보면 만점에 이르는 놀라운 실력이었다. 정조는 과녁뿐 아니라 작은 부채, 곤봉, 편곤까지도 명중시킨 신궁(神弓)이었다. "한국사 傳"에서는 정조가 했던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한국 최고의 국궁선수가 활쏘기를 재현해 당시 정조의 활쏘기 실력을 검증해보았다. |
조선 최고의 군사력을 키운 정조. 그는 친위 쿠데타를 꿈꾸었나!
스스로 조선의 군권을 장악한 임금, 정조. 그는 우선 무예가 출중한 무사들을 직접 선발해, 자신의 호위를 맡을 새로운 군대를 만들었다. 장용영, 정조의 친위부대였다. 정조는 한.중.일 삼국의 무예를 모은 당대 최고의 무예, '십팔기'를 수련시키고, 무사 개개인의 무사실력을 일일이 확인하며 아주 혹독하게 훈련시켰다. |
|
조선 최강의 군사력을 지니게 된 장용영. 그것은 정조의 강력한 왕권을 의미했다. 노론들이 막강한 위세를 떨치고 있던 조선에서 정조 스스로 절대적인 왕권을 쥐게 된 것이다. |
신하의 나라'에 선 왕. 정조의 정치적 승부수 "武(무예)"
정조는 조선에서 가장 뛰어난 무사(武士)였다. 특히 활쏘기 실력에 있어서만큼은 조선에 그를 따를 자가 없었다. 정조는 50발 중 49발을 명중시키기도 했는데, 마지막 한 발을 맞추지 않는 관례에 비추어보면 만점에 이르는 놀라운 실력이었다. 그는 장용영 군사들이 단련한 무예십팔기에 마상무예 6기를 더해 '24기예'를 완성시키고, 이를 <무예도보통지>에 기록하여 많은 병사들에게 나눠주었다. 스스로 무사의 위용을 갖추고, 군대를 진두지휘하기 시작한 정조대왕. 그가 노론의 뿌리 깊은 권력을 잘라낼 정치적 승부수, 그것은 바로 무예(武藝)였다.
|
|
정조가 무사(武士)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 어린 시절, 공포와 절망의 기록 『존현각 일기』
|
"나는 일찍 아비를 여의고 죽었어야 하나 죽지 않은 사람." -존현각일기 中- |
정조는 죄인의 아들이었다. 당파싸움의 희생양으로 아버지 사도세자를 잃은 정조. 그는 아버지의 역적이 권세를 장악하고 있는 조정에서 늘 위협과 공포에 시달려야만 했다. 세손 시절, 어린 정조의 절박한 심정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존현각 일기>. 그 일기 속에는 노론에게 당한 노골적인 협박,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객으로 인해 옷을 벗고 잠들지 못하는 불안함, 그리고 궁녀와 내시까지도 믿을 수 없는 현실에 대한 절박함이 드러나 있다. 왕위에 오르기 전, 그는 노론대신들의 "손안의 물건"에 불과했던 것이다. |
|
정조의 무력시위, 화성행차. 그리고 의문의 죽음...
1795년, 정조는 3천여 명의 장용영 군사를 포함한 6천여 명의 수행원을 이끌고 화성을 향했다. 여전히 노론 세력이 우세한 서울을 떠나 화성에서 새로운 조선을 일으키고 싶었던 정조. 그는 갑옷을 입고 밤낮으로 군사훈련을 벌였다. 이는 노론을 향한 무력시위였다. 노론신하들은 정조의 행보에 치를 떨며 끊임없이 상소를 올렸고, 혈서를 쓰기까지 했다. 정조와 노론의 대립이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를 무렵, 정조가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는다. 오회연교를 내린 지 채 한달도 되지 않은때였다. 아직도 풀리지 않는 의문의 죽음... 정조가 꿈꾼 새로운 세상은 사라져버린 것일까? |
<정조가 12세 때 쓴 친필 "선을 지키고 악을 막는 게 공경이다."> |
|